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제출문
참여진
목차
제1장 사업 개요 21
1. 사업 개요 21
2. 사업 배경 및 목적 21
(1) 사업 배경 21
(2) 사업 목적 21
3. 과업 범위 22
(1) 내용적 범위 22
(2) 공간적 범위 23
4. 사업수행조직 및 업무분장 24
사업수행조직도 24
참여기술자 업무분장 25
5. 사업추진일정 26
6. 최종성과물 내역 28
과업 단계별 수치파일 및 결과보고서 제출 28
제2장 사업 수행 방법 31
1. 해도제작 개요 31
2. 통합해도제작시스템(HPD) 구축 32
3. 종이해도 제작 33
4. 전자해도 제작 34
5. 기타 과업 35
(1) 일반수로측량 개정(남동해안) 35
(2) 항행통보 업데이트 36
(3) 종이해도 재판 및 재인쇄 36
(4) S-101 DB 구축 방안 도출 36
제3장 통합해도제작시스템(HPD) 구축 39
1. 통합해도제작시스템(HPD) 구축 흐름 39
2. 통합해도제작시스템(HPD) 구축 세부 목록 40
3. 단계별 해도편집 과정 46
(1) 측량원도 비교 및 검토 46
(2) 해안선 편집 48
(3) 신·구성과 비교분석 51
(4) 검사 54
4. 단계별 해도편집 결과 55
(1) 6단계(1/5,000) 해도편집 결과 55
(2) 5단계(1/25,000) 해도편집 결과 263
(3) 4단계(1/75,000) 해도편집 결과 307
5. 통합해도제작시스템(HPD) 구축 과정 342
(1) 기본편수를 완료한 x.ntx 도면을 x.hob(가전자해도) 형식으로 변환 342
(2) 객체 연관성 구성 344
(3) 데이터베이스 구조화 검사 및 검증상태 변경 346
제4장 종이해도 제작 353
1. 종이해도 제작 흐름 353
2. 종이해도 제작 세부 목록 353
3. 종이해도 제작 과정 355
(1) 해도제작대장 작성 355
(2) 등심선 생성 및 수심 편수 356
(3) 2022년 조류데이터 반영 357
(4) 항행통보 및 최신법령 반영 358
(5) 무역항 해도제작 협의체 의견 요청 359
(6) 해양지명 최신화 364
(7) 종이해도 제작 관련 문서작성 367
4. 종이해도 검사 368
5. 종이해도 제작 결과 369
(1) No.2261 중화항 371
(2) No.1820 고리 및 부근 375
(3) No.2204 부산항 동부 379
(4) No.2235 삼천포항 387
(5) No.2284 고현항 391
(6) No.1816 울산항 395
(7) No.1817 온산항 399
(8) No.2227 통영항 및 견내량해엽 403
(9) No.1751 영일만항 407
(10) No.1752 포항항 412
(11) No.1756 울산만 417
(12) No.2511 하동항 남부 421
(13) No.1437 울릉도 425
(14) No.1757 간절곶에서 대변항 429
(15) No.2153 부산항 부근 433
(16) No.2158 고성만 및 부근 437
(17) No.2165 진해만 남부 441
(18) No.1753 포항항 및 부근 445
(19) No.2160 진주만 및 부근 449
(20) No.2164 통영해만 및 거제만 부근 453
(21) No.2132 진해만 부근 458
(22) No.1711 포항항 부근 463
(23) No.2111 울산항에서 부산항 468
(24) No.2414 연도(소리도)에서 거문도 475
제5장 전자해도 제작 483
1. 전자해도 제작 흐름 483
2. 전자해도 제작 세부 목록 484
3. 전자해도 제작 과정 485
(1) Source DB와 Product DB의 동기화 485
(2) 메타데이터 생성 486
4. 전자해도 검사 486
(1) 작업자 내부 검사 486
(2) 그룹별 SCAMIN 입력 488
(3) Group Sounding 488
(4) 최종검사 및 검증상태 변경(Verify) 489
(5) Export 489
5. 전자해도 제작 결과 490
(1) 전자해도 6단계 제작 결과 490
(2) 전자해도 5단계 제작 결과 514
(3) 전자해도 4단계 제작 결과 521
6. 바다내비용 전자해도 제작 흐름 526
7. 바다내비용 전자해도 제작 세부 목록 527
8. 바다내비용 전자해도 제작 과정 529
(1) 메타데이터 생성 529
(2) 속성정보 매칭(Attribute matching) 529
(3) Source DB와 Product DB의 동기화 531
9. 바다내비용 전자해도 검사 532
(1) 작업자 내부 검사 532
(2) 그룹별 SCAMIN 입력 533
(3) Group Sounding 533
(4) 최종검사 및 검증상태 변경(Verify) 534
(5) Export 534
10. 바다내비용 전자해도 제작 결과 535
(1) 바다내비용 전자해도 6밴드 제작 결과 535
(2) 바다내비용 전자해도 5밴드 제작 결과 570
(3) 바다내비용 전자해도 4밴드 제작 결과 577
제6장 기타 과업 585
1. 일반수로측량 개정(남동해안) 585
(1) 일반수로측량 제작 585
(2) 일반수로측량 성과 반영 목록 585
2. 항행통보 업데이트 588
(1) 통합해도제작시스템(HPD) 데이터(Source DB) 입력 589
(2) 전자해도(S-57) 반영 592
(3) 전자해도(바다내비용) 반영 593
(4) 종이해도 반영 595
(5) 항행통보 업데이트 수행 결과 596
3. 종이해도 재판 및 재인쇄 597
(1) 재인쇄 간행 계획 수립 597
(1) 재인쇄 간행 목록 597
4. S-101 DB 구축방안 도출 603
(1) 수행 목적 603
(2) 구축비용 산출 및 구축기간 계획 제시 603
(3) 6단계 간행구역 조정안 제시 604
(4) S-101기반 新 DB구축 단계별 계획 수립 605
(5) 차세대 전자해도기반 해도제작 전환계획(안) 수립 606
제7장 품질 및 보안관리 609
1. 품질관리 609
(1) 품질보증체계 및 품질관리 프로세스 609
(2) 품질관리 계획 610
(3) 내부, 외부검사 활용 등 추가 업무관리사항 612
2. 보안관리 612
(1) 보안개요 612
(2) 보안대책 612
(3) 보안점검 결과 616
제8장 납품목록 및 성과물 621
1. 사업성과물 621
2. 통합해도제작시스템(HPD) 구축 목록 622
(1) 측량원도 편집 결과 622
(2) 통합해도제작시스템(HPD) 구축 결과 631
3. 종이해도 제작 및 간행 목록 637
4. 보정도 제작 및 간행 목록 638
5. 전자해도 단계별 제작 목록 639
(1) 전자해도(S-57) 639
(2) 바다내비용 전자해도 643
판권기 648
〈그림 1-1〉 과업구역 23
〈그림 1-2〉 사업수행 조직도 24
〈그림 2-1〉 해도제작 흐름도 31
〈그림 2-2〉 남동해안 일반수로측량 성과반영 구역 35
〈그림 3-1〉 단계별 해도편집 흐름도 39
〈그림 3-2〉 HPD 구조화편집 흐름도 39
〈그림 3-3〉 측량원도 구역도 40
〈그림 3-4〉 측량원도 해도편집 메타정보 46
〈그림 3-5〉 측량원도 및 항해위험물 비교 자료 47
〈그림 3-6〉 2023년 해안선 자료 48
〈그림 3-7〉 해안선 자료 비교 49
〈그림 3-8〉 해안선 위성영상 비교 49
〈그림 3-9〉 6단계 기본편수 50
〈그림 3-10〉 6단계 기본편수 결과 50
〈그림 3-11〉 항해용 간행물 품질검토 신청서 51
〈그림 3-12〉 내부 검사 54
〈그림 3-13〉 KR647B08 편집 결과 56
〈그림 3-14〉 KR647B17 편집 결과 58
〈그림 3-15〉 KR647B18 편집 결과 60
〈그림 3-16〉 KR647B19 편집 결과 62
〈그림 3-17〉 KR647B37 편집 결과 64
〈그림 3-18〉 KR647B49 편집 결과 66
〈그림 3-19〉 KR647B58 편집 결과 68
〈그림 3-20〉 KR647B59 편집 결과 70
〈그림 3-21〉 KR647B60 편집 결과 72
〈그림 3-22〉 KR648A01 편집 결과 74
〈그림 3-23〉 KR648A11 편집 결과 76
〈그림 3-24〉 KR648A13 편집 결과 78
〈그림 3-25〉 KR648A16 편집 결과 80
〈그림 3-26〉 KR648A17 편집 결과 82
〈그림 3-27〉 KR648A19 편집 결과 84
〈그림 3-28〉 KR648A20 편집 결과 86
〈그림 3-29〉 KR648A21 편집 결과 88
〈그림 3-30〉 KR648A22 편집 결과 90
〈그림 3-31〉 KR648A23 편집 결과 92
〈그림 3-32〉 KR648A27 편집 결과 94
〈그림 3-33〉 KR648A28 편집 결과 96
〈그림 3-34〉 KR648A29 편집 결과 98
〈그림 3-35〉 KR648A30 편집 결과 100
〈그림 3-36〉 KR648A37 편집 결과 102
〈그림 3-37〉 KR648A38 편집 결과 104
〈그림 3-38〉 KR648A39 편집 결과 106
〈그림 3-39〉 KR648A40 편집 결과 108
〈그림 3-40〉 KR648A48 편집 결과 110
〈그림 3-41〉 KR648A49 편집 결과 112
〈그림 3-42〉 KR648A51 편집 결과 114
〈그림 3-43〉 KR648B03 편집 결과 116
〈그림 3-44〉 KR648B11 편집 결과 118
〈그림 3-45〉 KR648B31 편집 결과 120
〈그림 3-46〉 KR648B32 편집 결과 122
〈그림 3-47〉 KR648B41 편집 결과 124
〈그림 3-48〉 KR648B42 편집 결과 126
〈그림 3-49〉 KR648B43 편집 결과 128
〈그림 3-50〉 KR648B44 편집 결과 130
〈그림 3-51〉 KR648B45 편집 결과 132
〈그림 3-52〉 KR648B52 편집 결과 134
〈그림 3-53〉 KR648B53 편집 결과 136
〈그림 3-54〉 KR648B54 편집 결과 138
〈그림 3-55〉 KR649A02 편집 결과 140
〈그림 3-56〉 KR649A03 편집 결과 142
〈그림 3-57〉 KR649A04 편집 결과 144
〈그림 3-58〉 KR658C00 편집 결과 146
〈그림 3-59〉 KR658C90 편집 결과 148
〈그림 3-60〉 KR658C91 편집 결과 150
〈그림 3-61〉 KR658C92 편집 결과 152
〈그림 3-62〉 KR658D71 편집 결과 154
〈그림 3-63〉 KR658D72 편집 결과 156
〈그림 3-64〉 KR658D82 편집 결과 158
〈그림 3-65〉 KR658D95 편집 결과 160
〈그림 3-66〉 KR659A00 편집 결과 162
〈그림 3-67〉 KR659A09 편집 결과 164
〈그림 3-68〉 KR659A10 편집 결과 166
〈그림 3-69〉 KR659A98 편집 결과 168
〈그림 3-70〉 KR659A99 편집 결과 170
〈그림 3-71〉 KR659B91 편집 결과 172
〈그림 3-72〉 KR659C07 편집 결과 174
〈그림 3-73〉 KR659C08 편집 결과 176
〈그림 3-74〉 KR659C09 편집 결과 178
〈그림 3-75〉 KR659C10 편집 결과 180
〈그림 3-76〉 KR659C17 편집 결과 182
〈그림 3-77〉 KR659C18 편집 결과 184
〈그림 3-78〉 KR659C19 편집 결과 186
〈그림 3-79〉 KR659C20 편집 결과 188
〈그림 3-80〉 KR659C27 편집 결과 190
〈그림 3-81〉 KR659C28 편집 결과 192
〈그림 3-82〉 KR659C29 편집 결과 194
〈그림 3-83〉 KR659C30 편집 결과 196
〈그림 3-84〉 KR659C36 편집 결과 198
〈그림 3-85〉 KR659C37 편집 결과 200
〈그림 3-86〉 KR659C38 편집 결과 202
〈그림 3-87〉 KR659C39 편집 결과 204
〈그림 3-88〉 KR659C40 편집 결과 206
〈그림 3-89〉 KR659C45 편집 결과 208
〈그림 3-90〉 KR659C46 편집 결과 210
〈그림 3-91〉 KR659C55 편집 결과 212
〈그림 3-92〉 KR659C63 편집 결과 214
〈그림 3-93〉 KR659C64 편집 결과 216
〈그림 3-94〉 KR659C74 편집 결과 218
〈그림 3-95〉 KR659C75 편집 결과 220
〈그림 3-96〉 KR659C83 편집 결과 222
〈그림 3-97〉 KR659C84 편집 결과 224
〈그림 3-98〉 KR659C85 편집 결과 226
〈그림 3-99〉 KR659C92 편집 결과 228
〈그림 3-100〉 KR659C93 편집 결과 230
〈그림 3-101〉 KR659C94 편집 결과 232
〈그림 3-102〉 KR659D01 편집 결과 234
〈그림 3-103〉 KR659D11 편집 결과 236
〈그림 3-104〉 KR659D21 편집 결과 238
〈그림 3-105〉 KR669C00 편집 결과 240
〈그림 3-106〉 KR669C79 편집 결과 242
〈그림 3-107〉 KR669C80 편집 결과 244
〈그림 3-108〉 KR669C88 편집 결과 246
〈그림 3-109〉 KR669C89 편집 결과 248
〈그림 3-110〉 KR669C90 편집 결과 250
〈그림 3-111〉 KR669C98 편집 결과 252
〈그림 3-112〉 KR669C99 편집 결과 254
〈그림 3-113〉 KR67AD07 편집 결과 256
〈그림 3-114〉 KR67AD08 편집 결과 258
〈그림 3-115〉 KR67AD09 편집 결과 260
〈그림 3-116〉 KR5F4H22 편집 결과 264
〈그림 3-117〉 KR5F4H24 편집 결과 266
〈그림 3-118〉 KR5G1K42 편집 결과 268
〈그림 3-119〉 KR5G1N34 편집 결과 270
〈그림 3-120〉 KR5G3A33 편집 결과 272
〈그림 3-121〉 KR5G3A34 편집 결과 274
〈그림 3-122〉 KR5G3A43 편집 결과 276
〈그림 3-123〉 KR5G3B12 편집 결과 278
〈그림 3-124〉 KR5G3B14 편집 결과 280
〈그림 3-125〉 KR5G3B23 편집 결과 282
〈그림 3-126〉 KR5G3B31 편집 결과 284
〈그림 3-127〉 KR5G3B32 편집 결과 286
〈그림 3-128〉 KR5G3B33 편집 결과 288
〈그림 3-129〉 KR5G3B33 편집 결과 290
〈그림 3-130〉 KR5G3E11 편집 결과 292
〈그림 3-131〉 KR5G3E12 편집 결과 294
〈그림 3-132〉 KR5G3E13 편집 결과 296
〈그림 3-133〉 KR5G3E21 편집 결과 298
〈그림 3-134〉 KR5G3E23 편집 결과 300
〈그림 3-135〉 KR5G3E34 편집 결과 302
〈그림 3-136〉 KR5G3F11 편집 결과 304
〈그림 3-137〉 KR4F4H20 편집 결과 308
〈그림 3-138〉 KR4G1K40 편집 결과 310
〈그림 3-139〉 KR4G1N30 편집 결과 312
〈그림 3-140〉 KR4G1O10 편집 결과 314
〈그림 3-141〉 KR4G1O20 편집 결과 316
〈그림 3-142〉 KR4G1O30 편집 결과 318
〈그림 3-143〉 KR4G1O40 편집 결과 320
〈그림 3-144〉 KR4G3A30 편집 결과 322
〈그림 3-145〉 KR4G3A40 편집 결과 324
〈그림 3-146〉 KR4G3B10 편집 결과 326
〈그림 3-147〉 KR4G3B20 편집 결과 328
〈그림 3-148〉 KR4G3B30 편집 결과 330
〈그림 3-149〉 KR4G3B40 편집 결과 332
〈그림 3-150〉 KR4G3E10 편집 결과 334
〈그림 3-151〉 KR4G3E20 편집 결과 336
〈그림 3-152〉 KR4G3E30 편집 결과 338
〈그림 3-153〉 KR4G3F10 편집 결과 340
〈그림 3-154〉 통합해도제작시스템(HPD)의 품질관리 절차 342
〈그림 3-155〉 기본 편수를 완료한 도면 342
〈그림 3-156〉 가전자해도 제작 도면 343
〈그림 3-157〉 HPD Usage 변경 모식도 344
〈그림 3-158〉 Certificate 흐름도 345
〈그림 3-159〉 Validation Check 항목 346
〈그림 3-160〉 Source DB와 편집완료 도면과의 중첩검사 347
〈그림 3-161〉 Validation Check 347
〈그림 3-162〉 Certificate 상태 변경(Submit) 348
〈그림 3-163〉 Certificate 상태 변경(Verify) 349
〈그림 4-1〉 종이해도 제작 흐름도 353
〈그림 4-2〉 계획도 및 해도제작대장 355
〈그림 4-3〉 종이해도 편집 기본자료 356
〈그림 4-4〉 해도편집 자료를 이용한 해도제작 356
〈그림 4-5〉 종이해도 조류도 357
〈그림 4-6〉 종이해도 조류 입력정보 357
〈그림 4-7〉 항만시설운영세칙에 관한 고시 358
〈그림 4-8〉 해상교통관제 구역도 및 관제구역 범위 358
〈그림 4-9〉 무역항 해도제작 의견요청 359
〈그림 4-10〉 협의체 의견요청(울산항) 360
〈그림 4-11〉 협의체 의견요청(울산항(온산항)) 361
〈그림 4-12〉 협의체 의견요청(영일만항) 362
〈그림 4-13〉 협의체 의견요청(포항항) 363
〈그림 4-14〉 해양지명 고시현황 364
〈그림 4-15〉 항해용 간행물 품질검토 문서 367
〈그림 4-16〉 해도제작대장 제작요점 367
〈그림 4-17〉 종이해도 계획도 및 수심도 368
〈그림 4-18〉 종이해도 검사 단계 368
〈그림 4-19〉 종이해도 제작 구역도 369
〈그림 5-1〉 전자해도 제작 흐름도 483
〈그림 5-2〉 Compare Product to Source DB 485
〈그림 5-3〉 Apply Changes to Product 485
〈그림 5-4〉 Meta Object 생성 486
〈그림 5-5〉 Product Editor Validation Check 486
〈그림 5-6〉 dKart 검사 487
〈그림 5-7〉 SCAMIN 값 입력 488
〈그림 5-8〉 Group Sounding 488
〈그림 5-9〉 Certificate 상태 변경(Verify) 489
〈그림 5-10〉 전자해도 6단계 제작 구역도 490
〈그림 5-11〉 전자해도 5단계 제작 구역도 514
〈그림 5-12〉 전자해도 4단계 제작 구역도 521
〈그림 5-13〉 바다내비용 전자해도 제작 흐름도 526
〈그림 5-14〉 Meta Object 생성 529
〈그림 5-15〉 S-57 ⟶ 바다내비용 Mapping 529
〈그림 5-16〉 일관성 기준지침 530
〈그림 5-17〉 인코딩 기준 530
〈그림 5-18〉 Compare Product to Source DB 531
〈그림 5-19〉 Apply Changes to Product 531
〈그림 5-20〉 Product Editor Validation Check 532
〈그림 5-21〉 SCAMIN 값 입력 533
〈그림 5-22〉 Group Sounding 533
〈그림 5-23〉 바다내비용 Certificate 상태 변경(Verify) 534
〈그림 5-24〉 바다내비용 6단계 제작 구역도 535
〈그림 5-25〉 바다내비용 5단계 제작 구역도 570
〈그림 5-26〉 바다내비용 4단계 제작 구역도 577
〈그림 6-1〉 일반수로측량(남동해안) 성과 확인 585
〈그림 6-2〉 항행통보 문서 588
〈그림 6-3〉 Project Editor에서 Project 생성 589
〈그림 6-4〉 WORKSPACE 항수별로 제작 589
〈그림 6-5〉 항행통보 문서(축척 35,000) 589
〈그림 6-6〉 소스DB 반영(축척 35,000) 589
〈그림 6-7〉 항행통보 문서(해도축척 10,000) 589
〈그림 6-8〉 Source DB 반영(축척 25,000입력) 589
〈그림 6-9〉 포스코건설에서 수신한 교량 공사 도면(.DWG 파일) 590
〈그림 6-10〉 4부 무신호 변경 590
〈그림 6-11〉 무신호 위치변경으로 상세좌표 입력 590
〈그림 6-12〉 조사원 문의 후 SOURCE DB 수정 → 협회 송부용 문서에 기입 591
〈그림 6-13〉 항행통보 적용한 DB에 관련 업데이트 전자해도 S-57 목록 591
〈그림 6-14〉 한국해양조사협회 품질 검토 결과 문서 591
〈그림 6-15〉 S-57 적용 SCAMIN Rule File 592
〈그림 6-16〉 한국해양조사협회 S-57 전자해도 셀 목록 송부 592
〈그림 6-17〉 항행통보 보고용 문서 인수(한국해양조사협회) 593
〈그림 6-18〉 바다내비용 항행통보 업데이트 의뢰 문서 593
〈그림 6-19〉 바다내비용 업데이트 593
〈그림 6-20〉 Updated information 관계 설정 593
〈그림 6-21〉 바다내비 적용 SCAMIN Rule File 594
〈그림 6-22〉 바다내비용 항행통보 적용목록 594
〈그림 6-23〉 바다내비용 업데이트 확인사항 및 검수사항(비고 입력) 594
〈그림 6-24〉 소개정(참조) 기재 595
〈그림 6-25〉 항행통보 사항 반영 예시 595
〈그림 6-26〉 감독관 검수용 문서 596
〈그림 6-27〉 구축비용 산출 603
〈그림 6-28〉 구축기간(단기간, 장기간)에 따른 예산 비교 603
〈그림 6-29〉 제시안 - 신규DB 단기구축 계획 604
〈그림 6-30〉 S-101 DB구축 및 데이터 이관을 위한 단계별 주요 예상업무 605
〈그림 6-31〉 차세대 전자해도 기반 전환계획(안) 606
〈그림 7-1〉 품질관리 조직도 609
〈그림 7-2〉 품질관리 계획 611
〈그림 7-3〉 보안대책 613
〈그림 7-4〉 보안교육 615
〈그림 7-5〉 보안점검 617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217041 | 551.460285 -25-2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3217042 | 551.460285 -25-2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서가번호: 35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