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9
연구요약 6
Ⅰ. 서론 18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9
가. 책임교육을 위한 고교 학점이수 인정기준 전면 도입 19
나.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성취평가제 확대 적용 및 정교화 요구 21
다. 고교 학점이수 인정기준 적용에 따른 현장 준비 지원 및 성취평가 방안 마련 필요 23
2. 연구 내용 24
가. 학점이수 인정기준의 과목군(공통, 선택 등) 적용에 대한 쟁점 및 요구 분석 25
나.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한 학교 현장에서의 최소 성취수준 판별 방안 정교화 26
다. 최소 성취수준 진술 방안 마련 및 미도달 예방을 위한 평가 방안 탐색 26
라. 최소 성취수준 도달 여부 판별을 위한 평가 방안 마련 27
3. 연구 방법 27
가. 문헌 연구 27
나. 전문가 협의회 28
다. 면담 조사 29
라. 설문 조사 29
마. 통계 분석 30
바. 워킹그룹 운영 및 현장 적용 30
사. 워크숍 개최 31
Ⅱ. 학점이수 인정기준 적용에 대한 선행 연구 분석 32
1.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이수 제도 및 기준 관련 연구 33
2.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성취평가제 관련 연구 35
3. 연구학교 사례 분석 등의 학교 현장 관련 연구 40
4. 국외 사례 연구 42
가. 외국 사례 관련 선행 연구 42
나. 캐나다 온타리오주 사례 47
5. 시사점 52
Ⅲ. 학점이수 인정기준 적용에 따른 실태 및 요구 분석 53
1. 면담 조사 54
가. 조사 개요 54
나. 조사 결과 55
2. 설문 조사 58
가. 조사 개요 58
나. 조사 결과 61
3. 시사점 96
Ⅳ. 최소 성취수준 판별 전략 수립을 위한 시뮬레이션 분석 100
1. 분할점수 산출 방법의 안정성 점검 102
가. 모의 자료 생성 조건 103
나.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104
2. 수행평가 기본점수의 영향 점검 113
가. 모의 자료 생성 조건 115
나.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117
3. 시사점 134
Ⅴ. 학점이수 인정기준 적용에 따른 성취평가 방안 마련 141
1. 학점이수 인정기준 적용에 따른 성취평가 절차 142
가. 성취평가 절차 142
나. 성취평가 절차에서의 학점이수 인정기준 적용 방안 144
2. 최소 성취수준 진술 방안 146
가. 최소 성취수준의 개념 146
나/가. 최소 성취수준 진술문 개발 절차 150
다/나. 최소 성취수준에 대한 최소 능력의 수행 특성 151
3. 최소 성취수준 미도달 예방을 위한 성취평가 방안 155
가. 최소 성취수준 미도달 예방을 위한 평가 계획 수립 155
나/가. 최소 성취수준 미도달 예방을 위한 진단평가 방안 158
다/나. 최소 성취수준 미도달 예방을 위한 형성평가 방안 162
4. 최소 성취수준 도달 여부 판별을 위한 성취평가 방안 167
가. 최소 성취수준 도달 여부 판별을 위한 평가 계획 수립 168
나. 최소 성취수준 도달 여부 판별을 위한 지필평가 개발 방안 171
다. 최소 성취수준 도달 여부 판별을 위한 수행평가 개발 방안 173
5. 교과별 성취평가 방안 예시 및 적용 178
가. 교과별 예시 개발 및 현장 적용 개요 178
나. 국어과 187
다. 수학과 216
라. 과학과 245
Ⅵ. 연구요약 및 정책 제언 276
1. 연구요약 277
가. 학점이수 인정기준 적용에 대한 선행 연구 분석 278
나. 학점이수 인정기준 적용에 따른 실태 및 요구 분석 279
다. 최소 성취수준 판별 전략 수립을 위한 시뮬레이션 분석 280
라. 학점이수 인정기준 적용에 따른 성취평가 방안 마련 282
2. 정책 제언 287
가. 성취평가의 신뢰도 제고를 위한 평가 운영 지침 정교화 288
나. 성취평가 자료 개발 및 연수 개선을 통한 교사의 평가 역량 신장 지원 304
다. 성취평가제 및 고교학점제의 내실 있는 운영을 위한 지원 체제 수립 317
참고문헌 333
ABSTRACT 341
[부록 1] 분할점수 산출방식에 따른 성취수준 비율 345
[부록 2] 성적 분포별 분할점수 산출방식 비교 354
[부록 3]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고정점수 vs. 문항 범주별 추정) 357
[부록 4]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고정점수 vs. 조정된 문항 범주별 추정) 371
판권기 3
[그림 Ⅰ-1-1] 고교학점제에서의 학업성취율과 성취도 21
[그림 Ⅰ-2-1] 학점이수 인정기준 적용에 따른 성취평가 방안 연구 내용 및 기대 효과 25
[그림 Ⅳ-1-1] 국어과 분할점수 산출 방법에 따른 성취수준 A 비율 105
[그림 Ⅳ-1-2] 국어과 분할점수 산출 방법에 따른 미도달 비율 106
[그림 Ⅳ-1-3] 수학과 분할점수 산출 방법에 따른 성취수준 A 비율 107
[그림 Ⅳ-1-4] 수학과 분할점수 산출 방법에 따른 미도달 비율 107
[그림 Ⅳ-1-5] 과학과 분할점수 산출 방법에 따른 성취수준 A 비율 108
[그림 Ⅳ-1-6] 과학과 분할점수 산출 방법에 따른 미도달 비율 109
[그림 Ⅳ-2-1] 국어과 수행평가 기본점수 변화에 따른 미도달 비율(고정 분할점수 vs. 문항 범주별 분할점수 추정) 118
[그림 Ⅳ-2-2] 수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 변화에 따른 미도달 비율(고정 분할점수 vs. 문항 범주별 분할점수 추정) 121
[그림 Ⅳ-2-3] 과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 변화에 따른 미도달 비율(고정 분할점수 vs. 문항 범주별 분할점수 추정) 124
[그림 Ⅳ-2-4] 국어과 수행평가 기본점수 변화에 따른 미도달 비율(고정 분할점수 vs. 조정된 문항 범주별 분할점수 추정) 127
[그림 Ⅳ-2-5] 수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 변화에 따른 미도달 비율(고정 분할점수 vs. 조정된 문항 범주별 분할점수 추정) 130
[그림 Ⅳ-2-6] 과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 변화에 따른 미도달 비율(고정 분할점수 vs. 조정된 문항 범주별 분할점수 추정) 132
[그림 Ⅴ-1-1] 학점이수 인정기준을 반영한 성취평가 절차 143
[그림 Ⅴ-2-1] 과목별 최소 능력의 수행 특성 도출 방법의 예 152
[그림 Ⅴ-5-1] Bloom(2001)의 개정 목표분류학에 따른 수행 동사의 위계(University of Florida, 2024) 206
[그림 Ⅴ-5-2] 최소 성취수준 도달 여부 판별 문항의 예시(〈공통국어1〉) 208
[그림 Ⅴ-5-3] 최소 성취수준 미도달 판정 문항의 예시(〈문학〉) 209
[그림 Ⅴ-5-4] 〈공통국어1〉 수행평가 문항의 문항카드 212
[그림 Ⅴ-5-5] 〈공통국어1〉 수행평가의 채점 기준 214
[그림 Ⅴ-5-6] 수행평가에 따른 과정 피드백과 결과 피드백의 예시 215
[그림 Ⅴ-5-7] 수학과 〈공통수학1〉, 〈대수〉의 형성평가 및 피드백 절차 225
[그림 Ⅴ-5-8] 삼각함수 형성평가 문항카드 228
[그림 Ⅴ-5-9] 〈대수〉의 1차 형성평가에 대한 학생 답안 사례 229
[그림 Ⅴ-5-10] 수학과에서 사용한 자기평가지 및 학생이 작성한 답안 사례 229
[그림 Ⅴ-5-11] 〈공통수학1〉의 1차 형성평가에서 학생이 작성한 답안 사례 230
[그림 Ⅴ-5-12] 학생의 자기평가지 작성 사례 231
[그림 Ⅴ-5-13] 최소 성취수준 도달 여부 판별을 위한 공통수학1 지필 평가 문항 234
[그림 Ⅴ-5-14] 최소 성취수준 도달 여부 판별을 위한 대수 지필 평가 문항 235
[그림 Ⅴ-5-15] 최소 성취수준 도달 여부 판별 문항에 대한 학생 답안 예시 236
[그림 Ⅴ-5-16] 삼각함수의 수행평가 문항 예시 243
[그림 Ⅵ-1-1] 장별 연구 내용 요약 278
[그림 Ⅵ-2-1] 본 연구에서 도출된 정책 방안과 추진 전략 287
[그림 Ⅵ-2-2] 수행평가 과제 개발 및 채점 기준 작성 절차 291
[그림 Ⅵ-2-3] 성취수준과 연계된 수행평가 채점 기준 작성 사례 294
[그림 Ⅵ-2-4] AI 기반 수행평가 채점 기준 컨설팅 툴의 기능 297
[그림 Ⅵ-2-5] 성취평가 결과 산출 프로그램 예시 화면 302
[그림 Ⅵ-2-6] 단위학교 성취평가 모니터링 결과-과목별 상세 화면 303
[그림 Ⅵ-2-7] 개별 피드백 및 학습 습관 개선 지도 사례 306
[그림 Ⅵ-2-8] 성취평가제에서 학점이수 인정기준의 적용에 대한 연수 모듈(안) 312
[그림 Ⅵ-2-9] 학생맞춤형지원 및 자치단체 연계(예시) 332
부록그림목차 345
[그림 부록-1-1] 국어과 성적분포 조건별 분할점수 산출 방식에 따른 A 비율 345
[그림 부록-1-2] 국어과 성적분포 조건별 분할점수 산출 방식에 따른 B 비율 345
[그림 부록-1-3] 국어과 성적분포 조건별 분할점수 산출 방식에 따른 C 비율 346
[그림 부록-1-4] 국어과 성적분포 조건별 분할점수 산출 방식에 따른 D 비율 346
[그림 부록-1-5] 국어과 성적분포 조건별 분할점수 산출 방식에 따른 E 비율 347
[그림 부록-1-6] 국어과 성적분포 조건별 분할점수 산출 방식에 따른 미도달 비율 347
[그림 부록-1-7] 수학과 성적분포 조건별 분할점수 산출 방식에 따른 A 비율 348
[그림 부록-1-8] 수학과 성적분포 조건별 분할점수 산출 방식에 따른 B 비율 348
[그림 부록-1-9] 수학과 성적분포 조건별 분할점수 산출 방식에 따른 C 비율 349
[그림 부록-1-10] 수학과 성적분포 조건별 분할점수 산출 방식에 따른 D 비율 349
[그림 부록-1-11] 수학과 성적분포 조건별 분할점수 산출 방식에 따른 E 비율 350
[그림 부록-1-12] 수학과 성적분포 조건별 분할점수 산출 방식에 따른 미도달 비율 350
[그림 부록-1-13] 과학과 성적분포 조건별 분할점수 산출 방식에 따른 A 비율 351
[그림 부록-1-14] 과학과 성적분포 조건별 분할점수 산출 방식에 따른 B 비율 351
[그림 부록-1-15] 과학과 성적분포 조건별 분할점수 산출 방식에 따른 C 비율 352
[그림 부록-1-16] 과학과 성적분포 조건별 분할점수 산출 방식에 따른 D 비율 352
[그림 부록-1-17] 과학과 성적분포 조건별 분할점수 산출 방식에 따른 E 비율 353
[그림 부록-1-18] 과학과 성적분포 조건별 분할점수 산출 방식에 따른 미도달 비율 353
[그림 부록-2-1] 국어과 성적분포 조건별 분할점수 산출 방식에 따른 각 성취수준 비율 354
[그림 부록-2-2] 수학과 성적분포 조건별 분할점수 산출 방식에 따른 각 성취수준 비율 355
[그림 부록-2-3] 과학과 성적분포 조건별 분할점수 산출 방식에 따른 각 성취수준 비율 356
[그림 부록-3-1] 국어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4,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70:30) 357
[그림 부록-3-2] 국어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4,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60:40) 357
[그림 부록-3-3] 국어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4,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50:50) 358
[그림 부록-3-4] 국어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6,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70:30) 358
[그림 부록-3-5] 국어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6,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60:40) 359
[그림 부록-3-6] 국어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6,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50:50) 359
[그림 부록-3-7] 국어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8,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70:40) 360
[그림 부록-3-8] 국어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8,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60:40) 360
[그림 부록-3-9] 국어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8,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60:40) 361
[그림 부록-3-10] 수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4,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70:30) 361
[그림 부록-3-11] 수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4,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60:40) 362
[그림 부록-3-12] 수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4,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50:50) 362
[그림 부록-3-13] 수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6,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70:30) 363
[그림 부록-3-14] 수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6,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60:40) 363
[그림 부록-3-15] 수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6,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50:50) 364
[그림 부록-3-16] 수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8,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70:30) 364
[그림 부록-3-17] 수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8,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60:40) 365
[그림 부록-3-18] 수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8,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50:50) 365
[그림 부록-3-19] 과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4,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70:30) 366
[그림 부록-3-20] 과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4,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60:40) 366
[그림 부록-3-21] 과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4,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50:50) 367
[그림 부록-3-22] 과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6,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70:30) 367
[그림 부록-3-23] 과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6,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60:40) 368
[그림 부록-3-24] 과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6,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50:50) 368
[그림 부록-3-25] 과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8,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70:30) 369
[그림 부록-3-26] 과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8,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60:40) 369
[그림 부록-3-27] 과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8,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50:50) 370
[그림 부록-4-1] 국어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4,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70:30) 371
[그림 부록-4-2] 국어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4,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60:40) 371
[그림 부록-4-3] 국어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4,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50:50) 372
[그림 부록-4-4] 국어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6,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70:30) 372
[그림 부록-4-5] 국어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6,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60:40) 373
[그림 부록-4-6] 국어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6,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50:50) 373
[그림 부록-4-7] 국어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8,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70:30) 374
[그림 부록-4-8] 국어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8,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60:40) 374
[그림 부록-4-9] 국어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8,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50:50) 375
[그림 부록-4-10] 수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4,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70:30) 375
[그림 부록-4-11] 수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4,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60:40) 376
[그림 부록-4-12] 수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4,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50:50) 376
[그림 부록-4-13] 수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6,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70:30) 377
[그림 부록-4-14] 수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6,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60:40) 377
[그림 부록-4-15] 수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6,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50:50) 378
[그림 부록-4-16] 수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8,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70:30) 378
[그림 부록-4-17] 수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8,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60:40) 379
[그림 부록-4-18] 수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8,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50:50) 379
[그림 부록-4-19] 과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4,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70:30) 380
[그림 부록-4-20] 과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4,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60:40) 380
[그림 부록-4-21] 과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4,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50:50) 381
[그림 부록-4-22] 과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6,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70:30) 381
[그림 부록-4-23] 과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6,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60:40) 382
[그림 부록-4-24] 과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6,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50:50) 382
[그림 부록-4-25] 과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8,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70:30) 383
[그림 부록-4-26] 과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8,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60:40) 383
[그림 부록-4-27] 과학과 수행평가 기본점수에 따른 미도달 비율(지필/수행평가 간 상관 = 0.8, 지필/수행평가 반영 비율 = 50:50) 384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194081 | 371.26 -25-26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
0003194082 | 371.26 -25-26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
B000132360 | 371.26 -25-26 |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서가번호: 22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