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5

머리말 3

요약 11

제1장 서론 28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8

(1) 연구의 목적과 구성 28

2. 연구의 구성 34

제2장 냉전기 북ㆍ중ㆍ러 국제분업의 성격 36

1. 냉전기 북ㆍ중ㆍ러 무역의 제도적 기반 36

2. 냉전기 북ㆍ러, 북ㆍ중, 중ㆍ러 국제 무역의 구조 39

3. 소결: 냉전기 북ㆍ중ㆍ러 무역의 평가 45

제3장 탈냉전기 북ㆍ중, 북ㆍ러 무역과 투자의 구조와 변화 48

1. 탈냉전기 북ㆍ중ㆍ러 국가 간 관계 변화 48

2. 북ㆍ중 무역과 투자 52

3. 중ㆍ러 무역과 투자 57

(1) 중ㆍ러 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형성과 발전 57

(2) 중ㆍ러 무역 및 투자의 추이 59

4. 소결 69

제4장 미ㆍ중 전략적 경쟁으로 이행과 북ㆍ중ㆍ러 공급망 재편 전략 73

1. 공급망 재편의 지정학 73

(1) 공급망 재편의 일반적 경향 73

(2) 북ㆍ중ㆍ러 공급망 재편 전략의 핵심 조건: 경제제재(economic sanctions)와 자국 중심 공급망 재편 정책 75

2. 중국의 공급망 재편 전략 80

(1) 중국의 공급망 재편 배경과 목적 80

(2) 중국의 공급망 재편 전략의 주요 내용 83

3. 러시아의 공급망 재편 전략 93

(1) 경제제재와 공급망 재편 93

(2) 자원 공급망을 통한 글로벌 시장 참여 96

(3) 전시 자본주의와 공급망 재편 100

(4) 지역 및 세계 경제에 대한 함의 108

4. 북한의 공급망 재편 전략 111

(1) 냉전 종식 이후 북한의 공급망 재편 방향: UN대북 제재 이전까지 112

(2) UN 대북 제재 강화 이후 125

(3) 공급망 재편 정책의 한계 132

제5장 얄타체제 해체와 동북아 지정학 재편 134

1. 두 전쟁 이후 세계 134

2. 북한 핵위기 142

3. 연결된 위기 145

4. 자유주의의 위기, 자유주의를 넘어서는 방식: '사회주의인가 야만인가' 이후 151

5. 트럼프 2.0 이후 동요하는 세계의 전망 157

(1) 북한의 북ㆍ미 정상회담 재개 의도 157

(2) 트럼프 2.0의 미국과 세계 161

(3) 예상되는 중국의 대응 166

제6장 북ㆍ중ㆍ러 새로운 공급망 형성 가능성 169

1. 동북아 지정학과 공급망 재편의 상호작용 169

2. 북ㆍ중ㆍ러 공급망 형성 가능성: 중국 관점 176

(1) 미ㆍ중 전략경쟁 시나리오에 따른 북ㆍ중ㆍ러 공급망 형성 가능성 176

(2) 미ㆍ러 관계 시나리오에 따른 북ㆍ중ㆍ러 공급망 형성 가능성 179

(3) 북ㆍ미 관계 시나리오에 따른 북ㆍ중ㆍ러 공급망 형성 가능성 181

(4) 종합 183

3. 북ㆍ중ㆍ러 공급망 형성 가능성: 러시아 관점 184

(1) 미ㆍ러 협력 시나리오와 러시아 공급망 재편 184

(2) 러시아 공급망 재편 방향의 한계 186

4. 북ㆍ중ㆍ러 공급망 형성 가능성: 북한 관점 192

(1) 북한 관점에서의 공급망 재편 시나리오의 재구성 192

(2) 미ㆍ중 전략경쟁의 심화와 북ㆍ중 경제관계 195

(3) 미ㆍ러 협력관계의 형성과 북ㆍ러 공급망 형성 가능성 201

(4) 소결 210

참고문헌 212

판권기 215

표목차 8

〈표 2-1〉 소련 블록과 서구 블록의 국제무역질서 비교 37

〈표 2-2〉 COMECON 무역의 지역별 구조 40

〈표 2-3〉 코메콘 국가의 중공업 국제분업 구조 44

〈표 3-1〉 북한의 1970~1980년대의 권역별 무역액 추이 51

〈표 3-2〉 북한의 1970~1980년대의 권역별 무역비중 추이 51

〈표 3-3〉 북한의 1970~1980년대 주요 교역 상대국 53

〈표 3-4〉 북한의 주요 교역 상대국 53

〈표 3-5〉 북한의 대중 수출입 54

〈표 3-6〉 중국의 대러시아 수출입 및 비중 61

〈표 3-7〉 중국의 대러시아 수출 상위 품목(연도별, HS 4단위 기준) 64

〈표 3-8〉 중국의 대러시아 수입 상위 품목(연도별, HS 4단위 기준) 65

〈표 4-1〉 GVC 조직 원리의 변화: 수직 해체에서 수직 재통합으로 74

〈표 4-2〉 과거의 산업정책과 새로운 산업정책 79

〈표 4-3〉 중국 신질생산력 정책에 나타난 중점 추진 방향 85

〈표 4-4〉 '신3양'과 전통산업의 첨단화ㆍ지능화ㆍ녹색화 85

〈표 4-5〉 지역별 중국 대외직접투자 유입 비중(2023) 88

〈표 4-6〉 러시아의 생산량이 많은 자원 97

〈표 4-7〉 러시아의 매장량이 많은 자원 97

〈표 4-8〉 국가별 러시아 원유 수출량 100

〈표 4-9〉 사회주의 국가의 지원을 통하여 건설되거나 생산능력이 확충된 주요 산업설비 114

〈표 4-10〉 1980년 전후 대비 2014년 말 북한 주요 산업의 생산 능력과 생산량 116

〈표 4-11〉 북한 주요 품목 생산량 추이 117

〈표 4-12〉 주요 소재 및 자본재의 대중 수입 추이 119

〈표 4-13〉 5개년계획과 5개년전략의 목표 수치 128

〈표 4-14〉 제재 이전 북한의 대중 강철(HS72) 및 강철제품 수입 규모 129

〈표 6-1〉 강대국의 정의와 구분 172

〈표 6-2〉 강대국 간 관계의 변화 174

〈표 6-3〉 기술, 제조, 자원 지대를 둘러싼 국가 간 경쟁 190

그림목차 10

〈그림 2-1〉 COMECON 국가의 산업별 수출입 구조(1970, 1973) 42

〈그림 2-2〉 냉전기 러시아의 대중국 수출(생산단계별): 1967~1990 46

〈그림 3-1〉 중국의 대북 무역 54

〈그림 3-2〉 중국의 대북투자(2003~2018) 55

〈그림 3-3〉 중국의 대러 무역(1992~2023) 60

〈그림 3-4〉 중국의 수출 67

〈그림 3-5〉 중국의 수입 67

〈그림 4-1〉 국별 글로벌 제조업 생산 비중 76

〈그림 4-2〉 글로벌 제조업 생산 비중 변화 77

〈그림 4-3〉 G7 Global Market Share in Hamilton Index Industries 78

〈그림 4-4〉 China Market Share in Hamilton Index Industries 79

〈그림 4-5〉 중국의 쌍순환 전략 82

〈그림 4-6〉 지역별 미국과 중국의 무역 비중 비교 89

〈그림 4-7〉 러시아의 천연가스 수출량 추이 99

〈그림 4-8〉 유럽의 천연가스 수입량 추이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