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제출문
참여진
목차
1. 사업개요 23
1.1. 사업명 : 2024년 3차원 해양 디지털트윈 및 해양안전정보 제작 23
1.2. 사업기간 : 2024년 03월 26일~2024년 11월 30일(250일) 23
1.3. 사업목적 23
1.4. 사업범위 23
1.4.1. 내용적 범위 23
1.4.2. 공간적 범위 24
1.5. 사업수행 조직 25
1.5.1. 사업수행 조직 체계 25
1.5.2. 사업수행 참여 인력 26
1.6. 최종 산출물 26
2. 3차원 해양 디지털트윈 제작·고도화 및 제도방안 연구 27
2.1. 디지털트윈 기반 3차원 해양공간정보 구축 27
2.1.1. 디지털트윈 기반 3차원 해양공간정보 구축 배경 및 목적 27
2.1.2. 디지털트윈 기반 3차원 해양공간정보 구축 업무 범위 28
2.1.3. 디지털트윈 기반 3차원 해양공간정보 구축 결과 개요 29
2.1.4. 자료수집 및 분석 30
2.1.5. 3차원 해양공간정보 구축(공통사항) 34
2.1.6. 3차원 육상·해양 연속지형정보 구축 37
2.1.7. 정사영상 구축 49
2.1.8. 3차원 육상객체정보 구축 54
2.1.9. 3차원 해양객체정보 구축 67
2.1.10. 3차원 해양안전정보 구축 97
2.2. 3차원 해양 디지털트윈 해양환경·물리 구현 고도화 129
2.2.1. 3차원 해양 디지털트윈 해양환경·물리 고도화 연구 배경 및 목적 129
2.2.2. 3차원 해양 디지털트윈 해양환경·물리 연구 고도화 업무 범위 130
2.2.3. 3차원 해양 디지털트윈 해양환경·물리 방안 연구 고도화 결과 개요 132
2.2.4. 해양 디지털트윈 정보제공 및 기능구성 방안 연구 133
2.2.5. 해양 디지털트윈 정보이용환경 고려한 운영 및 관리 방안 마련 연구 142
2.2.6. 디지털트윈 환경에서의 해양수체 운동의 물리적 가시화 기술 연구 147
2.2.7. 조위관측소 거리차에 따른 국소지역적 조위 편차 해결 방안 연구 155
2.2.8. 정표고(인천평균해수면, IMSL)를 고려한 수직기준면 동시 이용 방안 마련 연구 162
2.2.9. 해양 및 육상지역의 수직기준 등 각종 측정방식 기술 방안 연구 164
2.2.10. 해안침수 가시화 기술 개선 및 비교검증 기술 방안 연구 170
2.3. 표준화된 3차원 해양 디지털트윈 제작을 위한 제도화 방안 연구 174
2.3.1. 표준화된 3차원 해양 디지털트윈 제작을 위한 제도화 방안 연구 배경 및 목적 174
2.3.2. 해양 디지털트윈 제작 대상지 선정 기준과 제작 계획(안) 수립 방안 마련 연구 175
2.3.3. "3차원 해양공간정보 제작 지침(가제)" 마련 방안 연구 204
2.3.4. "3차원 해양공간정보 제작 관련 업무규정(안)" 마련 및 법령 제정 방안 마련 연구 220
2.3.5. "3차원 해양공간정보 구축"을 위한 '표준품셈' 마련 연구 252
2.3.6. 해양 디지털트윈 실현가능 모의 시나리오 발굴 및 구성(안) 마련 연구 275
3. 해양안전정보 데이터셋 제작 293
3.1. 해양안전정보 데이터셋 제작 업무 범위 293
3.1.1. 해양안전정보 데이터셋 제작 업무의 범위 및 결과보고 목록 293
3.2. 해양안전정보 데이터셋 제작 결과 개요 294
3.3. 자료수집 및 분석 295
3.3.1. 자료수집 개요 295
3.3.2. 자료수집 대상 295
3.3.3. 자료수집 결과 296
3.4. 해양 객체정보 현행화 297
3.4.1. 제작목적 297
3.4.2. 자료수집 297
3.4.3. 자료분석 300
3.4.4. 해양객체정보 구축방법 307
3.4.5. 해양객체정보 구축결과 317
3.5. 육상 객체정보 현행화 324
3.5.1. 제작목적 324
3.5.2. 자료수집 324
3.5.3. 자료분석 325
3.5.4. 육상객체정보 구축방법 328
3.5.5. 육상객체정보 구축결과 331
3.6. 법령기반 해양안전정보 구축 및 현행화 333
3.6.1. 제작목적 333
3.6.2. 자료조사 333
3.6.3. 자료분석 337
3.6.4. 법령기반 해양안전정보 구축 예시 339
3.6.5. 법령기반 해양안전정보 구축결과 342
3.6.6. 표준규격 해양정보 단위데이터 제작 344
3.7. AIS 및 V-Pass 선박통항통항량정보 현행화 350
3.7.1. 제작목적 350
3.7.2. 자료조사 350
3.7.3. 자료분석 352
3.7.4. 선박통항량정보 구축방법 353
3.7.5. 선박통항량정보 구축결과 360
3.8. 선박·인명 해양사고정보 현행화 362
3.8.1. 제작목적 362
3.8.2. 자료조사 362
3.8.3. 자료분석 365
3.8.4. 선박·인명 해양사고정보 구축방법 365
3.8.5. 선박·인명 해양사고정보 구축결과 371
3.9. 어장정보 현행화 378
3.9.1. 제작목적 378
3.9.2. 자료조사 378
3.9.3. 자료분석 380
3.9.4. 어장정보 구축방법 386
3.9.5. 어장정보 구축결과 390
3.10. 수치조류 예측정보 현행화 391
3.10.1. 제작목적 391
3.10.2. 자료조사 391
3.10.3. 자료분석 392
3.10.4. 수치조류예측정보 구축방법 393
3.10.5. 수치조류 예측정보 구축결과 395
3.11. 해안침수예상정보 현행화 397
3.11.1. 제작목적 397
3.11.2. 자료조사 397
3.11.3. 자료분석 397
3.11.4. 해안침수예상정보 구축방법 398
3.11.5. 해안침수예상정보 구축결과 399
3.12. 해양과학조사정보 현행화 401
3.12.1. 제작목적 401
3.12.2. 자료조사 401
3.12.3. 자료분석 402
3.12.4. 해양과학조사정보 구축방법 403
3.12.5. 해양과학조사정보 구축결과 407
3.13. 해안선정보 현행화 408
3.13.1. 제작목적 408
3.13.2. 자료조사 408
3.13.3. 자료분석 408
3.13.4. 해안선정보 구축방법 410
3.13.5. 해안선정보 구축결과 410
3.14. '개방海' 및 '공유海' 서비스 정보 갱신 지원 및 이용현황 분석 412
3.14.1. 목적 412
3.14.2. 내용 412
3.14.3. 결과 417
3.15. 해양안전정보 데이터셋 성과검수 419
3.15.1. 검사대상 419
3.15.2. 검사항목 419
3.15.3. 오류산정기준 및 품질등급 419
3.15.4. 해양안전정보 데이터셋 품질검수 결과 및 조치사항 420
3.15.5. 해양안전정보 데이터셋 품질검수 최종결과 423
4. 해양정보 활용서비스 온·오프라인 홍보 424
4.1. 배경 및 목적 424
4.1.1. 추진배경 424
4.1.2. 목적 424
4.2. 해양관련 박람회 현장 홍보 424
4.2.1. 홍보 전략 424
4.2.2. 홍보 준비 425
4.2.3. 홍보 실시 432
4.2.4. 홍보 결과 436
4.3. 해양레저 관련 행사 현장 홍보 438
4.3.1. 홍보 전략 438
4.3.2. 홍보 준비 438
4.3.3. 홍보 실시 442
4.3.4. 홍보 결과 445
4.4. 해수욕장 현장 홍보 447
4.4.1. 홍보 전략 447
4.4.2. 홍보 준비 447
4.4.3. 홍보 실시 452
4.4.4. 홍보 결과 455
4.5. 유튜브 홍보 457
4.5.1. 홍보 전략 457
4.5.2. 홍보 실시 459
4.5.3. 홍보 결과 461
4.5.4. 홍보 기타 463
5. 결론 464
5.1. 사업 성과 및 결론 464
5.2. 향후계획 및 제언 474
판권기 477
[뒷표지] 478
〈그림 1-1〉 사업수행 조직 25
〈그림 2-1〉 해양객체 교량 모델링 구축 대상 위치도 69
〈그림 2-2〉 3차원 해양객체정보 제작 범위 72
〈그림 2-3〉 3차원 해양공간정보 뷰어 상에 해안침수예상도 자료 표출 122
〈그림 2-4〉 부산지역 조위관측소, 해양관측부이 분포 현황 125
〈그림 2-5〉 3차원 해양공간정보 뷰어 인트로 화면 134
〈그림 2-6〉 3차원 해양공간정보 뷰어 관리자 로그인 화면 135
〈그림 2-7〉 3차원 해양공간정보 뷰어 Dashboard 화면 135
〈그림 2-8〉 레이어 관리 화면 136
〈그림 2-9〉 연계데이터 - 목록 및 관리 화면 137
〈그림 2-10〉 연계데이터 - 현황 화면 137
〈그림 2-11〉 목록관리 〉 데이터 조회 및 시각화 화면 138
〈그림 2-12〉 사용자 정보 〉관리 화면 139
〈그림 2-13〉 사용자 정보 〉사용자 관리 화면 139
〈그림 2-14〉 통계 관리 〉서비스 사용 통계 화면 140
〈그림 2-15〉 해양객체정보 속성정보 및 메타정보 화면 141
〈그림 2-16〉 육상객체정보 조회 및 범례 표출 141
〈그림 2-17〉 해양 디지털트윈 하드웨어 구성 142
〈그림 2-18〉 해양 디지털트윈 소프트웨어 구성 143
〈그림 2-19〉 국립해양조사원 내부망 운영 시스템 구성도 144
〈그림 2-20〉 시스템 설치 결과 145
〈그림 2-21〉 파고 설정에 따른 해수면 148
〈그림 2-22〉 파고 설정에 따른 해수면 변화 148
〈그림 2-23〉 수치조류도 계산식 150
〈그림 2-24〉 사업 대상지역 연구 151
〈그림 2-25〉 사업 대상지역 연구 반영 152
〈그림 2-26〉 해양수체 운동 가시화 반영 152
〈그림 2-27〉 해안선 부근 파도 표출 전후 비교 153
〈그림 2-28〉 현실적인 해양수체 재현 결과 153
〈그림 2-29〉 유의 파고에 따른 변화 154
〈그림 2-30〉 개정수 사용 예시 157
〈그림 2-31〉 사업대상 영역과 조시차/조고비 데이터 영역 상이 158
〈그림 2-32〉 조시차/조고비 조회 화면 159
〈그림 2-33〉 조화상수 조회 화면 159
〈그림 2-34〉 해안선변화조사 측량성과 수심 데이터 160
〈그림 2-35〉 측량성과 수심정보 화면 161
〈그림 2-36〉 정표고 육상연계데이터 분석 162
〈그림 2-37〉 인천평균해수면(IMSL) 수심 자료 163
〈그림 2-38〉 인천평균해수면(IMSL) 적용 및 가시화 163
〈그림 2-39〉 육상객체 높이 값 측정 화면 164
〈그림 2-40〉 수직기준면 별 설명 165
〈그림 2-41〉 수직기준면 별 해수위 변동 가시화 166
〈그림 2-42〉 해양객체 통과 높이 값 측정 화면 167
〈그림 2-43〉 좌표 선택 및 예시 168
〈그림 2-44〉 입력 지점 측정 화면 169
〈그림 2-45〉 조위에 따른 수심 측정 169
〈그림 2-46〉 색상 변화로 보는 해수면 높이 170
〈그림 2-47〉 해수면 상승 시뮬레이션 171
〈그림 2-48〉 해안침수 시뮬레이션 화면 173
〈그림 2-49〉 3차원 국토DB와 3차원 국가기본도의 관계 176
〈그림 2-50〉 국토지리정보원의 기관표준 개발 과정 181
〈그림 2-51〉 사물인터넷 기반의 제조 디지털 트윈 프레임워크 182
〈그림 2-52〉 디지털 트윈국토의 표준 및 체계 수립 방향 182
〈그림 2-53〉 해양공간정보 생애주기 기반 활동 200
〈그림 2-54〉 3차원 해양공간정보 표준화 추진방향 및 전략 201
〈그림 2-55〉 3차원 해양공간정보 표준화 로드맵(2025-2027) 202
〈그림 2-56〉 해양조사정보법의 법령체계 241
〈그림 2-57〉 3차원 해양정보 시범제작 구역범위 266
〈그림 2-58〉 육·해상 및 안전객체 제작 예시 269
〈그림 2-59〉 기후변화에 시나리오에 따른 온도 및 해수면 높이 상승 277
〈그림 2-60〉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를 통해 '위기의 도시' 제공 277
〈그림 2-61〉 Polar Code Service 'Global Ocean Ostia Sea Surface Temperature and Sea Ice Analysis' 278
〈그림 2-62〉 해양 관측소(BSO) 웹 기반 해안 모니터링 서비스 279
〈그림 2-63〉 Black Se aFisheries Digital Twin 모식도 280
〈그림 2-64〉 해양기상부이 282
〈그림 2-65〉 해양기상부이 자료 282
〈그림 2-66〉 조위관측소 283
〈그림 2-67〉 조석예보 283
〈그림 2-68〉 해수면 온도 284
〈그림 2-69〉 해상풍력단지 설치 및 후보지 285
〈그림 2-70〉 해양 오염물질 괭생이모자반 분포 286
〈그림 2-71〉 해양용도구역(예시) 287
〈그림 2-72〉 부산 해양공간관리 계획도 287
〈그림 2-73〉 2023년 해양교통안전지수 288
〈그림 2-74〉 실시간 해양교통정보 288
〈그림 2-75〉 시나리오 기반 해수면 상승 289
〈그림 2-76〉 '실시간 조위', '선박의 높이', '고가시설물의 높이' 등을 활용한 교량의 실시간 높이 표현 290
〈그림 2-77〉 해수면 상승에 따른 침수 취약 면적 및 건물 산출 291
〈그림 2-78〉 서해 보령 부근 연안 침수 취약 건물 분석 291
〈그림 3-1〉 레벨(Band) 및 Cell 단위별 분리 객체 병합 과정 309
〈그림 3-2〉 아산만 방조제 부근 해안선 편집 예시 315
〈그림 3-3〉 화성방조제 부근 해안선 편집 315
〈그림 3-4〉 육상객체정보 테이블정의서 예시 329
〈그림 3-5〉 육상객체정보 구축결과 표출화면 331
〈그림 3-6〉 육상객체정보 구축결과 속성정보 예시 331
〈그림 3-7〉 해양정보 활용시스템 내 육상객체정보 표출현황 332
〈그림 3-8〉 해양정보 활용시스템 내 '데이터셋' 다운로드 파일 제공 현황 332
〈그림 3-9〉 법령기반 해양안전정보 해안선 자료 활용 예시(공동영업 구역) 341
〈그림 3-10〉 법령기반 해양안전정보 해안선 자료 활용 예시(습지보호 지역) 341
〈그림 3-11〉 단위데이터 명세에 따른 단위데이터 식별의 예 344
〈그림 3-12〉 단위데이터 구조 설계 예시(모델 KR173 조업구역) 346
〈그림 3-13〉 단위데이터 모델 생성 예시(모델 KR173 조업구역) 346
〈그림 3-14〉 단위데이터 모델 입력 예시 347
〈그림 3-15〉 AIS 및 V-Pass 항적기록정보 연번적용 예시 355
〈그림 3-16〉 선박위치정보에 대한 격자형 데이터 매핑과정 예시 359
〈그림 3-17〉 AIS 및 V-Pass 격자형 통항밀도정보 구축 결과 예시 359
〈그림 3-18〉 해양경찰청 사고지점 오류정보(좌표 누락 및 오기) 365
〈그림 3-19〉 해양안전심판원 사고지점 오류정보(좌표 누락 및 오기) 366
〈그림 3-20〉 선박 및 인명 해양사고정보 공간정보화 예시 366
〈그림 3-21〉 표준 격자 자료 구축 예시 366
〈그림 3-22〉 표준 격자 자료 명명 규칙 367
〈그림 3-23〉 격자형 선박 해양사고정보 색상 테이블 368
〈그림 3-24〉 해양수산 빅데이터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전국단위 어장정보 378
〈그림 3-25〉 어장정보 데이터 구조 변경 결과 388
〈그림 3-26〉 어장정보 현행화 데이터셋 결과 389
〈그림 3-27〉 어장정보 해양정보 활용시스템 표출 예시 389
〈그림 3-28〉 수치조류도 제작과정 도곽별 저장 예시 393
〈그림 3-29〉 수치조류도 제작과정15x15 사이즈 도엽별 바이너리 저장 예시 394
〈그림 3-30〉 수치조류도 제작과정 1개의 파일로 바이너리 병합 예시 395
〈그림 3-31〉 해양과학조사자료 점형 자료 편집 방법 예시 403
〈그림 3-32〉 해양과학조사자료 선형 자료 편집 방법 예시 403
〈그림 3-33〉 해안선정보 개방海 서비스 표출 예시 409
〈그림 3-34〉 해안선정보 구분 제작 예시 410
〈그림 3-35〉 해양안전정보 데이터셋 이용현황 그래프 418
〈그림 4-1〉 해양 모빌리티 안전 엑스포 개최 426
〈그림 4-2〉 2024 경남 국제 해양레저 및 낚시박람회 426
〈그림 4-3〉 룰렛 이벤트 돌림판 429
〈그림 4-4〉 박람회 홍보 행사 위치 432
〈그림 4-5〉 박람회 현장홍보 기간 출처별 다운로드 결과 437
〈그림 4-6〉 박람회 현장홍보 기간 일자별 다운로드 및 누적 다운로드 결과 437
〈그림 4-7〉 2024 보령컵 국제요트대회 438
〈그림 4-8〉 제105회 전국체육대회 요트경기 439
〈그림 4-9〉 제2회 거북선배 전국요트대회 439
〈그림 4-10〉 2024 보령컵 국제요트대회 위치 442
〈그림 4-11〉 제105회 전국체육대회 요트경기 위치 443
〈그림 4-12〉 제2회 거북선배 전국요트대회 위치 444
〈그림 4-13〉 해양레저 현장홍보 출처별 다운로드 결과 446
〈그림 4-14〉 해양레저 현장홍보 일자별 다운로드 및 누적 다운로드 결과 446
〈그림 4-15〉 전국 해수욕장 개·폐장 시기 447
〈그림 4-16〉 머드축제 및 엑스포 광장 위치 449
〈그림 4-17〉 머드 엑스포광장 안내 450
〈그림 4-18〉 송정 해수욕장 '죽도 공원' 위치 450
〈그림 4-19〉 대천 해수욕장 홍보 행사 위치 452
〈그림 4-20〉 송정 해수욕장 홍보 행사 위치 452
〈그림 4-21〉 해수욕장 현장홍보 기간 출처별 다운로드 결과 456
〈그림 4-22〉 해수욕장 현장홍보 기간 일자별 다운로드 및 누적 다운로드 결과 456
〈그림 4-23〉 유튜브 콘텐츠 업로드 기간 출처별 다운로드 결과 462
〈그림 4-24〉 유튜브 콘텐츠 업로드 기간 일자별 다운로드 및 누적 다운로드 결과 462
〈그림 5-1〉 해양안전지도 제작 추진연혁 464
〈그림 5-2〉 해양정보 활용시스템용 정보제공 구성도 465
〈그림 5-3〉 디지털트윈 플랫폼 구성 예시 465
〈그림 5-4〉 2D 기반의 해양정보의 한계점과 3D 기반 환경의 필요성 466
〈그림 5-5〉 해양사고정보 등 5종의 데이터셋에 대한 이용통계 분석 결과 469
〈그림 5-6〉 3차원 해양공간정보 추가선정(안) 결과 471
〈그림 5-7〉 3차원 해양공간정보 표준화 로드맵 결과(3개년) 471
〈그림 5-8〉 교량 실측 및 촬영 예시(현장조사 필요성) 472
〈그림 5-9〉 현실적인 3차원 해양객체모델의 추가제공 예시 473
〈그림 5-10〉 3차원 육·해양 연속지형정보의 디자인 고도화 예시 475
〈그림 5-11〉 3차원 육상객체정보(건물)의 이원화 예시 475
〈그림 5-12〉 향후 '3차원 해양공간정보 뷰어'가 나아가야 할 방향 제시(해양의 V-World) 476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217047 | 551.46 -25-27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3217048 | 551.46 -25-27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서가번호: 35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