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3
요약 13
Summary 33
제1장 서론 40
제1절 연구 배경과 동향 40
1. 국가난제에 대한 정책인식의 확산 40
2. 국가난제와 관련된 학술연구 동향 42
제2절 연구 질문과 과제운영의 틀 44
1. 연구의 질문 44
2. 연구 프레임워크 45
제3절 추진구조 및 성과산출 전략 47
1. 과제 추진구조 47
2. 성과산출 전략 49
제2장 국가난제 발굴 및 진단 50
제1절 2024 국가난제 발굴 51
1. 기존 방법 및 개선 사항 51
2. 국가난제 발굴방법 53
3. 국민이 선택한 2024 10대 국가난제 67
제2절 2024 국가난제 국민인식조사 70
1. 국민인식조사 개요 및 방법 70
2. 국민인식조사의 구성별 주요 결과 72
3. 2024 국가난제 국민인식조사의 항목별 교차분석 79
제3절 2024 국가난제 EYE 90
제4절 소결 93
제3장 대한민국 국가난제 정책 매핑 분석 97
제1절 분석 개요와 프레임워크 97
1. 분석 필요성 및 질문 97
2. 분석틀 및 분석 대상 98
제2절 정책기획 분석 104
1. 국가난제별 정책 대응 유형 104
2. 국가난제별 정책목표 현황 106
3. 정책 처방 유형 110
제3절 정책조정과 참여구조 분석 112
1. 정책 집행 구조 112
2. 민간참여 116
3. 융복합성 116
제4절 정책수단과 자원배분 분석 119
1. 정책 패키지 유형 119
2. 정책 기간 121
3. 예산 규모 123
제5절 정책 지속가능성 분석 125
1. 평가 체계 및 접근성 125
2. 정책의 차별성 127
제6절 시사점 129
1. 높은 국가난제 정책집약도 및 범부처성 129
2. 국가난제 정책 복잡성을 반영한 자원배분 129
3. 국가난제 정책의 참여구조 확대 및 민간 역할에 대한 고찰 130
제4장 국가난제 주제연구 성과 131
제1절 한계기업 난제 진단과 기업정책 혁신의 방향 131
1. 한계기업의 문제적 요소와 난제 진단 필요성 131
2. 경제위기별 보편화된 기업지원정책 전략 확인 132
3.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한계기업의 다각적 이해관계 복잡성 확인 134
4. 인과순환지도를 통한 한계기업 구조적 복잡성 확인 136
5. 역동적 기업생태계 구축을 정책개입 공략 지점 138
제2절 에너지 국가 난제 대안 탐색 프레임웍 연구 및 대안으로서의 독립 에너지 위원회 140
1. 국가 난제 해결을 위한 대안 분석 프레임워크 제시의 필요성 140
2. 에너지 국가 난제 해결을 위한 정책 프레임워크 구축 141
3. 부처별 에너지 및 기후 정책 사업 추진 구조 144
4. 에너지 및 기후 관련 정부 재정사업 진단 145
5. 에너지 난제 해결을 위한 거버넌스 측면의 정책 대안 비교 146
6. 시장구조 개선 및 인프라 구축을 위한 독립 에너지 위원회 제안 147
7. 정책 제언 148
제3절 국가난제 전략성 제고를 위한 행정계획 개선방안 149
1. 난제의 국가 전략성 제고 필요성 149
2. 변혁적 STI 기반의 난제 관리의 체계성 확보를 위한 우선순위 도출 152
3. 국가난제의 사회적 책임 기반의 행정계획 설계 방안 159
제4절 국가난제 관점의 임무형 예산 배분 현황에 대한 시범 분석 161
1. 임무형 예산 배분 현황 및 필요성 161
2. 임무형 예산 배분 관점에서 현행 예산제도 점검 162
3. 임무형 예산 배분을 위한 시사점 167
제5절 일본의 혁신정책 거버넌스 변동 분석과 한국에의 시사점 169
1. 혁신정책 거버넌스 분석 필요성 169
2. 일본의 혁신정책 거버넌스 설계 부문 분석 결과 172
3. 일본의 혁신정책 거버넌스 관리 부문 분석 결과 175
4. 분석요약 및 시사점 177
제5장 결론 181
제1절 국가난제 관점의 국정운영 혁신전략 제언 181
1. 중장기 정책 혁신의 오래된 이슈 181
2. 제언 1: 국가난제 국민인식 기반의 정책 감응력 제고 184
3. 제언 2: 국가 지도자의 최고 국가전략 제도화 186
4. 제언 3: 문제해결에 집중화된 최상위 국가기구 확립 188
5. 제언 4: 국가난제 중심의 정책생태계 혁신 방향 189
제2절 발간성과 요약 및 2025년도 운영 방향 191
1. 주요 발간성과 요약(2024년도) 191
2. 2025년도 연구사업 운영 방향 192
참고문헌 194
[부록 1] 국가난제혁신포럼 총괄위원회 개최 결과 200
[부록 2] 국가난제 학습공동체: 연구방법론 세미나 203
[부록 3] 국가난제 홈페이지 운영 보고 206
[부록 4] 국가난제 관점의 정책현황 매핑 대상 218
판권기 2
[그림 1-1] 국가난제 전략연구 프레임워크 45
[그림 1-2] 국가난제 전략연구 과업별 추진체계 47
[그림 2-1] 2024년 국가난제 발굴방법 개선사항 52
[그림 2-2] 2024 신규 국가난제 발굴을 위한 전문가 델파이조사 개요 65
[그림 2-3] 2024 신규 국가난제 이슈와 2023 국가난제 이슈 통합ㆍ조정 과정 66
[그림 2-4] 2023년 국가난제 후보와 2024년 국가난제 후보의 매칭결과 67
[그림 2-5] 국민이 평가한 위기인식 72
[그림 2-6] 위기인식: 심각성 73
[그림 2-7] 위기인식: 시급성 74
[그림 2-8] 국민이 평가한 상황진단 75
[그림 2-9] 상황진단: 정부ㆍ정책 중요도 76
[그림 2-10] 상황진단: 과학기술 기여도 77
[그림 2-11] 국민이 평가한 파급영향 78
[그림 2-12] 상황진단: 파급영향 79
[그림 2-13] 2024 10대 국가난제 산점도: 심각성과 시급성 80
[그림 2-14] 2024 10대 국가난제 산점도: 심각성과 과학기술(S&T) 기여도 81
[그림 2-15] 2024 10대 국가난제 산점도: 시급성과 과학기술(S&T) 기여도 82
[그림 2-16] 2024 10대 국가난제 산점도: 시급성과 과학기술(S&T) 기여도 83
[그림 2-17] 2024 10대 국가난제 산점도: 시급성과 정부ㆍ정책 중요도 84
[그림 2-18] 2024 10대 국가난제 산점도: 심각성과 파급영향 85
[그림 2-19] 2024 10대 국가난제 산점도: 시급성과 파급영향 86
[그림 2-20] 2024 10대 국가난제 산점도: 과학기술 기여도와 정부ㆍ정책 중요도 87
[그림 2-21] 2024 10대 국가난제 산점도: 과학기술 기여도와 파급영향 88
[그림 2-22] 2024 10대 국가난제 산점도: 정부ㆍ정책 중요도와 파급영향 89
[그림 2-23] 2024 국가난제 EYE: 10대 국가난제 90
[그림 2-24] 2024 국가난제 EYE의 주요 내용: (예시)인구구조 변화 92
[그림 3-1] 정책목표에 따른 국가난제 간 상관관계 108
[그림 3-2] 국내 국가난제 정책의 정책처방 유형 110
[그림 3-3] 국가난제별 과학기술혁신 부문 융복합성 117
[그림 3-4] 국가난제별 행정 부문 융복합성 118
[그림 3-5] 국가난제 정책 패키지 유형 분포 119
[그림 3-6] 국가난제별 예산 사업 규모 123
[그림 3-7] 국가난제 정책의 차별성 분포 128
[그림 4-1] 국내 한계기업 난제 인과순환지도 138
[그림 4-2] 에너지 난제의 정책 영역간 관계도 143
[그림 4-3] 에너지 관련 조직 및 예산 144
[그림 4-4] 국가난제 전략성 확보의 필요성 151
[그림 4-5] 변혁적 STI 목표 및 정책 방향 153
[그림 4-6] 국가난제 전략성 제고를 위한 AHP 의사결정 계층 구조 156
[그림 4-7] 예산편성 단계별 지출총액 추이 163
[그림 4-8] R&D 분야 중점투자 방향 추이 164
[그림 4-9] 국가별 재정성과관리제도의 특징 167
[그림 4-10] 임무형 재원배분을 위한 예산제도 개선 시사점 168
[그림 4-11] 분석의 틀 170
[그림 4-12] 일본 혁신정책 거버넌스 프레임워크('24) 174
[그림 4-13] 일본의 혁신정책 거버넌스 변동 분석 178
[그림 4-14] 한국 혁신정책 거버넌스 변화 방향 180
[그림 5-1] 국가 전략기획의 이상적 로드맵과 역할 분담도 187
부록표목차 218
〈부록 표 1〉 국가난제 관점의 정책현황 매핑 대상 (1) 윤석열 정부 110대 국정과제 218
〈부록 표 2〉 국가난제 관점의 정책현황 매핑 대상 (2) 중앙정부 부처청 정책 220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215678 | 352.745 -25-108 | v.1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0003215679 | 352.745 -25-108 | v.1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서가번호: 13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