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AI 시대의 사이버 안보, 사이버 보안, 사이버 범죄

01 사이버 보안과 사이버 범죄의 현재
02 AI 기반 사이버 범죄 행위
03 AI 기반 사이버 범죄의 사회적 영향
04 수사기관의 사이버 범죄 대응 및 AI 활용
05 AI 기반 악성 코드 및 실시간 공격 탐지 기술
06 AI 및 딥페이크 기반 로맨스 스캠의 진화
07 AI, 블록체인, 가상 화폐를 활용한 사이버 범죄
08 AI와 사이버 보안 전문가
09 AI 기반 사이버 보안 교육
10 AI와 사이버 보안 윤리

이용현황보기

AI와 사이버 보안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226865 005.8 -25-16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226866 005.8 -25-16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AI 시대, 보안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이다
AI가 일상이 된 시대, 사이버 범죄 또한 더 정교하고 교묘해졌다. 딥페이크, 자동 피싱, 자가 진화형 악성 코드 등을 사용하는 공격자는 AI를 무기로 삼는다. 사이버 보안은 이제 전문가만의 영역이 아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개인부터 클라우드 인프라를 운용하는 조직, 국가 기반 시설을 관리하는 정부까지 모두가 참여해야 할 생존의 과제다. 이 책은 AI에 기반한 사이버 위협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정책·윤리의 복합 전략을 제시한다.
AI는 공격의 수단이자 방어의 도구다. 보안 시스템의 자동화, 이상 탐지, 위협 예측 등 AI는 보안의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있다. 이 책은 생성형 AI 시대의 보안 전략, 사이버 윤리, 교육과 인재 육성까지 총망라한 안내서다. 더 안전한 디지털 사회를 꿈꾸는 이들에게 가장 현실적인 나침반이 되어 줄 것이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흔히 사이버 범죄라고 하면 고도화된 컴퓨터 기술을 가진 해커가 범죄를 저지르는 것을 떠올리지만, 사실 상당수의 사이버 범죄는 사회공학(social engineering) 기법을 활용한다. 사회공학이란 사람을 속여 정보를 획득하는 기법으로, 특별한 기술이 필요하지 않지만 가장 효과적인 공격 방식 중 하나다.

-02_“AI 기반 사이버 범죄 행위” 중에서
AI 기반 이미지·영상 분석 기술은 수만 건의 콘텐츠 중 불법 촬영물 가능성이 있는 데이터를 빠르게 선별하고, 유사 이미지 탐색을 통해 피해자 중심의 2차 유포 방지 조치를 가능하게 한다. 한국인터넷진흥원도 민간 플랫폼과 협력해 불법 촬영물 탐지를 위한 AI 필터링 기술을 도입하고 있으며, AI가 콘텐츠의 특성을 학습해 자동으로 차단하는 시스템이 점차 고도화되고 있다.

-04_“수사기관의 사이버 범죄 대응 및 AI 활용” 중에서
블록체인은 신뢰 기반의 금융 인프라 구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모든 거래 기록이 변조 불가능한 형태로 저장되기 때문에 거래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보장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 계약은 계약 조건을 자동으로 실행하고 기록함으로써 금융 거래 과정에서의 인간 오류나 조작 가능성을 줄여 준다. 또한 분산 원장 기술은 중앙 서버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시스템 공격 시에도 복구가 가능한 복원력을 제공한다.

-07_“AI, 블록체인, 가상 화폐를 활용한 사이버 범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