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11
국문요약 4
제1장 서론 19
1. 연구의 배경 20
2. 연구의 목적 24
3. 연구의 구성 27
제2장 미국의 AI 전략 28
1. 국내 정책 29
2. 국제 협력 44
3. 중국 견제를 위한 통상정책 48
4. 소결 52
제3장 중국의 AI 전략 55
1. 국내 정책 56
가. 발전 전략 56
나. 규제 전략 61
2. 국제 협력 64
3. 미국의 통상정책에 대한 대응 68
가. 국내 제도 개정 68
나. 반도체 국산화 70
4. 소결 74
제4장 국제사회의 AI 규범 및 거버넌스 논의 동향과 미ㆍ중 경쟁에 대한 함의 77
1. 다자 논의 동향 83
가. OECD에서의 논의 동향 83
나. G7과 G20에서의 논의 동향 89
다. UN에서의 논의 동향 91
라. 국제표준화기구의 AI 표준 논의 동향 104
2. 양자 및 복수국간 논의 동향 106
가. AI 위험 및 안전에 관한 미ㆍ중 회담 106
나. 미국과 EU 등의 AI 협약 타결 107
다. 중국의 일대일로 및 BRICS에서의 제안 111
3. 산업계 동향 113
가. 미국 대형 기술기업의 「첨단 모델 포럼」 설립 114
나. 오픈AI의 「미국 AI 인프라 청사진」 발표 115
다. MS의 중국 내 직원에 대한 중국 외부 이주 요청 116
라. 2024년 애플과 메타의 EU 「AI 법 준수협약」 불참 117
4. 학계 동향 119
가. AI 안정성과 위험에 관한 연구 121
나. 미중 경쟁과 협력에 관한 연구 124
다. 미중 경쟁 속에서 EU의 존재에 주목한 연구 126
5. 미ㆍ중 경쟁에 대한 함의 128
제5장 미ㆍ중 인공지능 연구 경쟁과 주요국의 대응 133
1. 연구 배경 및 선행연구 134
2. 국가별 인공지능 연구 동향 분석 139
가. 데이터 139
나. 국제적 AI 연구 동향 분석 141
3. 중심성과 인용 건수 간의 관계 159
4. 소결 162
제6장 미ㆍ중 인공지능 표준화 경쟁에 대한 이론적 고찰 165
1. 연구의 배경 166
2. 이론 모형 168
가. AI 서비스 시장의 네트워크 효과와 표준화에 대한 가정 170
나. 개발도상국의 표준선택 172
다. 선진국의 표준선택 181
3. 미중 인공지능 표준 경쟁에 대한 함의 182
4. 소결 184
제7장 정책시사점 187
1. 미중 반도체 기술 주도권 다툼과 한국의 전략적 대응 방안 188
2. 미국-EU 규제 격차와 한국의 중재자 역할 190
3. 안보-기술 균형과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 재편 방안 194
4. 스마트 제조기업의 AI 플랫폼화를 통한 글로벌 표준화 전략 197
참고문헌 198
[부록] 214
Executive Summary 216
판권기 3
그림 1-1. 컴퓨팅 능력의 급성장 22
그림 2-1. 인공지능 기술 등장 29
그림 3-1. 중국 AI 연산능력 추이 71
그림 4-1. ISO/IEC 42001 (인공지능 경영시스템) 목차 105
그림 5-1. 국가별 인공지능 논문 건수(2013년~23년) 142
그림 5-2. 국가별 인공지능 논문 인용 건수(2013년~23년) 143
그림 5-3. 국가별 인공지능 해외 공저 논문 건수 변화(2013년, 2023년) 146
그림 5-4. 국가별 인공지능 해외 공저 논문 네트워크의 중심성 변화(2013년, 2023년) 146
그림 5-5. 국가별 전체 논문 수 대비 공저 논문 수(2013년~23년) 147
그림 5-6. 국가별 중국과의 공저 논문 수(2013년~23년) 148
그림 5-7. 미국, 영국, 호주의 중국과의 공저 논문 수 증감률 변화(2013년~23년) 149
그림 5-8. 국가별 공저 논문 수 증감률 변화(2013년~23년) 150
그림 5-9. 한국의 국가별 공저 논문 수 변화(2013년, 2023년) 150
그림 5-10. 호주와 공저하는 국가들의 공저 논문 수 변화(2013년, 2023년) 153
그림 5-11. 국가별 공저 논문 수 증감률 변화(2013년~23년) 154
그림 5-12. 영국, 일본과 공저하는 국가들의 공저 논문 수 변화(2013년, 2023년) 155
그림 5-13. 캐나다, 인도와 공저하는 국가들의 공저 논문 수 변화(2013년, 2023년) 156
그림 5-14. 중국과 공저하는 국가들의 공저 논문 수 변화(2013년, 2023년) 157
글상자목차 18
글상자 4-1. 2010년 구글의 중국 인터넷 검색서비스 시장 철수 116
부록표목차 18
부록 표 1-1. 국가별 인공지능 전체 논문 수 순위 21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