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9
요약 4
01. 서론 15
1. 연구 배경 16
1) '유행성 도시해충' 및 관련 용어 정의 16
2) 연구 배경 17
2. 연구 목적 및 방법 20
02. 국내외 유행성 도시해충 발생 사례 및 원인 21
1. 국내외 유행성 도시해충 발생 사례 조사 22
1) 국내 서울의 유행성 도시해충 발생 사례 22
2) 국외 유행성 도시해충 발생 사례 30
2. 발생 원인 조사 및 분석 35
1) 기후변화 35
2) 세계화로 인한 외래종 침입 36
3) 생태계 파괴 37
4) 잘못된 도시 계획 37
03. 국외 관리현황 및 사례 38
1. 관련 제도 분석 39
2. 살생물제 관리 제도 45
1) 미국: 「연방 살충, 살균, 살서제법(EPA-FIFRA)」 45
2) 유럽 화학물질청 살생물제품 규정(EU ECHA-BPR) 46
3. 행정정보 전달체계 관리 48
1) 미국 뉴욕시(뉴욕시 보건국 및 NYC311) 48
2) 미국 플로리다주(플로리다 대학교) 49
3) 일본(도쿄도 보건국 및 삿포로시 홈페이지) 50
4) 시민 및 민간의 참여 사례 51
04. 국내 관리 현황 53
1. 관련 제도 분석 54
1) 해충 관리와 관련된 법률(「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54
2) 서울시 조례(「서울특별시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조례」) 55
3) 서울시 자치구 조례(위생해충 구제와 관련된 조례) 56
4) 대응 현황 56
2. 살생물제 관리 제도 63
1)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63
2) 살생물제품 정보 공개 64
3. 행정정보 전달체계 관리 66
1) 국가 및 지자체의 해충 관리 사례 66
2) 국내 시민 참여 사례 67
05. 유행성 도시해충에 관한 민원 분석 및 서울시민의 인식분석 70
1. 민원 분석 71
1) 조사개요 71
2) 민원 접수 결과 72
2. 설문조사 분석 75
1) 조사개요 75
2) '해충에 대한 인식 및 경험' 결과 78
3) '해충 관련 정보채널 및 방제방식' 결과 88
3. 분석 결과 98
06 유행성 도시해충 대응을 위한 정책 방향 99
1. 기본 방향 100
2. 서울형 통합해충관리 시스템 구축 제안 101
1) 관리대상 해충 설정 103
2) 예방 중심의 선제적 대응을 위한 모니터링 104
3) 화학물질 사용을 최소화하는 방제 105
4) 교육 및 홍보 106
5) 다차원적 협력체계 구축 109
6) 통합 평가 110
참고문헌 111
[부록] 113
Abstract 136
판권기 140
[표 2-1] 대벌레 정보 22
[표 2-2] 미국흰불나방 정보 23
[표 2-3] 붉은등우단털파리(러브버그) 정보 25
[표 2-4] 동양하루살이 정보 26
[표 2-5] 빈대 정보 27
[표 3-1] 미국 「연방 살충, 살균, 살서제법(EPA FIFRA)」의 주요 내용 45
[표 3-2] 유럽 화학물질청 살생물제품 규정(EU ECHA-BPR)의 주요 내용 46
[표 4-1]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 조항 54
[표 4-2] 질병매개곤충 방제 방법 55
[표 4-3] 「서울특별시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조례」(제20조) 55
[표 4-4] 서울특별시 중랑구 위생해충 등 구제 방안에 관한 조례 56
[표 4-5] 서울시 25개 자치구 보건소 방역소독 사업 주요 내용 57
[표 4-6] 빈대 제로도시 프로젝트 주요 내용 60
[표 5-1] 민원 출처 정보 71
[표 5-2] 설문조사 수행 정보 75
[표 5-3] 시민 인식조사 주요 정보 76
[표 5-4] 응답자 특성 77
[표 5-5] 해충으로 유발될 수 있는 불편함의 종류 86
[표 5-6] 해충 방제 경험 권역별 분류 92
[표 5-7] 유행성 도시해충의 방제 수준 적합도 95
[표 6-1] 유행성 도시해충의 비화학적 방제를 위한 예시 105
[그림 2-1] 대벌레 피해 사례 23
[그림 2-2] 미국흰불나방 피해 사례 25
[그림 2-3] 러브버그 피해 사례 26
[그림 2-4] 동양하루살이 피해 사례 27
[그림 2-5] 빈대 및 반날개빈대의 발육 단계별 형태 29
[그림 2-6] 빈대 피해 사례 29
[그림 2-7] 미국 플로리다주의 러브버그 피해 사례 뉴스 30
[그림 2-8] 미국 플로리다주의 러브버그 확산 과정 31
[그림 2-9] 매미 사진 및 소음 수준 예시 32
[그림 2-10] 미국 13년생 매미와 17년생 매미 발생 예측 지도 33
[그림 2-11] 목화바구미 사진 및 목화바구미 기념물 34
[그림 2-12] 2022년과 2070년의 동아시아에서 러브버그 분포 확률 모델 35
[그림 2-13] 2022년 러브버그 발생 지점으로부터 유추한 분포 예상 범위 36
[그림 2-14] 잘못된 도시 계획으로 모기가 대발생한 사례 37
[그림 3-1] US EPA의 IPM 항목 40
[그림 3-2] US EPA의 IPM 프로그램 4단계 42
[그림 3-3] US EPA의 건강관리시설에서의 빈대 IPM 알고리즘 예시 43
[그림 3-4] 국외 박물관에서 IPM 활용 사례 44
[그림 3-5] US EPA의 FIFRA 홈페이지 예시 46
[그림 3-6] EU ECHA의 BPR 홈페이지 예시 47
[그림 3-7] 뉴욕시 보건국의 해충관리 가이드라인 예시 48
[그림 3-8] NYC311(뉴욕시 콜센터)의 해충 정보 전달체계 사례 49
[그림 3-9] 미국 플로리다 대학의 'IPM Florida' 홈페이지(좌) 및 플로리다 곤충학회지 사례(우) 49
[그림 3-10] 일본 도쿄도 보건국의 해충정보 전달체계 홈페이지 예시 50
[그림 3-11] 일본 삿포로시 홈페이지 사례 50
[그림 3-12] 시민 참여로 매미 목격지 정보를 공유하는 Cicada Safari 앱 예시 51
[그림 3-13] 미국에서 13년생과 17년생 매미의 동시 출현을 기념한 구글의 두들 이미지 52
[그림 4-1] 위생해충 관리를 위한 행정 대응 현황 61
[그림 4-2] 빈대 발생 시 행정 대응 사례 62
[그림 4-3] 환경부의 살생물물질 및 살생물제품의 사전승인 체계 63
[그림 4-4] 초록누리의 화학제품 관련 목록 65
[그림 4-5] 서울시의 모기 예보제 66
[그림 4-6] 광진구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예측 방역 예시 67
[그림 4-7] 시민 참여 자연활동 공유 플랫폼(네이처링) 68
[그림 4-8] 온라인 커뮤니티 내 소모임 플랫폼(디시인사이드) 68
[그림 4-9] 일반시민의 재능 기부로 제작된 빈대 정보 공유 사이트 관련 뉴스 69
[그림 5-1] 동양하루살이 자치구별 민원 건수 73
[그림 5-2] 러브버그 자치구별 민원 건수 74
[그림 5-3] 최근 1년 내 서울에서 해충인지 및 접촉률 79
[그림 5-4] 해충 종별 인지 및 접촉률 79
[그림 5-5] 자치구별 동양하루살이 인지 및 접촉률 80
[그림 5-6] 자치구별 러브버그 인지 및 접촉률 81
[그림 5-7] 해충 종 및 장소별 인지율 83
[그림 5-8] 공포 및 불쾌감 유발 해충 84
[그림 5-9] 야외활동 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해충 85
[그림 5-10] 해충으로 인지하는 대상 85
[그림 5-11] 해충으로 겪은 불편함 86
[그림 5-12]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러브버그 정보 카드뉴스 87
[그림 5-13] 해충으로 겪은 불편함 87
[그림 5-14] 해충 관련 정보탐색 채널 89
[그림 5-15] 인터넷 게시글 작성을 통한 정보 습득 여부 89
[그림 5-16] 해충 정보의 효과성 및 신뢰도 90
[그림 5-17] 방제 경험의 효과성 93
[그림 5-18] 유행성 도시해충을 접할 때 스트레스 수준 94
[그림 5-19] 야외활동 장소 선정 시 유행성 도시해충 발생 및 개체수 고려 여부 94
[그림 5-20] 장소에 따른 유행성 도시해충 방제 책임 여부 95
[그림 5-21] 정부/지자체의 유행성 도시해충 방제 노력 정도 및 필요성 96
[그림 5-22] 살충제 성분 확인 여부 및 건강 영향 우려 정도 97
[그림 6-1] 서울형 통합해충관리 시스템의 기본 방향(안) 100
[그림 6-2] US EPA의 건물에서 IPM 프로그램 양식 예시 102
[그림 6-3] 도시 이해관계자들의 도시 IPM 프로그램 참여 유도를 위한 전략 예시 102
[그림 6-4] 관리대상 해충 범위 확장안 예시 104
[그림 6-5] 서울시 해충관련 정보 출처 홈페이지 예시 107
[그림 6-6] 보건소 민원 접수 창구 현황 예시 107
[그림 6-7] 「네모바지 스폰지밥」 예시 108
[그림 6-8] 울산시 떼까마귀 홍보 방안 예시 109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