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6

요약문 3

SUMMARY 4

제1장 서론 12

1.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3

1.2. 연구목적 및 범위 15

1.2.1. 우수저류시설 홍수저감효과 분석을 위한 실증실험 연구기반 구축 15

1.2.2. 강우유출 시나리오별 우수저류시설 홍수저감효과 분석 16

1.2.3. 침수상황 행동능력 정량화 16

1.3. 연구방법 및 절차 17

1.3.1. 우수저류시설 홍수저감효과 분석을 위한 실증실험 연구기반 구축 17

1.3.2. 강우유출 시나리오별 우수저류시설 홍수저감효과 분석 17

1.3.3. 침수상황 행동능력 정량화 18

제2장 우수저류시설 홍수저감효과 분석을 위한 실증실험 연구기반 구축 19

2.1. 개요 20

2.2. 유량공급시스템 구축 20

2.2.1. 유량공급설비 20

2.2.2. 유량제어프로그램 23

2.3. 우수저류시스템 구축 24

2.3.1. 가변형 저류시설모형 25

2.3.2. 관로(정류시설) 및 계측장비 27

2.4. 소결론 35

제3장 강우유출 시나리오별 우수저류시설 홍수저감효과 분석 36

3.1. 개요 37

3.2. 대상유역과 강우사상 38

3.3. 도시유역 강우유출모형 매개변수 최적화 43

3.3.1. R 기반 도시유역 강우유출모형 매개변수 자동보정 모듈(SCE-UA) 구축 44

3.3.2. 도시유역 강우유출모형(SWMM) 매개변수 검보정 (삼호 3 유역) 46

3.3.3. 도시유역 강우유출모형(SWMM) 매개변수 검보정 (삼호 5 유역) 48

3.3.4. 도시유역 강우유출모형(SWMM) 매개변수 검보정 (삼호 7 유역) 50

3.4. 우수저류시설 홍수저감효과 분석을 위한 강우유출 시나리오 구축 52

3.5. 강우유출 시나리오별 첨두유량 관계 규명 59

3.6. 강우유출 시나리오별 우수저류시설 홍수저감량 정량화 62

3.7. 소결론 68

제4장 침수상황 행동능력 정량화 70

4.1. 개요 71

4.2. 관련연구 고찰 71

4.2.1. 국내 연구 71

4.2.2. 국외 연구 75

4.3. 침수상황 체험프로그램 운영 79

4.3.1. 침수상황 체험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개요 79

4.3.2. 침수상황 체험프로그램 운영현황 및 설문조사 결과 80

4.3.3. 침수계단 체험프로그램 결과 분석 84

4.4. 대피시간 모형 적용 89

4.4.1. 적용 대피시간 모형의 선정 89

4.4.2. 대피시간 모형의 적용 및 비교 89

4.5. 소결론 91

제5장 요약 및 결론 92

참고문헌 95

판권기 99

표목차 11

표 2.1. 가변형 저류시설 저류용량 조절 범위 (축소비 1/7 기준) 26

표 3.1. 삼호동 시범유역 현황 41

표 3.2. 도시유역 강우유출모형(SWMM) 매개변수 검보정에 활용된 강우사상 42

표 3.3. SWMM 매개변수 목록 43

표 3.4. SWMM 매개변수 검ㆍ보정 평가지표 (삼호 3 유역) 46

표 3.5. SWMM 매개변수 검ㆍ보정 평가지표 (삼호 5 유역) 48

표 3.6. SWMM 매개변수 검ㆍ보정 평가지표 (삼호 7 유역) 50

표 3.7. SWMM 최적 매개변수 결과 (삼호 3, 5, 7 유역) 52

표 3.8. 강우유출 시나리오에 사용된 변수 (유역면적, 강우량, 불투수면적비) 53

표 3.9. 강우유출 시나리오별 (유역면적, 강우량, 불투수면적비) 첨두유량 (원형) 56

표 3.10. 강우유출 시나리오별 (유역면적, 강우량, 불투수면적비) 첨두유량 (축소 1:7) 58

표 3.11. 강우강도별 유역면적 및 불투수면적비 변화에 따른 첨두유량 관계식 61

표 3.12. 토출관경별 우수저류시설 첨두유입량 및 첨두유출량 변화에 따른 우수저류시설 용량 관계식 67

표 4.1. 국내외 대피속도 및 대피시간 회귀식 78

표 4.2. 침수상황 체험프로그램의 구성 79

표 4.3. 침수상황 체험프로그램 체험 및 견학 참여자 현황 80

표 4.4. 침수상황 체험프로그램 설문조사 결과 (2024년) 83

표 4.5. 체험 참가자 신체 조건 및 난간 사용 여부에 따른 이동 시간 85

표 4.6. 연령대별 침수계단 평균이동시간 87

표 4.7. 연령대별 침수계단 평균이동시간 (최대치, 최소치 제외) 88

그림목차 8

그림 1.1. 시간당 100mm 이상의 강우에서 대규모 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큼 13

그림 1.2. 우수저류시설 내부 전경 예시 14

그림 2.1. 유량공급설비 구성도 21

그림 2.2. 가변유량 제어설비 (부스터펌프(좌), 자동조절밸브(우)) 21

그림 2.3. 만관유량계(직경 150mm)(좌)와 현장 설치(우) 22

그림 2.4. 수격방지장치(2대)(좌)와 게이트밸브(1대)(우) 22

그림 2.5. 유량제어프로그램 GUI 구성도 23

그림 2.6. 유량재현 최적화 모듈(좌)과 유량공급 시나리오 입력(엑셀 기반) GUI 24

그림 2.7. 우수저류시스템 구성도 (평면도(상)와 단면도(하)) 24

그림 2.8. 가변형 저류시설모형 모식도 25

그림 2.9. 가변형 저류시설모형 현장 설치와 이동식 크레인(2대) 26

그림 2.10. 모듈형 우수관로(우수저류시설 유입, 유출) 개념도 27

그림 2.11. 정류수조 모식도 28

그림 2.12. 정류수조 설치 28

그림 2.13. 우수저류시설 유입관로 (연장 12m) 29

그림 2.14. 유입관로 시작부 사류수면(좌)과 유입관로 말단부 계측지점에서 안정화된 수면(우) 29

그림 2.15. 우수저류시설 유출관로 (연장 17m) 30

그림 2.16. 유출관로 토출부 사류수면(좌)과 유출관로 말단부 계측지점에서 안정화된 수면(우) 30

그림 2.17. 초음파유량계 본체(좌), 유량계센서(수위ㆍ유속센서)(중), 수위 측정 가능 범위(우) 31

그림 2.18. 유입관로 격판 설치(전), 격판 설치 위치(중), 격판 설치(후) 32

그림 2.19. 유출관로 격판 설치(전), 격판 설치 위치(중), 격판 설치(후) 32

그림 2.20. 가변형 저류수조 유출부 토출관 제작(3D 프린팅)(좌), 직경별 토출관(중), 토출관 설치(우) 33

그림 2.21. 실시간 계측자료 처리프로그램 33

그림 2.22. 도시홍수실험동 내 우수저류시스템 전체 조감도 34

그림 3.1. 강우유출 시나리오별 우수저류시설 홍수저감효과 분석 절차 37

그림 3.2. 삼호동 시범유역 38

그림 3.3. 삼호동 시범유역 유역특성 (노란색, 검은색 실선 : 시범유역 경계) 39

그림 3.4. 삼호동 시범유역 우수관망도 및 흐름 체계 모식도 40

그림 3.5. 삼호 3, 5, 7번 유역 소배수분구 분할도 41

그림 3.6. 우수관거 내 초음파유량계(좌), 유송잡물(낙엽, 모래 등)로 교란된 초음파유량계(우) 42

그림 3.7. R 기반 도시유역 강우유출모형(SWMM) 매개변수 자동보정 모듈(SCE-UA) 실행 화면 45

그림 3.8. 삼호 3 유역에 대한 SWMM 매개변수 검보정 수문곡선 47

그림 3.9. 삼호 5 유역에 대한 SWMM 매개변수 검보정 수문곡선 49

그림 3.10. 삼호 7 유역에 대한 SWMM 매개변수 검보정 수문곡선 51

그림 3.11. 강우 시나리오 (시간당 20, 40, 60, 80, 100mm) 54

그림 3.12. 강우유출 시나리오 예시 (유역면적, 강우량, 불투수면적비) (원형) 55

그림 3.13. 강우유출 시나리오 예시 (유역면적, 강우량, 불투수면적비) (축소 1:7) 57

그림 3.14. 강우강도별 유역면적 및 불투수면적비 증가에 따른 첨두유량 관계 60

그림 3.15. 첨두유입량별 우수저류시설 용량 증가에 따른 첨두유출량 변화 63

그림 3.16. 첨두유입량별 우수저류시설 용량 증가에 따른 첨두유출량 변화 64

그림 3.17. 첨두유입량별 우수저류시설 용량 증가에 따른 첨두유출량 변화 65

그림 3.18. 토출관경별 첨두유입량 및 우수저류시설 용량 증가에 따른 첨두유출량 관계 66

그림 4.1. 침수상황 체험프로그램 참여의견 설문지 81

그림 4.2. 침수계단 체험시설 84

그림 4.3. 침수계단 제원 (높이 및 길이 등) 84

그림 4.4. 연령대별 이동시간 최대, 최소, 평균 (난간 미사용) 88

그림 4.5. 연령대별 이동시간 최대, 최소, 평균 (난간 사용) 88

그림 4.6. 연령대별 이동시간 (난간 미사용) 90

그림 4.7. 연령대별 이동시간 (난간 사용) 90

이용현황보기

실증실험 기반 도시침수 방지시설 홍수저감 영향평가 = Evaluation for effects of urban flood prevention facilities based on empirical experiments. 4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213066 363.3493 -25-10 v.4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213067 363.3493 -25-10 v.4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