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11

요약 4

제1장 기로에 선 가상융합 세계 12

제1절 혁신인가, 거품인가 13

제2절 표류 중인 가상융합 정책 18

제2장 가상융합세계의 진화와 의미 21

제1절 시각적 환상에서 디지털 현실까지 22

제2절 AI와 공진화하는 가상융합세계 25

1. 가상융합의 패러다임 전환 25

2. 공간지능 : 가상융합 세계의 두뇌 25

3. 공간컴퓨팅 : 가상융합 세계의 신경계 27

4. 물리 AI : 가상과 현실의 연결체 28

5. 가상융합의 진화와 의미 29

제3장 가상융합 산업이 직면한 거품론 분석 31

제1절 왜 가상융합세계에 로그인하지 않을까? 32

제2절 기술-경험-경제의 불균형 35

1. 개요 35

2. 공공사례 분석 35

3. 민간사례 분석 38

4/3. HW-SW 비용과 실질적 효용의 불균형 40

제4장 가상융합 세계의 구조적 변화와 가치이동 45

제1절 AI는 어떻게 가상융합세계를 바꾸는가? 46

1. AI의 빠른 진화와 가상융합 46

2. 가상융합세계 제작 방식의 혁신 48

3. 상호작용 메커니즘의 고도화 52

4. 가상융합 경험의 확장 : AI와 가상융합 기기, 공간운영체제(OS)와의 연계 58

제2절 산업 가치는 어디로 이동하는가? 61

1. B2C 부문의 옥석 가리기 : 선별적 성장으로 인한 양극화 61

2. B2B : 움직이는 모든 기계의 학습 공간으로 진화 66

제5장 가상융합 산업정책의 성과와 한계 75

제1절 가상융합 산업정책 경과 76

1. 5G 시대 선도를 위한 실감 콘텐츠 산업 활성화 전략(2019~2023) 76

2. 디지털 뉴딜 성공의 초석 : 가상융합 경제 발전 전략(2020~2025) 77

3. 디지털 뉴딜 2.0 초연결 신산업 육성 : 메타버스 신산업 선도전략(2022~2026) 78

4. 가상융합 산업진흥법 제정(2024) 79

제2절 성과와 한계 80

1. 성과 80

2. 한계 80

제6장 가상융합 산업정책 개선방안 83

참고문헌 92

1. 문헌 자료 93

2. 온라인 자료 94

3. 보도자료 및 신문기사 95

판권기 96

표목차 90

표 1-1. 가상융합 산업 시장 전망 14

표 1-2. 국내 VRㆍAR 산업 매출 및 수출액 변화 15

표 1-3. 국내 가상융합 서비스 플랫폼 종료 사례 16

표 2-1. 메타버스의 다양한 정의 24

표 2-2. 증강현실 안경 사례 : 공간지능과 공간컴퓨팅의 역할 구분 28

표 3-1. 광역자치단체 메타버스 활용사례(2022년 2월 말 기준) 35

표 5-1. 실감 콘텐츠 산업 활성화 전략 주요 내용 76

표 5-2. 가상융합 경제 발전 전략 주요 내용 77

표 5-3. 메타버스 신산업 선도전략 주요 내용 78

그림목차 91

그림 1-1. 메타버스 키워드 검색량 변화 14

그림 1-2. 소비자용 VR 기기 및 콘텐츠 판매량(2016~2029) 15

그림 2-1. 입체경(좌), 센소라마(중), 이반 서덜랜드의 다모클레스의 검(우) 23

그림 3-1. 메타버스 인지 및 경험 조사 결과 32

그림 3-2. 메타버스 이용 목적 33

그림 3-3. 버추얼 강원 사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37

그림 3-4. VRㆍAR 인력 채용 애로사항 41

그림 3-5. 비전 프로 비구매 이유(좌) 및 주요 VR HMD 가격 비교(우) 43

그림 3-6. 시간에 따른 컴퓨팅 플랫폼의 변화 43

그림 4-1. AI IQ 테스트 결과 46

그림 4-2. AI 모델 출시 시기 47

그림 4-3. 허깅 페이스 AI 모델 등록 수(좌) 및 다운로드 수(우) 47

그림 4-4. 분야별 생성AI 발전 과정 48

그림 4-5. 알테라의 프로젝트 시드 구현 모습 55

그림 4-6. AI가 탑재된 주요 가상융합 기기(비전프로, 메타 퀘스트, 구글 AI 안경) 59

그림 4-7. 로블록스 일일 활성 사용자 수 변화 62

그림 4-8. 로블록스 크리에이터 수익 변화 63

그림 4-9. 웨이모의 시뮬레이션 시티 67

그림 4-10. 가상현실을 활용한 로봇 학습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