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4
요약 8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6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8
1. 선행연구 검토 18
2. 연구 내용 29
3. 연구 방법 30
제2장 스웨덴 인구정책의 발전과 동향 31
제1절 인구 관련 논의와 전개 32
1. 1930년대 이전 32
2. 1930년대 인구정책으로서의 가족정책의 시작 34
3. 1960년대 이후 일과 가정에서 양성평등 정책 37
제2절 인구 관련 정책의 특징과 현안 40
1. 인구 관련 정책의 특징 40
2. 인구 문제 관련 현안 43
제3장 스웨덴의 인구 변화와 동향 45
제1절 도입 46
제2절 인구 성장 46
1. 인구 성장의 추이 46
2. 스웨덴 인구의 자연 증감 48
3. 국제 이주와 인구 증감 50
제3절 출산 52
1. 20세기 스웨덴 출산율의 변동 52
2. 2010년 이후: 스웨덴과 북유럽 국가의 출산율 감소 53
3. 스웨덴 출산 감소의 영향과 미래 전망 55
제4절 이주 56
1. 1970년대 이전: 출국(emigration) 사회에서 입국(immigration) 사회로의 전환 56
2. 1970년대 이후: 국제 입국 경로의 다변화, 유럽연합, 그리고 국제 분쟁으로 인한 이주 57
3. 입국자(immigrants)와 입국자 2세대(second generation)의 비중 증가 57
제5절 노동시장 인구 61
제6절 소결 64
제4장 스웨덴의 인구 관련 사회정책 66
제1절 노동시장정책 67
1. 스웨덴의 노동시장 개관 67
2. 실업급여 71
3.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75
제2절 이민자 정책 80
1. 배경 80
2. 이민자 정책의 역사 84
3. 1995년 EU 가입 이후의 이민자 정책 90
4. 이민자 정책의 특징 92
제3절 가족정책 93
1. 스웨덴의 가족정책 개관 93
2. 가족을 위한 사회서비스 95
3. 가족을 위한 현금 급여 96
제4절 노후 소득보장 98
1. 배경 98
2. 공적연금의 역사 99
3. 현행 공적연금 제도의 내용과 특징 103
제5장 결혼, 출산, 양육에 대한 스웨덴과 한국의 인식 비교 108
제1절 조사 개요 109
제2절 조사 결과 110
1. 결혼 및 출산에 관한 인식 110
2. 성역할 인식 127
3. 일과 가사 및 양육 병행의 어려움 136
4. 최근 인구 변화에 대한 인식 138
제6장 요약 및 결론 141
제1절 연구 요약 142
1. 스웨덴 인구정책의 발전과 동향 142
2. 스웨덴의 인구 변화와 동향 143
3. 스웨덴의 인구 관련 사회정책 144
4. 결혼, 출산, 양육에 대한 인식 148
제2절 정책적 함의 149
참고문헌 153
[부록 1] 결혼, 출산, 양육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한 설문지(국문) 167
[부록 2] 결혼, 출산, 양육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한 설문지(스웨덴어) 179
Abstract 191
판권기 2
〈표 2-1〉 1930년대 및 1940년대 스웨덴 인구정책의 입법 현황 37
〈표 2-2〉 1960년대 이후 스웨덴 가족정책의 주요 변화 39
〈표 3-1〉 출신 국가별 입국자 규모(2023년 12월 31일 현재) 59
〈표 4-1〉 스웨덴 내 이주 인구의 규모와 구성 변화 82
〈표 4-2〉 스웨덴 아동수당 및 대가족보조금 현황(2024년) 98
〈표 5-1〉 스웨덴 및 한국 설문조사 개요 110
〈표 5-2〉 향후 결혼 의향 111
〈표 5-3〉 향후 자녀 출산 의향 114
〈표 5-4〉 계획하고 있는 자녀 수 117
〈표 5-5〉 일반적인 적정 자녀 수에 대한 인식 119
〈표 5-6〉 가족(자녀 출산) 계획 시 고려사항별 중요도 122
〈표 5-7〉 자녀 출산에 따른 생활 변화에 대한 인식 126
〈표 5-8〉 가족의 생계를 위한 경제활동에 대한 성역할 인식 128
〈표 5-9〉 식사 준비, 청소, 빨래 등 일상적 가사에 대한 성역할 인식 131
〈표 5-10〉 어린 자녀 양육에 대한 성역할 인식 134
〈표 5-11〉 일과 가사 및 육아 병행의 어려움 정도 137
〈표 5-12〉 최근 인구 변화에 대한 인식 140
[그림 3-1] 스웨덴의 총인구 변화(1749~2023년) 48
[그림 3-2] 스웨덴 출생, 사망 및 인구 자연 증감 추세(1749~2023년) 50
[그림 3-3] 스웨덴 입국(international immigration)과 출국(international emigration) 및 순 국제 인구이동(net international migration) 동향(1851~2023년) 51
[그림 3-4] 스웨덴 기간 합계출산율(period total fertility rates)(1891~2022년) 53
[그림 3-5] 스웨덴 출산율 동향(1970~2023년)과 장기추계(2023~2070년) 55
[그림 3-6] 스웨덴 등록 인구 중 입국자(스웨덴 외 출생자)와 입국자 2세대(부모 중 한 명 이상이 입국자인 스웨덴 출생자)의 비중(2002~2023년) 60
[그림 3-7] 스웨덴 성별 고용률(15~74세 기준)(2001~2023년) 62
[그림 3-8] 스웨덴 성별 실업률(15~74세 기준)(2001~2023년) 62
[그림 3-9] 연령별 NEET 인구 비율(2007~2023년) 63
[그림 4-1] 스웨덴 및 주요 OECD 회원국 고용률 추이(2007~2018년) 70
[그림 4-2] 스웨덴 및 주요 OECD 회원국 노동조합 가입률 추이(1990~2018년) 70
[그림 4-3] 스웨덴 실업급여 수급자 규모 현황(2012~2023년) 73
[그림 4-4] 스웨덴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재정 지출 구성 변화(2000~2022년) 77
[그림 4-5] 스웨덴 및 주요 OECD 회원국의 가족정책 공공지출 규모(2019년) 95
[그림 4-6] 스웨덴 공적연금의 기본 구조 107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