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2
제1장 개관 5
1. 법 제정 목적ㆍ배경 및 입법과정 등 6
1) 법 제정 목적 및 배경 6
2) 입법과정 및 시행 6
2. 법의 구성 및 체계 8
제2장 적용대상 및 다른 법과의 관계 10
1. 적용 대상 11
1) 물적 대상 11
2) 인적 대상 12
2. 적용 제외 14
3. 다른 법과의 관계 15
제3장 규제 체계 16
1. 모델과 시스템의 구분 17
2. 인공지능 시스템: 위험 기반 접근 17
1) 개관 17
2) 인공지능 시스템의 위험 및 위험별 규제 대상 등 20
3. 범용 인공지능 모델 및 시스템 31
4. 의무 불이행에 따른 처벌: 과징금 부과 32
제4장 행위 주체별 의무 34
1. 개요 35
2. 공급자 및 국내대리인의 의무 38
1) 고위험 인공지능 시스템 관련 의무 38
2) 제50조 투명성 의무 42
3) 범용 인공지능 모델 관련 의무 43
3. 배포자의 의무 47
1) 고위험 인공지능 시스템 관련 의무 47
2) 제50조 투명성 의무 49
4. 수입자 및 유통자의 의무 50
1) 고위험 인공지능 시스템 관련 의무 50
제5장 혁신 지원 52
1. 인공지능 규제 샌드박스 53
2. 스타트업, 중소기업 및 초소형기업 지원 55
제6장 거버넌스 57
1. EU 차원 58
1) AI 사무국 58
2) 유럽인공지능위원회(European Artificial Intelligence Board) 60
3) 자문 포럼(advisory forum) 62
4) 전문 과학적 기술 지원: 독립 전문가로 구성된 과학 패널(scientific Panel of Independent Experts) 62
2. 회원국 차원 63
제7장 구제 65
[부록] 표 등 참고자료 67
판권기 89
의무 이행절차 개요 56
참고목차 3
[참고 1] 인공지능 모델 및 인공지능 시스템(예) 17
[참고 2] 과징금 부과 시 고려 사항 33
[참고 3] 표준 및 공통기준: 시스템 및 모델 36
[참고 4] '공급자'인 금융기관의 일부 의무 이행 방법 39
[참고 5] (고위험) 서면위임장에 명시할 사항(예) 41
[참고 6] 생성형 인공지능 시스템 관련 의무 규정 이유(전문 133) 42
[참고 7] (범용) 서면위임장에 명시할 사항(예) 46
[참고 8] AI 사무국의 조직ㆍ구성 58
[참고 9] EU 인공지능법에 따른 AI 사무국의 역할(임무) 59
[참고 10] 유럽인공지능위원회의 역할(임무) 61
[참고 11] 과학 패널의 역할(임무) 62
[참고 12] 기본권 보호 국가공공당국/기관의 예(아일랜드) 63
[참고 13] EU 인공지능법에 따른 시장감시당국의 역할(임무) 64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