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첫날 ㆍ 18 서로에게 선물이 되는 공동체 ㆍ 18 실로암사람들과 함께한 30년은 은혜다 ㆍ 20 나에게 박필순 권사님은 선물이다 ㆍ 21 아름다운 것들은 천천히 온다 ㆍ 22 직원워크숍은 목마름이었다 ㆍ 23 실로암사람들과 신원벧엘교회는 형제다 ㆍ 25 우리 시대의 어머니를 보내며 ㆍ 26 순천장애인보호작업장은 실로암사람들의 자랑이다 ㆍ 27 조재형 감독을 응원하는 사람들 ㆍ 28 꿈을 향해 직진 중 ㆍ 29 한 사람이 안전하지 않으면 모두가 위험하다 ㆍ 31 예산 없이 권리 없다! ㆍ 32 그들은 물었고 우리는 답했다 ㆍ 35 별꽃 시인 김경원 ㆍ 36 하늘의 친구에게 ㆍ 37 전형도 님에 대한 감사와 기대 ㆍ 38 청캠은 설렘이고 눈물이고 그리움이다 ㆍ 39 함께 꿈을 꾼다 ㆍ 40 기독교와 무속 ㆍ 41 한국 현대사의 비극을 몸으로 안고 살다 ㆍ 42 들꽃시인 홍선영을 기억한다 ㆍ 43 강신석 목사님의 정신을 이어갈 것이다 ㆍ 45 65세가 장애인 삶의 데드라인(deadline)인가? ㆍ 46 블링크TV를 아는가? ㆍ 48 그녀는 농인 바리스타다 ㆍ 50 세계일주를 꿈꾸는 청년 ㆍ 51 그리움이 자라 희망이 되다 ㆍ 53 차별없는 장애인 평생교육권 보장하라 ㆍ 54 고주혁의 도전은 계속된다 ㆍ 55 정대 씨에게 자원봉사란? ㆍ 57 받아쓰기는 존재에 대한 재발견이다 ㆍ 58 정재숙이 돌아왔다 ㆍ 59 장애인 주거는 생존권적 기본권이다 ㆍ 61 안치환은 대체불가한 가수다 ㆍ 62 힘든 하루를 보내며 ㆍ 63 마음의 틈을 만든다는 것 ㆍ 64 방관하지 않고 주는 사랑 ㆍ 66 고마워요, 쫄리형! ㆍ 67 모두를 위한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을 소망한다 ㆍ 69 평화와 미래를 위해 선택하자 ㆍ 71 저녁 산책의 즐거움 ㆍ 72 3월 10일 아침에 ㆍ 73 이번에는 김대덕 님 차례다 ㆍ 75 무진장애인장학회 장학금은 디딤돌이다 ㆍ 76 은선 자매랑 갈비 뜯을 사람? ㆍ 77
2부 그립고 미안하고 아프다
올해 꼭 하고 싶은 것들 ㆍ 80 새빛콜의 현황과 제안 ㆍ 81 문경희는 불사조다 ㆍ 82 그립고 미안하고 아프다 ㆍ 84 엄마다, 잘 가라 ㆍ 85 지금과 그때 ㆍ 87 도영에게 ㆍ 88 인간의 존엄을 지키는 일 ㆍ 89 창경에게 꽃을 보낸다 ㆍ 90 가로등 아래서 만나는 사내 ㆍ 91 이준석 대표 발언을 규탄한다 ㆍ 92 이제는 검토가 아니라 결정하라 ㆍ 93 지애는 실로암에게 선물이다 ㆍ 94 장애인 접근성을 토론하는 곳에 장애인 접근이 불가능하다면? ㆍ 96 코로나19와 장애인 인권 ㆍ 97 잊지 않고 기억하겠다 ㆍ 98 세월호의 진실은 팽목항에서 시작된다 ㆍ 99 투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ㆍ 100 10년 만의 삭발 ㆍ 102 발달장애인 24시간 지원체계 구축하라! ㆍ 103 싸워서 지더라도 잊히지는 말자 ㆍ 103 똥 싸는 소리에는 특별한 힘이 있다 ㆍ 105 처가격리를 시작하다 ㆍ 106 컨디션이 회복되었다 ㆍ 107 나에게 자랑하고 싶은 책이 생겼다 ㆍ 108 ‘그냥, 사람’을 읽어야 하는 이유 ㆍ 110 문제를 문제라고 지적하지 않는 사회 ㆍ 111 7일간의 특별한 휴가 ㆍ 112 북구청의 결단을 촉구한다 ㆍ 113 학생기록부는 지적장애 판단의 필수사항이 아니다 ㆍ 114 566일 만의 자유 ㆍ 115 실로암사람들 행암동 시대가 열리다 ㆍ 116 교회는 믿음의 도서관이다 ㆍ 117 저항과 연대의 5·18 정신으로 투쟁하자 ㆍ 118 일권 씨는 목요모임을 기다린다 ㆍ 120 정 많은 미정 씨의 꿈 ㆍ 121 장클라의 도전은 진행형이다 ㆍ 122 실로암의 길잡이가 된 참된 스승 ㆍ 124 꽃보다 아름다운 당신 ㆍ 126 황신애 님의 빛나는 삶을 응원한다 ㆍ 127 우주의 중심에서 예배하다 ㆍ 129 공동체 고백이 삶에서 이루어 지기를 ㆍ 130 일상에서 낯섦을 발견하라 ㆍ 132 장애인의 이동권을 제한하지 마라 ㆍ 133 골목길음악회에서 옥상음악회로 ㆍ 134 박노해의 시는 울컥이다 ㆍ 137 임은정 검사와 함께 가보겠습니다 ㆍ 138
3부 당당하게 당연하게 예외 없이
헌법재판소도 법원도 인권도 무시하는 광주광역시 복지행정 각성하라 ㆍ 142 살아 주어서 고맙다 ㆍ 143 우영우 변호사에게 물어보라 ㆍ 145 2022 살아서는 존중을, 죽어서는 기억을 ㆍ 146 야구장에서 만난 사람들 ㆍ 148 새빛콜, 분리배차가 답이다 ㆍ 149 스위치온은 디딤돌이다 ㆍ 150 반창고로 부터 시작된 만남 ㆍ 151 내가 가진 모든 것은 다 네 것이다 ㆍ 153 수어 공부는 즐겁다 ㆍ 154 오방 보치아대회는 감동이다 ㆍ 155 광주광역시는 장애인 공동생활가정 관련 ㆍ 156 약속을 이행하라! ㆍ 156 빈소도 없이 순자 씨를 보내다 ㆍ 158 주월산 정상에서 추석을 맞다 ㆍ 159 자립생활, 욕구에서 권리로! ㆍ 160 기용 씨가 응원하는 것? ㆍ 161 인권적인 인권기념관을 만들자 ㆍ 163 토요일이 준 선물 ㆍ 164 새빛콜 최저운행률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ㆍ 166 당당하게 당연하게 예외 없이 ㆍ 168 참사는 사람을 가려오지 않는다 ㆍ 169 하나된소리에 대한 기대와 감사 ㆍ 171 자립생활의 중심은 사람이다 ㆍ 172 성탄절 ㆍ 173 팀보다 위대한 선수는 없다 ㆍ 173 새로운 한 해 ㆍ 176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사람과 더불어 ㆍ 176 그녀는 탈시설 자립생활의 선구자였다 ㆍ 177 고 김종문 간사 4주기를 보내며 ㆍ 179 직원워크숍은 팀실로암의 작전타임이다 ㆍ 180 보조기가 부러지자 모든 것이 정지되었다 ㆍ 181 고맙다는 말 ㆍ 182 유품을 정리하며 ㆍ 184 설연휴를 보내고 ㆍ 185 실로암센터에 강신석 목사님 부부 그림을 걸다 ㆍ 185 장애인 이동권은 인권 도시의 척도 ㆍ 187 봄날엔~ 희망나눔은 팀실로암의 꽃이다 ㆍ 189 아픔을 직시하는 힘이 아픔을 넘는다 ㆍ 190 역사정의를 위한 시민모금에 참여하다 ㆍ 193 루게릭 장애인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ㆍ 194 내가 할 수 있는 일이어서 다행이다 ㆍ 197 장애시민 투쟁은 만인의 투쟁이다 ㆍ 198 쫄지마! ㆍ 201 자립은 능력의 집합이 아니다 ㆍ 201 회갑 인사 ㆍ 203 모두에게 기쁜 소식 ㆍ 204 행복하십니까? 아니요 감사합니다! ㆍ 204
4부 삶은 과정 자체가 목표다
새해 인사 ㆍ 208 우리 안에서, 우리를 통하여 ㆍ 208 다시 청캠이다 ㆍ 210 설레는 날 ㆍ 211 고마워요, 당당한 경희 씨! ㆍ 211 그 세월은 잊지 말자 ㆍ 213 2024 봄날엔~ 희망나눔 ㆍ 213 육남 씨의 묘에는 작약이 핀다 ㆍ 214 부서지기 쉬운 그래서... ㆍ 215 당신의 교회에는 문턱이 있습니까? ㆍ 217 상호 형제를 묻다 ㆍ 219 관성이 아니라 비전이다 ㆍ 219 평화가 유일한 길이다 ㆍ 220 2024 살아서는 존엄을, 죽어서는 기억을! ㆍ 230 꽃잎이 떨어질 땐 어떤 소리가 나? ㆍ 233 광주와 복지에 진심인 사람 ㆍ 234 은혜로다 ㆍ 235 계급장이 없는 곳 ㆍ 237 카페홀더에는 ‘수달’이 있다 ㆍ 238 추석에 ㆍ 240 최저운행률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요구한다 ㆍ 240 10년을 이렇게 ㆍ 241 팽목 기억캠프에서 ㆍ 242 새빛콜 파행운행 교통국장 항의방문을 마치고 ㆍ 243 삶은 과정 자체가 목표다 ㆍ 246 1956년생, 文敬姬 ㆍ 247 문경희는 우리다 ㆍ 249 우리는 서로 기대어 산다 ㆍ 250 배우고 도전하며 산다 ㆍ 251 계엄의 밤을 기억할 것이다 ㆍ 253 기존 3급 장애인에 대한 ㆍ 254 장애인콜택시 이용을 허하라 ㆍ 254 탄핵커피는 맛있다 ㆍ 256 금남로에서 탄핵커피를 나누다 ㆍ 256 카페홀더 열세 살, 더 번창해라! ㆍ 258 메리 크리스마스! ㆍ 259 문경희가 온다 ㆍ 260 자립은 나의 장르다 ㆍ 261 나에게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은 장애인과 함께하는 것이다 ㆍ 262
글을 마치며 ㆍ 265
이용현황보기
우리는 서로 기대어 산다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87231
811.8 -25-217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87232
811.8 -25-217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이 글은 받아쓰기다. 받아쓰기는 불러주는 사람이 있어야 가능하다. 다행히 내 주위에는 삶으로 이야기하는 분들이 많다. 내게 복이 되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나태주 시인의 시처럼 자세히 보아야, 오래 보아야” 이야기가 들려온다. 자본과 속도와 경쟁에 가려져 보이지 않던 사람들의 풀꽃 같은 삶이 드러난다.
이 책의 공동저자는 실로암사람들 회원과 직원이다. 이들이 있어서 내가 여기 있다. 산산조각이 난 삶도 자신만의 소리를 낼 수 있다는 사실을 가르쳐준 스승들이다. 이들의 이야기가 들려올 때가 내게는 카이로스의 시간이다. 받아쓰기는 나의 생각과 삶을 벼린다. 안주하려는 마음을 다잡아 벼랑에 세우고, 어디를 향해 가야 하는지 삶의 이정표를 확인하게 한다.
시간이 지났지만 만났던 사람들의 향기가 그리워 책으로 묶었다. 물론 적잖은 용기가 필요한 일이기도 했다. 활자로 다시 태어난 이야기들이 누군가에게 선물이 되었으면 좋겠다. 돌아보니 영화 ‘어바웃 타임’에서 말하는 것처럼 하루를 두 번 사는 느낌이다.
아쉽게도 점점 글쓰기가 힘에 부친다. 그래도 이만큼이라도 건져 올린 삶의 흔적이 고맙다. 아무도 주목하지 않은 연약한 사람들에 대한 시선을 거두지 않았기 때문이다. 앞으로 몇 번의 봄을 더 맞게 될지 모르지만 간절함이 사라지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나의 무기는 ‘간절함’이다. 격려와 사랑으로 용기를 주신 시와사람 강경호 선생님께 깊이 감사한다.
책속에서
새해 첫날
새날이 밝았네요. 저는 올해 60이 되었습니다. 지난날은 감사하고 새로운 날은 소망을 갖게 합니다. 이순(耳順), 자신의 빛깔과 향기에 알맞게 익어가고 싶습니다. 변하지 않는 가치를 굳게 붙잡아야겠습니다. God bless you! (2022.01.01)
서로에게 선물이 되는 공동체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되었다. 다이어리를 새로 구입하고, 달력을 넘기는 것은 마음의 자세를 새롭게 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돌아보면 2년 여의 시간은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어려움도 있었지만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2022년이 기대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지난해에는 실로암공동체의 아버지, 강신석 목사님이 별세하였다. 세상의 가장 낮은 곳에서 살아가는 이들과 함께했던 강 목사님의 삶과 사역은 실로암사람들의 나침반이 되었다. 장례식을 마치고 강의준 목사님과 유가족들은 조의금으로 들어온 3천만 원을 후원해 주셨다. 지금 생각해도 가슴이 먹먹해지고 눈물이 난다. 2021년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힘든 시간을 보내면서도 이팝너머 증축과 실로암센터 2호관 이전, 오방센터 구입 등 굵직한 일들이 있었다. 비대면으로 진행되었던 희망나눔은 사막에서 만난 오아시스였다. 또한 실로암공동체가 코로나 팬데믹 아래에서도 무탈하게 여기까지 온 것은 은혜요 감사다. 2022년은 실로암사람들 창립 46주년을 맞는 해이다. 해가 거듭될수록 고민은 어떻게 실로암공동체의 향기와 빛깔을 간직해 나갈 것인가이다. 우리는 “하나님 나라를 위해 일한다. 연약한 사람들과 함께한다. 모두를 위한 공동선을 추구한다.”라는 미션에 더욱 다가가는 해가 되기 바란다. 실로암사람들은 하나님 나라와 연약한 사람들과 공동선을 마음에 새기고 살아갈 것이다. 2022년의 표어는 ‘서로에게 선물이 되는 공동체’다. 공동체(community)는 함께(com)와 선물(munus)이 모인 말로 ‘서로에게 선물이 되는 모임’이라는 의미다. 우리 모두가 선물이다. 로완 윌리엄스는 “모든 사람에게는 각자 다른 누군가에게 줄 선물이 있다. 모든 사람에게는 한 사람 한 사람이 가진 선물이 필요하다.”라고 말한다. 2022년에 2% 나눔 운동을 제안한다. 1%는 실로암사람들 (부설)기관에 후원하고, 1%는 실로암센터 건립을 위해 후원하는 것이다. 실로암사람들의 미래를 위해서는 반드시 실로암센터의 건립이 필요하다. 아무리 어렵더라도 지금 심지 않으면 미래의 열매는 없다. 물이 기울어 파도가 되듯 마음이 기울면 실로암사람들의 기적을 만들어 낼 것이다. 하나님의 긍휼과 인도하심이 실로암사람들과 함께하시길 빈다. (2022.01.03)
실로암사람들과 함께한 30년은 은혜다
내 나이 60이 되었다. 한마디로 살만큼 살았다. 이순(耳順), 말 그대로 어떤 말을 들어도 귀에 거슬림이 없기를 바란다. 김기석 목사는 나이 든 사람이 경계해야 할 것으로 교만함, 시기심, 통제하려는 마음, 태만함을 꼽았다. 경계할 것은 경계하고 묻고 배우려는 열정은 늘 간직하고 싶다. 직원 단톡방에 30년 근속 축하의 글이 올라왔다. 1992년 1월 2일에 입사하여 30년을 실로암사람들과 함께했다. 학교를 졸업하고 첫 직장으로 들어와 작고 가난한 마음으로 시작했는데, 하나님의 은혜로 여기까지 왔다. 그동안 신실한 직원들과 함께할 수 있었던 것은 행운이었다. 30년의 시간은 알고 갔던 길이 아니라 믿고 따라온 길이었다. 실로암사람들 초창기에 애쓰신 분들이 떠오른다. 설립자인 변귀숙 회장님, 2대 박정숙 회장님, 3대 김랑 회장님, 4대 곽정숙 회장님, 5대 박정수 회장님의 헌신이 있었기에 오늘의 실로암사람들이 가능했다. 2022년이 되면서 가장 아쉬운 것이 있다. 강신석 목사님이나 곽정숙 의원님 등 존경하고 따르고 싶은 어른들이 곁에 계시지 않는다는 것이다. 마치 미아가 된 기분이다. 개인적으로 감사한 것은 부모님이 결혼 61주년을 맞이하기까지 비교적 건강하시다는 것이다. 아마 그것은 내 덕분일 것이다. 장애인 자식보다 하루라도 더 살려면 당신들은 더욱 강해져야 했을 것이다. 몸이 점점 무거워진다고 느껴질 때는 마음의 짐을 비워내야 한다. 2022년에는 또 어떤 일들이 기다리고 있을까? (2022.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