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19
발간사 2
일람표(공정한 선거구획정을 위한 '535일'간의 여정) 4
제1장 제22대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 활동 개관 21
제1절 법 규정으로 보는 국회의원선거구획정 22
1. 획정위원회 23
2. 선거구획정기준 24
3. 국회의원지역구 확정 절차 24
제2절 제22대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 획정 결과 요약 26
제3절 제22대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 주요 기록 27
제2장 제22대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 운영 32
제1절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 33
1. 위원구성 33
2. 위원회의 운영 34
제2절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 사무국 37
1. 사무국 운영 37
2. 사무국 역할 및 업무분장 38
제3장 제22대 국회의원선거구획정을 위한 준비과정 40
제1절 선거구획정안 마련을 위한 사전 준비 41
1. 위원회의 운영 관련 규정 정비 41
2. 선거구획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및 분석 42
3. 유관기관 협조체제 구축 46
4. 경험사례 연찬회 실시 47
제2절 선거구획정안 마련을 위한 의견청취 48
1. 공청회 개최 48
2. 지역 현지 의견청취 52
3. 정당 의견청취 58
4. 민원 등 수렴 59
제4장 제22대 국회의원선거구획정안 제출과정 61
제1절 선거구획정 기준 등 확정 촉구 62
1. 첫 번째 촉구(2023. 2. 6.) 62
2. 두 번째 촉구(2023. 9. 11.) 63
3. 세 번째 촉구(2023. 11. 20.) 63
제2절 제22대 국회의원선거 선거구획정안 제출 64
1. 선거구획정안 논의 배경 64
2. 선거구획정 기준 64
3. 인구범위 및 시ㆍ도별 지역구 국회의원 정수 결정 66
4. 시ㆍ도별 선거구획정 주요 내용 68
5. 국회 및 정치권 등의 반응 72
제3절 제22대 국회의원선거 선거구획정안 재제출 74
1. 선거구획정안 재제출 경과 74
2. 국회의원지역선거구 재획정안 75
3. 지역선거구 법률안 심사 82
4. 선거구획정 지연에 따른 경과조치 82
제5장 제22대 국회의원선거 선거구획정에 대한 평가 83
제1절 내부평가 84
1. 들어가며 84
2. 선거구획정안 법정 제출기한 미준수 문제에 대하여 84
3. 농산어촌의 지역대표성 반영 문제에 대하여 86
4. 나가며 87
제2절 외부평가 88
[부록 1] 제22대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 보고서 116
1. 2024. 2. 29. 제출 선거구획정위원회 보고서 117
2. 2023. 12. 5. 제출 선거구획정위원회 보고서 156
[부록 2] 보도자료 및 언론보도 196
1. 보도자료 197
2. 언론이 바라본 선거구획정 253
[부록 3] 관련 법령 및 규정 305
1. 공직선거법 306
2.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칙 311
3.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 운영규정 314
[부록 4] 역대 국회의원선거 선거구획정기준 318
[부록 5] 제22대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 위원 및 직원 명단 324
〈그림 1〉 22대 총선 정당별 지역구 득표율과 의석비율 106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