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7

요약문 4

SUMMARY 5

제1장 서론 15

1.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6

1.2. 연구목적 및 범위 17

1.3. 연구방법 및 절차 18

제2장 계측ㆍ모의 자료 기반의 실시간 노모그래프 자동보정 기술 개발(Ⅲ) 23

2.1. 노모그래프를 이용한 소하천의 홍수량ㆍ홍수위 예측 기술 검증 및 적용성 검토 24

2.2. 노모그래프를 이용한 소하천의 홍수량ㆍ홍수위 예측 36

2.3. MAPLE 예측강우 적용 83

2.4. 소결론 86

제3장 소하천 미계측 구간의 홍수위 산정을 위한 수치모의 기술개발(Ⅲ) 88

3.1. Manning 공식을 활용한 소하천 미계측 구간 수위 예측 알고리즘 개발 89

3.2. 시범지자체 소하천 미계측 구간의 홍수위 산정 91

3.3. 미계측 소하천의 홍수량ㆍ홍수위 산정을 위한 수치모의 기술 개발 94

3.4. 소결론 98

제4장 DB 현행화ㆍ검수 및 정보 속성, 물리 엔티티, 개체-관계 프로그램 등 플랫폼 개발(Ⅲ) 100

4.1. 노모그래프 관리 서비스 구축 101

4.2. 소하천망도 관리 서비스 구축 107

4.3. 플랫폼을 활용한 중앙ㆍ지자체 정보 공유 체계 구축 112

4.4. 소결론 134

제5장 결론 135

5.1. 요약 및 결론 136

5.2.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138

참고문헌 139

판권기 143

표목차 13

표 2.1. MAPLE 입력자료 구조 35

표 2.2. 추가 시범소하천 9개소 CADMT 설치 정보 40

표 2.3. 추가 시범소하천 9개소 AWS 및 물리인자 정보 40

표 2.4. 능막천 추출된 홍수사상 44

표 2.5. 중선필천 추출된 홍수사상 49

표 2.6. 선장천 추출된 홍수사상 52

표 2.7. 인수천 추출된 홍수사상 57

표 2.8. 추가 시범소하천 9개소 추출 홍수사상 개수 60

표 2.9. 추가 시범소하천 4개소 검증용 홍수사상 79

표 2.10. 추가 시범소하천 4개소 홍수량ㆍ홍수위 예측 결과 80

표 2.11. 추가 시범소하천 9개소 검증용 홍수사상 81

표 2.12. 추가 시범소하천 9개소 홍수량ㆍ홍수위 예측 결과 82

표 2.13. 능막천 MAPLE 및 AWS 강우 비교(동일시간) 83

표 2.14. 능막천 MAPLE 및 AWS 강우 비교(동일시간) 86

표 3.1. 시범소하천 4개소 유역 및 하천 지형정보 96

표 3.2. 시범소하천 4개소 물리적 매개변수 추출 결과 96

표 3.3. 시범소하천 4개소 물리적 매개변수 추출 결과 97

표 4.1. 노모그래프 테이블 명세서 101

표 4.2. 노모그래프 관리기능 목록 103

표 4.3. 수위예측 기능목록 106

표 4.4. 소하천 특성정보 테이블 명세서 107

표 4.5. 소하천 특성정보 관리기능 목록 109

표 4.6. 보고서 관리기능 목록 111

표 4.7. 실시간 계측정보 테이블 명세서 115

표 4.8. 계측자료 관리 기능목록 117

표 4.9. 유량 검증 기능목록 118

표 4.10. 미전송 데이터 요청 API 서비스 개요 120

표 4.11. 소하천 미전송 계측정보 전송 API 서비스 개요 120

표 4.12. 미전송데이터 요청에 따른 응답 메시지 예시 121

표 4.13. 소하천 미전송 계측정보 전송 서비스 요청 및 응답 메시지 예시 121

표 4.14. 지자체별 관측소 설치 현황 123

표 4.15. 소하천 관측소 제원정보 테이블 명세서 125

표 4.16. 관측소 제원정보 관리기능 목록 126

그림목차 9

그림 1.1. 소하천 자동유량계측기술 개요 16

그림 1.2. 연구 수행 목적 개념도 18

그림 1.3. 노모그래프 실시간 보정 자동화 알고리즘 개발 절차 19

그림 1.4. 노모그래프 홍수량ㆍ홍수위 산정 및 검증 절차 19

그림 1.5. Manning 공식을 이용한 미계측 구간 홍수위 산정기법 20

그림 1.6. GIS기반 계측ㆍ특성 정보 구축 및 분석플랫폼(FEWP) 21

그림 1.7. 소하천 계측자료 품질관리 알고리즘 구축 21

그림 1.8. GIS 기반 소하천 홍수분석 플랫폼 개발 22

그림 2.1. 노모그래프 작성 흐름도(행정안전부, 2023) 25

그림 2.2. 선행토양함수조건 계산 결과 표출 예시 26

그림 2.3. 60분 누적강우 변환 27

그림 2.4. 홍수사상 선별 기준 조건 예시 29

그림 2.5. 첨두 60분 누적강우량 및 첨두 유출량 계산 예시 29

그림 2.6. 첨두 60분 누적강우량 및 첨두홍수량 분포 예시 30

그림 2.7. 이상치 판별 예시 31

그림 2.8. 강우-유량 노모그래프 추정 예시 32

그림 2.9. 유량-수위 노모그래프 추정 예시 33

그림 2.10. 실시간 매개변수 갱신 34

그림 2.11. MAPLE 강우 추출 절차 35

그림 2.12. 추출된 MAPLE 강우 예시 36

그림 2.13. 시범소하천 유량관측지점 기준 소유역도(능막천, 중선필천) 37

그림 2.14. 시범소하천 유량관측지점 기준 소유역도(선장천, 인수천) 38

그림 2.15. 시범소하천 유량관측지점 기준 소유역도(대미천, 백암천, 점실천, 광동천) 41

그림 2.16. 시범소하천 유량관측지점 기준 소유역도(발막천, 송남천, 정동천, 구만리천) 42

그림 2.17. 시범소하천 유량관측지점 기준 소유역도(작승천) 43

그림 2.18. 노모그래프 추정 결과(능막천) 61

그림 2.19. 노모그래프 추정 결과(중선필천) 61

그림 2.20. 노모그래프 추정 결과(선장천) 62

그림 2.21. 노모그래프 추정 결과(인수천) 62

그림 2.22. 노모그래프 추정 결과(대미천) 62

그림 2.23. 노모그래프 추정 결과(백암천) 63

그림 2.24. 노모그래프 추정 결과(점실천) 63

그림 2.25. 노모그래프 추정 결과(광동천) 63

그림 2.26. 노모그래프 추정 결과(발막천) 64

그림 2.27. 노모그래프 추정 결과(송남천) 64

그림 2.28. 노모그래프 추정 결과(정동천) 64

그림 2.29. 노모그래프 추정 결과(구만리천) 65

그림 2.30. 노모그래프 추정 결과(작승천) 65

그림 2.31. 노모그래프 적용 결과(능막천) 66

그림 2.32. 노모그래프 적용 결과(중선필천) 67

그림 2.33. 노모그래프 적용 결과(선장천) 68

그림 2.34. 노모그래프 적용 결과(인수천) 69

그림 2.35. 노모그래프 적용 결과(대미천) 70

그림 2.36. 노모그래프 적용 결과(백암천) 71

그림 2.37. 노모그래프 적용 결과(점실천) 72

그림 2.38. 노모그래프 적용 결과(광동천) 73

그림 2.39. 노모그래프 적용 결과(발막천) 74

그림 2.40. 노모그래프 적용 결과(송남천) 75

그림 2.41. 노모그래프 적용 결과(정동천) 76

그림 2.42. 노모그래프 적용 결과(구만리천) 77

그림 2.43. 노모그래프 적용 결과(작승천) 78

그림 2.44. 1번 홍수사상 MAPLE vs. AWS(시간별) 84

그림 2.45. 2번 홍수사상 MAPLE vs. AWS(시간별) 85

그림 3.1. 소하천 CADMT 계측구간 및 미계측 구간 89

그림 3.2. Manning 공식을 이용한 미계측구간 수심 예측 절차 90

그림 3.3. 인수천 횡단면 92

그림 3.4. 인수천 전체 구간에 대한 횡단면 도시 92

그림 3.5. 인수천 manning을 이용한 단면-유량 계산 결과 93

그림 3.6. 인수천 홍수사상 93

그림 3.7. 인수천 홍수사상에 대한 미계측 구간 홍수위 계산 결과 94

그림 3.8. 소하천 지형학적 특성을 고려한 매개변수식 개발 절차 95

그림 3.9. 소하천 홍수 도달시간 및 저류상수 산정 예시 95

그림 4.1. 노모그래프 관리 화면 102

그림 4.2. 노모그래프 수정 화면 103

그림 4.3. 수위 예측 결과화면 105

그림 4.4. 수위 예측 결과 상세화면 105

그림 4.5. 소하천 특성정보 조회화면 108

그림 4.6. 소하천 특성정보 관리 화면 108

그림 4.7. 소하천정비종합계획보고서 관리 화면 110

그림 4.8. 소하천정비종합계획보고서 뷰어 화면 112

그림 4.9. 소하천 홍수분석플랫폼(FEWP) 목표구성도 113

그림 4.10. 소하천 서비스키 발급 화면 114

그림 4.11. 소하천 서비스키 조회 화면 114

그림 4.12. 계측자료 조회화면 116

그림 4.13. 계측자료 엑셀 파일 116

그림 4.14. 유량 데이터 검증 화면 118

그림 4.15. 미전송데이터 관리 화면 119

그림 4.16. 소하천 관측소 제원정보 관리화면 124

그림 4.17. 관측소 제원정보 상세화면 124

그림 4.18. 단기예보 화면 127

그림 4.19. 강우레이더 영상 화면 128

그림 4.20. 태풍 상황판 목록조회 화면 129

그림 4.21. 태풍 힌남노 이동 경로 화면 129

그림 4.22. 소하천 홍수 예측 플랫폼 기술 교육(2024 하천관리 세미나 발표) 130

그림 4.23. 소하천 홍수 예측 플랫폼 홍보 부스(2024 하천관리 세미나 발표) 131

그림 4.24. 기상정보 모니터링(홍보 동영상 예시) 131

그림 4.25. 소하천 모니터링(홍보 동영상 예시) 132

그림 4.26. 강우 및 하천 수위 모니터링(홍보 동영상 예시) 132

그림 4.27. 소하천 수문정보 관리(홍보 동영상 예시) 133

이용현황보기

소하천 계측·특성 정보 구축 및 분석 플랫폼 개발 = Development of platform for establishing and analyzing measured and characteristics information of small streams. 3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213062 363.3493 -25-8 v.3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213063 363.3493 -25-8 v.3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