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서문
Ⅰ 번역, 한국 근대문학의 원천
〈번역, 한국 근대문학의 원천〉을 열며
‘문화번역’-‘번역문화’-‘언어ㆍ문화번역’ 그리고 ‘론’ : 조재룡
1. ‘문화번역론’: ‘문화’-‘번역’-‘론’
2. ‘문화번역’, ‘번역문화’, 그리고 ‘론’
3. [번역문화-문화번역]론
4. 문화번역-문화적 고유성의 번역: 낯섦과 타자, 의미와 형식
5. 속담-이미지-정형시의 낯섦-고유성 번역하기
타자의 시대정신과 상상력 : 박진영
1. 번역가의 초상, 문학가의 역할
2. 경계의 발견과 실천의 상상
3. 번역과 동아시아적 지평
4. 해외문학파의 해방 전후
5. 타자의 목소리, 변방의 존재론
새로운 혹은 다른 문학사의 구상과 한국근(현)대시 연구 : 구인모
1. 새로운 혹은 다른 문학사의 요구
2. 한국근(현)대시사 서술의 도정
3. 문학사 서술의 다른 전제와 원칙들
4. 문학사 서술의 아포리아와 참고 선례
5. 다시 문학사 서술을 위하여
중역(重譯)의 죄 : 손성준
1. 조선어와 일본어의 공존과 비대칭성
2. 원전이라는 미지의 영역, 중역이라는 판단 불가의 영역
3. 일본어·일본문학으로부터의 중층 이식된 근대문학
4. 해외문학파, 죄의식을 자극하다
5. 중역의 시대가 남긴 것 혹은 의미하는 것
Ⅱ 번역의 조건과 언어의 경계
〈번역의 조건과 언어의 경계〉를 열며
한글전용과 한국문학사 : 임상석
1. 한글이라는 조건과 문학사
2. 한글전용과 주권, 그리고 번역 연구의 지평
3. 이동하는 국문과 문학사
4. 국문, 번역과 식민지 한자권
한국 근대문학의 역사적 현장과 개신교선교사 : 이상현
1. 한 개신교선교사의 활동을 통해 본 한국 근대문학사의 현장
2. 첫 번째 현장, 고소설 번역이라는 실천과 한국 근대문학 개념의 형성
3. 두 번째 현장, 한국어 사전의 편찬과 한국 근대문학의 출현
4. 한국 개신교선교사는 한국 근대문학사에 어떠한 지분을 가지고 있는가?
일본 유학생 문인의 문학 활동과 상징주의 : 이종호
1. 황석우 연구의 공백
2. 도일(渡日)과 일본에서의 활동
3. 미키 로후[三木露風]와의 만남, 그리고 『음악(音樂)』과 『리듬(リズム)』에의 참여
4. 『음악』과 『리듬』에 발표된 황석우의 시편들
5. 문학과 정치의 잠재적 시간
살아있는 ‘불령선인’의 일본어 말하기 : 정한나
1. ‘주의’의 원점, ‘불령선인’의 일본어
2. 일본어라는 공통 언어와 정치의 발동
3. 살아있는 (비)인간의 목소리와 평등의 논법
4. ‘불령선인’의 존재론
5. ‘불령선인’이라는 유령
Ⅲ 토대로서의 중역과 동아시아
〈토대로서의 중역과 동아시아〉를 열며
해적, 제국, 망명 : 윤영실
1. 근대 전환기 해적, 역사적 실상과 낭만적 표상
2. 바이런의 The Corsair(1814): 낭만적 해적과 ‘야생의 자유’
3. 기무라 다카타로의 『海賊』(1905): 제국의 첨병 해적과 ‘강자의 권리’
4. 최남선의 「해적가」(1910.3): 망명자 해적과 ‘약자의 메시아니즘’
5. 번역 연구의 확장된 가능성
번역과 문범(文範) 기획 : 김미연
1. ‘글의 모범’으로 등장한 ‘어빙 선생’
2. 번역의 배경과 조건: 워싱턴 어빙의 좌표와 메이지 시기의 수용
3. 번역의 의도와 맥락: 문(文)과 문예의 역할과 작용
4. 번역된 ‘문범(文範)’ 기획 이후
동아시아 지형 속 기독교 출판을 통한 번역문학의 유통과 중국이라는 매개항 : 김성연
1. 식민지 시기 번역 출판과 중국이라는 매개항
2. 한·중 기독교계의 인적 교류와 접촉
3. 한·중 기독교 출판의 번역출판
4. 한·중 기독교 출판사의 서구문학 번역
5. 기독교 출판과 동아시아 서구 교양문학의 형성 가능성
동아시아의 프랑스 ‘근대시’ 수용과 번역 : 김준현
1. 『오뇌의 무도』라는 미궁(迷宮)
2. 일본의 랭보 수용과 번역
3. 일본의 베를렌 수용 및 번역
4. 일본의 보들레르 수용 및 번역
5. 일본의 말레르메 수용 및 번역
6. 중국의 베를렌 및 보들레르 수용과 번역
7. 미궁을 나오며
근대기 한국의 보들레르 시 번(중)역과 그 함의 : 구인모
1. 어떤 설전(舌戰)과 그 사정
2. 김억의 「즐겁은 죽음」과 (삼)중역의 실상
3. 양주동의 「깃분 죽음」과 번(중)역의 실상
4. 보들레르라는 중심을 향한 욕망과 그 함의
5. 두 사람의 설전이 남긴 것
Ⅳ 세계문학과 식민지 번역장
〈세계문학과 식민지 번역장〉을 열며
혁명의 번역과 식민지 사회주의 : 권보드래
1. 앙리 바르뷔스, 신경향의 숨은 원천
2. 클라르테 운동의 전개와 롤랑-바르뷔스 논쟁
3. 김기진의 롤랑-바르뷔스 논쟁 수용, 번역과 주석
4. 맑스 이전의 레닌, 클라르테 운동의 동아시아 비교론
5. 후진(後進)의 의식과 번역의 용
세계문학의 번역과 복수의 저본들 : 손성준
1. 나도향과 『동백꽃』
2. 『동백꽃』까지의 번역 경로
3. 복수의 저본이 의미하는 것들
4. 남은 과제: 번역 이후의 나도향
‘세계적 베스트셀러’ 『엉클 톰스 캐빈』의 수용과 서사 체험 : 김미지
1. 반세기 뒤에 도착한 ‘노예해방의 교과서’
2. 이광수 『검둥의 설움』 번역의 주변과 전후
3. 글로벌 출판시장과 ‘아메리칸 클래식’의 상륙
4. 할리우드 영화의 조선 진출과 소설/영화의 읽기 모드
5. 세계 문학(문화) 현상으로서 번역
세계문학과 프로문학의 이름으로 : 이용범
1. 세계문학의 자격은 무엇인가
2. 동아시아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루쉰론
3. 제국대학 아카데미즘의 공허한 권위
4. ‘중국문학’ 연구 ‘동로자(同路者)’의 분기
5. 다시 중국을 경유하여 조선을 사유하기
Ⅴ 냉전과 번역
〈냉전과 번역〉을 열며
냉전텍스트 『나는 자유를 선택하였다(I Chose Freedom)』의 동아시아 번역과 한국 수용의 특징 : 이봉범
1. I Chose Freedom과 냉전
2. 냉전텍스트로의 변용과 동아시아에서의 번역
3. 한국에서의 번역과 수용의 특징
4. 냉전과 책의 운명 그리고 사람의 운명
지연된 혁명 : 박지영
1. 68혁명 번역과 마르쿠제: 한국 이념사에서 그의 위치
2. 『이성과 혁명』, 『일차원적 인간』 번역 - ‘부정적 사유’의 실천성과 반공 이데올로기 사이
3. 68혁명, 그 미완의 번역: ‘스튜던트 파워’, 혹은 ‘생물학적 혁명’
4. ‘에로스’와 유토피아, 그 번역 불가능성과 68혁명 정신의 미학화
5. 마르쿠제 사상 번역의 의의와 현재성
공산주의에서 ‘미제 사회주의’로 : 최진석
1. 반공 리버럴 네트워크와 민주사회주의
2. 비공산주의 좌파의 이념으로서의 민주사회주의
3. 존 스트레이치라는 민주사회주의자, 혹은 비공산주의 좌파
4. 『위대한 각성』: ‘미국의 길’로의 우회로
5. 구제국의 탈식민주의와 구식민지의 민주주의
6. 미제 사회주의 혹은 민주사회주의
냉전기 지역문학 형성의 한 경로 : 유석환
1. 문제적 작가, 이주홍
2. 세계관의 균열: 1947년 무렵의 전향
3. 번역물의 양상과 번역의 주안점
4. 소설 창작의 재개와 세계관의 변화 양상
5. 향파 문학의 재독·재조명의 가능성
중역과 혁명, 비상시의 세계문학과 그 사명 : 황호덕
1. 세계문학의 사명, 혁명-비상시의 세계문학에 대하여
2. 주권자와 혁명가, 예외를 취하는 두 힘-후기식민지의 세계문학
3. 파르마콘으로서의 중역-혁명의 준비
초출일람
찾아보기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182498 | 811.09 -25-33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이용가능 | |
0003182499 | 811.09 -25-33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서가번호: 12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