추천사1 ⦁ i
추천사2 ⦁ ii
추천사3 ⦁ iii
저자서문 ⦁
01 실천신학의 이해
01 실천신학의 이해 5
1. 실천신학의 개념 6
2. 실천신학의 학문적 성격 8
3. 실천신학의 범위 9
4. 실천신학의 특징 12
02 21세기 실천신학의 도전 17
1. 시대정신의 변화 18
2. 인구통계학적 변화 21
3. 신학의 분화 24
4.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 27
03 실천신학의 방법론과 발전 31
1. 실천신학 방법론의 의의 32
2. 실천신학의 방법론 33
3. 우리나라의 실천신학 도입과 발전 43
4. 한국 실천신학의 현황과 미래 46
02 전통적 실천신학
04 목회신학 55
1. 목회자의 소명과 평신도신학 56
2. 교회개척론 59
3. 목회학과 목회신학 64
4. 목회적 돌봄과 목회상담학 67
05 설교학 73
1. 설교의 개념과 형식 74
2. 설교의 준비 79
3. 설교의 전달 83
4. 설교의 평가 87
06 예배학 93
1. 예배의 이해 94
2. 예배와 성례전 99
3. 교회력과 절기 102
4. 예배의 공간 109
07 기독교교육학 117
1. 기독교교육의 의미 118
2. 기독교교육의 이론 121
3. 소그룹과 제자훈련 128
4. 기독교교육의 평가 130
08 전도학과 선교학 135
1. 복음전도의 의미와 역사 136
2. 전도의 방법론 141
3. 선교학 144
4. 선교학의 발전 148
03 21세기 실천신학
09 영성학 159
1. 영성의 개념 160
2. 영성학의 발전 164
3. 영성학 방법론 166
4. 한국교회의 영성 170
10 리더십과 목회행정 179
1. 리더십의 정의와 발전 180
2. 리더십 이론과 한국교회 182
3. 목회행정의 정의와 원리 187
4. 목회행정의 과업 189
11 실버목회 197
1. 노년의 개념 198
2. 노년의 특성과 노화이론 202
3. 실버목회 프로그램 206
4. 삶과 죽음의 윤리 212
12 다문화목회 219
1. 다문화의 개념과 현황 220
2. 성경의 다문화 사례 226
3. 다문화이론과 다문화주의 228
4. 다문화목회 232
13 통일목회 239
1. 남북관계와 통일의 개념 240
2. 독일 통일의 교훈 244
3. 남북의 이해와 화해 249
4. 하나됨의 성경적 가치 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