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9

요약 4

01. 연구 개요 13

1. 연구 배경 14

2. 연구 내용 및 방법 16

1) 연구 내용 16

2) 연구의 방법 17

02. 독거노인 돌봄기술 지원 현황 분석 20

1. 돌봄지원 및 돌봄기기 운영 사업 21

1) 정부의 독거노인 돌봄 지원 현황 21

2) 서울시 및 타지자체 독거노인 대상 돌봄기기 운영 사업 사례 26

3) 타지자체 독거노인 대상 돌봄기기 운영사례 30

2. 돌봄기기 사용실태 설문조사 37

1) 선행 연구 및 조사 방향 37

2) 어르신 돌봄기술 적용 효과성 분석을 위한 설문결과 41

3. (시사점) 기술지원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54

1) 독거노인 돌봄 참여자에 대한 기술지원 한계점 54

2) 설문 결과에 근거한 향후 돌봄기기 필요 기능 도출 55

3) 공공기관에서 플랫폼 기반 돌봄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요건 57

03. 독거노인 돌봄기술 이용 환경 변화 분석 62

1. 노인의 디지털기기 활용 역량 분석 63

1)/2) 고령층의 디지털 환경 변화와 서비스 확대 67

2. 서울시 돌봄기술 정보 활용 현황 분석 69

1) 서울시 돌봄기술 정보의 활용 현황 69

3. 국내외 돌봄기술 현황 및 동향 분석 75

1) 스마트 장비를 이용한 어르신 건강 모니터링과 생활지원 75

2) 플랫폼을 이용한 어르신 돌봄기술 90

4. 지속가능한 돌봄기술 이용 환경 제공을 위한 시사점 95

1) 지속적인 돌봄기술 이용 환경 제공을 위한 플랫폼 방안 95

2) 플랫폼 기반 표준 정보 제공 방안 98

04. 독거노인 돌봄기술 지원 플랫폼 도입 방안 100

1. 플랫폼 구성 기본 방향 101

1) 독거노인 돌봄기술 지원 플랫폼 구성 방안 101

2) 돌봄기술 지원 효과 증대를 위한 참여자들의 역할 103

2. 단계별 기술 제공 방안 107

1) 1단계: 기존 서울시 돌봄서비스 기반 표준화 수립 107

2) 2단계: 돌봄기술 지원 플랫폼 활용 서비스 모델 확립 및 확장 110

3) 3단계: 플랫폼 기반 연계 서비스 제공 111

3. 돌봄기기 보급 민관협력 방안 112

1)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 112

2) 돌봄기술을 보유한 기업에 기회 제공 112

참고문헌 114

[부록] 노인 돌봄 기술 적용 효과성 조사 116

Abstract 126

판권기 128

표목차 10

[표 2-1] 차수별 댁내장비 게이트웨이(GW) 23

[표 2-2] 서울시 독거노인 AIoT 돌봄 주요 사례 27

[표 2-3] 서울시 노인돌봄로봇 활용 현황 28

[표 2-4] 서울시 주요 돌봄로봇 공급기업 및 기능 29

[표 2-5] AI스피커 기반 돌봄이웃 스마트 안심케어 서비스 주요 내용 33

[표 2-6] AI스피커 기반 돌봄이웃 스마트 안심케어 서비스 종합 기능 33

[표 2-7] 조사 설계 41

[표 2-8] 조사 할당 41

[표 2-9] 조사 내용 42

[표 2-10] 리스트 43

[표 2-11] 사전조사 개요 43

[표 2-12] 돌봄서비스 기능 만족 의견 48

[표 2-13] 돌봄서비스 기능 불만족 의견 48

[표 2-14] 자주 이용하는 공공기관 서비스 장점 51

[표 2-15] 돌봄기술 개발과 제공에 대한 윤리 가이드라인 60

[표 3-1] 위험상황 감지 및 대응 현황 69

[표 3-2] 서울시 스마트안부확인서비스 별 데이터 정보 및 표시 기준 71

그림목차 11

[그림 2-1] 댁내장비 종류(센서) 23

[그림 2-2] 기가지니 LTE 2 제품과 기기 소개 32

[그림 2-3] AI 통합돌봄서비스 통합관제시스템과 이용자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34

[그림 2-4] 광주다움 통합돌봄 35

[그림 2-5] 단축형 행복 척도 문항별 점수 44

[그림 2-6] 장소 방문 횟수 45

[그림 2-7] 자택 방문 방문 횟수 46

[그림 2-8] 돌봄서비스 기능의 사용현황 47

[그림 2-9] 돌봄서비스 기능 이해도 47

[그림 2-10] 돌봄서비스 기능 만족도 48

[그림 2-11] 돌봄서비스 계속 이용 의향 49

[그림 2-12] 돌봄서비스 기기/서비스 불편한 점 49

[그림 2-13] 사용 희망 돌봄서비스 기능 50

[그림 2-14] 현재 이용 중인 공공기관 서비스 50

[그림 2-15] 돌봄서비스 효과 51

[그림 2-16] 단축형 행복 척도 점수 52

[그림 3-1] 노인 연령별 디지털 접근성 변화(박소영 등, 2019) 64

[그림 3-2] 노인 연령별 디지털 역량 변화(박소영 등, 2019) 65

[그림 3-3] 노인 연령별 디지털 미디어 활용 변화(박소영 등, 2019) 66

[그림 3-4] 연령별 스마트폰 보유율(방송통신위원회, 2023) 67

[그림 3-5] 톡톡 스틱(사람을 보호하는 기업) 75

[그림 3-6] 스마트 디지털 지팡이(HUJECT) 76

[그림 3-7] 스마트 기저귀(메디로지스) 76

[그림 3-8] 바이브 에어(바이브) 77

[그림 3-9] 바이탈링(이메디헬스케어) 77

[그림 3-10] CART BP(스카이랩스) 78

[그림 3-11] 패스파인터(Walk with Path) 79

[그림 3-12] 배설 지원 로봇(사이버다인) 80

[그림 3-13] Constant companion(비지팅엔젤스) 80

[그림 3-14] Genie(Woohoo) 81

[그림 3-15] TureLoo(Toi Labs) 82

[그림 3-16] W allabot H ome(Vayyar) 83

[그림 3-17] Roomate(Sensio) 84

[그림 3-18] Haxx(로보틱스) 85

[그림 3-19] 넥 밴드(프라임스) 86

[그림 3-20] 욕조 안심 시스템(JVC켄우드) 87

[그림 3-21] Clomental(돌봄드림) 88

[그림 3-22] IoT 노인 가정 모니터링 하드웨어 솔루션(Dusun) 89

[그림 3-23] YOLVING(더인츠) 92

[그림 3-24] SMACARE(아리아케어 코리아) 93

[그림 3-25] 알렉사 투게더(아마존) 93

[그림 3-26] 홈 케어 서비스(DEVELCO) 94

[그림 4-1] 돌봄 참여자 간의 연계 102

[그림 4-2] 독거노인 돌봄 플랫폼 구성 및 역할 103

[그림 4-3] 독거노인 플랫폼 단계별 제공 방안 107

[그림 4-4] 독거노인돌봄 플랫폼 표준화 인증 절차(안) 109

[그림 4-5] 독거노인 플랫폼 확장 서비스 모델 예시-1 110

[그림 4-6] 독거노인 플랫폼 확장 서비스 모델 예시-2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