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8

요약 4

Abstract 6

Ⅰ. 연구배경 11

1. 서론 11

2. 보고서 구성 12

Ⅱ. 국내 반도체 산업의 RE100 이행 도전과제 13

1. 국내 반도체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 현황 13

1) 국내 반도체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13

2) 글로벌 반도체 기업과의 탄소중립 전략 비교 15

2. 반도체 산업 RE100 이행의 제도적 한계 16

1) 국내 재생에너지 공급 목표의 한계 17

2) 한국형 RE100 제도의 문제점 18

Ⅲ. 국내 재생에너지 공급은 반도체 산업 RE100 달성에 충분한가? 21

1. 시나리오 설명 21

2. 반도체 산업의 RE100 달성 가능성 22

3. 재생에너지 조달 포트폴리오 23

1) 재생에너지 조달 포트폴리오 분석 24

2) 재생에너지 조달 포트폴리오별 비용 분석 25

4. 온실가스 배출량 영향 평가 26

Ⅳ. 결론 및 정책 제언 28

1. 결론 28

2. 정책 제언 29

1) 재생에너지 공급 확대 29

2) PPA 확대 필요성 29

3) 정부 차원의 정책 제언 29

4) 기업 차원의 전략 제언 30

참고문헌 32

[부록 Ⅰ] 연구 방법론 34

[부록 Ⅱ] 분석 결과(세부) 44

판권기 46

표목차 9

[표 1] 국내외 반도체 기업 탄소중립 목표 비교 15

[표 2] K-RE100 이행 수단별 참여기업 및 사용량 18

[표 3] K-RE100 이행 수단 특성 19

[표 4] 공급 시나리오 구성 21

[표 5] 시나리오 결과 비교(2038년) 28

[표 6] 시나리오 구성 34

[표 7] 국내 반도체 기업의 2023년 전력소비 및 재생에너지 조달 현황 추정치 36

[표 8] 반도체 산업 재생에너지 조달 수단별 최대 공급 가능 물량 39

[표 9] 전력 사용 유형별 배출계수 적용 기준 41

그림목차 9

[그림 1] 국내 산업부문 배출량(좌), 반도체 산업 배출량(우) (직ㆍ간접 배출량 포함) 13

[그림 2] 삼성전자 DS 사업부 국내사업장 온실가스 배출 경로 14

[그림 3] SK 하이닉스 국내 사업장 온실가스 배출 경로 15

[그림 4] 주요국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 2023년 실적 및 2030년 목표 17

[그림 5] 반도체 산업의 RE100 수요 및 공급 22

[그림 6] BAU 시나리오 하의 반도체 산업 RE100 수요 및 공급 가능량 전망 23

[그림 7] 시나리오별 포트폴리오 전망 24

[그림 8] 전력구매비용 및 재생에너지 조달 단가 전망 25

[그림 9] 시나리오별 간접배출량 및 전력소비량 전망 26

[그림 10] BAU 시나리오 기반 간접배출량 전망 27

[그림 11] 연구 공정도 35

[그림 12] 반도체 산업 전력 및 재생에너지 수요 전망 37

[그림 13] 국가 재생에너지 공급 전망 38

[그림 14] 재생에너지 조달 수단별 단가 전망 40

[그림 15] 공급 시나리오별 전력 배출계수 전망 42

[그림 16] 공급 시나리오별 전력배출계수 증가율 전망 43

[그림 17] 잔여배출계수 반영에 따른 간접배출량 전망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