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지형) 1

(1) 조사 목적 2

(2) 조사 지역 및 조사 대상 2

(가) 대상 지역 2

(나) 대상 지형 2

(3) 조사 기간 및 조사 시기 3

(4) 조사 내용 3

(5) 조사 방법 3

(가) 조사 대상지역과 기본 단의 격자의 확인 3

(나) 기존 정보 확인 3

(다) 기존 조사단위의 조사순서 결정 3

(라) 현지조사 4

(마) 지형조사표 작성 4

(바) 지형조사상세표 작성 5

(사) 지형분포도 작성 6

(6) 조사 체계 6

(가) 전문조사원의 자격 6

(나) 일반조사원의 자격 6

(7) 지형 등급의 판정 7

(가) 지형 등급 평가 항목 7

(나) 지형 등급 유형과 판정 기준 7

① Ⅰ 등급 7

② Ⅱ 등급 7

③ Ⅲ 등급 8

④ Ⅳ 등급 8

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식생) 15

1) 조사 목적 16

2) 조사 대상 16

3) 조사 기간 16

4) 조사 내용 16

5) 조사 방법 16

(1) 식생보전등급 수정, 보완, 추가 16

(2) 식생조사 및 식물군락의 명명 19

① 식생조사표의 기재 요령 19

② 식물군락의 명명 22

(3) 현존식생도(식생보전등급도)의 최소면적 및 식생범례 23

(4) 식생보전등급의 판정 23

① 식생의 중요성과 식생평가의 목적 23

② 식생보전등급의 판정 24

[별첨 1] 현존식생도의 식물군락 범례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 27

[별첨 2] 식물군락의 식생분류 검색체계 확립 방안 (김종원 등 2006) 33

1. 서론 33

2. 식물군락의 분류 과정 33

3. 핵심 현종조사 기법 43

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식물상) 46

(1) 조사 목적 47

(2) 조사 대상 47

① 대상지역 47

② 대상식물 47

(3) 조사 기간, 시기 및 일정 47

(4) 조사 과정 47

① 조사지역의 확인 47

② 기존정보의 확인 47

③ 대표산의 선정 47

④ 조사경로의 설정 48

⑤ 현지조사 48

가. 조사방법 48

나. GPS 위치좌표 확인 49

다. 조사 횟수 49

(5) 확증표본의 채집 49

(6) 지형도 표기방법 49

[별첨] 식물표본의 제작 및 동정 51

1) 표본채집 51

2) 확증표본 번호의 부여 51

표본번호의 예 51

표본번호 부여 사례 52

3) 표본의 건조 53

4) 표본을 대지에 고정하기 53

5) 표본동정 53

6) 표본 label 기재 54

7) 확증표본의 완성 55

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양서파충류) 85

(1) 조사목적 86

(2) 조사대상 86

① 조사지역 86

② 대상종 86

(3) 조사기간, 시기 및 일정 86

(4) 조사 과정 86

① 조사지역의 확인 86

② 기존정보의 확인 86

③ 조사경로의 결정 86

④ 청문조사 86

⑤ 현지조사 87

(5) 현지조사결과표 작성 요령 88

(6) 지형도 표기방법 89

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육상곤충) 96

(1) 조사목적 97

(2) 조사대상 97

① 조사지역 97

② 대상종 97

(3) 조사기간, 시기 및 일정 98

(4) 조사 구성 및 과정 98

① 조사구성 98

② 조사지역의 확인 99

③ 기존정보의 확인 99

④ 조사경로의 결정 99

⑤ 현지조사 99

(5) 현지조사결과표 작성 요령 101

(6) 표본채집 101

(7) 지형도 표기방법 103

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담수어류) 126

(1) 조사목적 116

(2) 조사대상 116

① 조사지역 116

② 대상종 116

(3) 조사기간, 시기 및 일정 116

(4) 조사 과정 116

① 조사지역의 확인 116

② 기존정보의 확인 116

③ 조사경로의 결정 116

④ 현지조사 116

[별첨] 118

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128

(1) 조사목적 129

(2) 조사대상 129

① 조사지역 129

② 대상종 129

(3) 조사기간, 시기 및 일정 129

(4) 조사 과정 129

① 조사지역의 확인 129

② 기존정보의 확인 129

③ 조사경로의 결정 129

④ 현지조사 130

채집방법 130

실내동정 130

조사횟수 131

(5) 현지조사결과표 작성 요령 132

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조류) 136

(1) 조사 목적 137

(2) 조사지역 137

(3) 조사방법 137

(4) 조사과정 137

(가) 조사지역의 확인 137

(나) 기존정보의 확인 137

(다) 조사경로의 설정 137

(5) 조사체계 138

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포유류) 148

(1) 조사목적 149

(2) 조사지역 149

(3) 조사방법 149

(4) 조사과정 149

(가) 조사지역의 확인 149

(나) 기존정보의 확인 149

(다) 조사경로의 설정 149

(라) 청문조사 150

(5) 조사체계 150

표목차

[표 1] 지형 등급 평가 항목 7

[표 2] 지형 등급 유형과 판정 기준 8

[표 4] 지형조사 분류표 9

[표 5] 지형조사표 13

[표 6] 지형조사상세표 14

[표 5-3] 식생조사표 양식 및 작성사례 21

[표 5-4] 조사구내 피도 및 군도의 측정기준 (Braun-Blanquet 1964, 김 2004) 22

[표 5-5] 식물군락을 명명한 예시 22

[표 5-6] 혼효림에서 상관에 의한 군락명의 판정기준 23

[표 5-7] 식생보전등급별 해설표 25

[표 5-8]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의 목록 56

[표 5-14] 육상곤충류의 특정종 목록(489종) 104

[표 5-15] 조사대상 어류목록 (한국고유종) 120

[표 5-16]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국내외 기준 문헌 131

[별첨 표 1] 현존식생도의 식물군락 범례 27

[별첨 표 2] 한국의 식생분류 검색체계 34

[별첨 표 3] 삼림식생에 대한 상세 군락분류체계 38

[별첨 표 4] 갈참나무-상산군락의 동정(identification) 사례 41

[별첨 표 5] 식물군락에 대한 진단종 발굴을 위한 신뢰도 판정 메트릭스 (Braun-Blanquet 1932 in Wersthoff & van der Maarel, 1973) (김, 2004로부터 발췌) 43

[표 1] 조류목록 139

[표 2] 번식 판단기준 147

[표 3] 포유류 목록 151

그림목차

[그림 1] 1:25,000도엽과 기본 조사단위(원으로 표시) 2

[그림 5-6]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식생분야 조사개념도 18

[그림 5-7] 보고서 작성시 격자번호 (예) 수정되는 부분이 1개 혹은 2개 이상의 큰 격자에 걸쳐 있을 경우에는 보고서에 그 중 가장 많이 걸쳐있는… 18

[그림 5-8] 신갈나무-굴참나무군락의 계층구조를 표시한 단면모식도(예). T1:교목층(T1, Tree Layer), T2: 아교목층(T2, Subtree Layer), S:… 20

[그림 5-9] 식생보전등급의 판정 순서도 26

[그림 5-10] 대표산 선정의 예. (사리도엽의 써리봉, 단성도엽의 웅석봉, 청암도엽의 주산, 대평도엽의 시루봉) 48

[그림 5-15]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양서ㆍ파충류 분야 조사체계 88

[그림 5-16]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육상곤충 분야 조사체계 100

[그림 5-17]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담수어류 분야 조사체계 117

[그림 5-18] 하순(stream order) 산정방법 118

[그림 5-19]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분야 조사체계 132

[별첨 그림 1] 식생단위에 대한 진단종의 이해. 종 ①과 ②는 군집-B의 표징종, 종 ③과 ④는 군집-A의 표징종, 종 ⑧은 군집-C의 표징종, 종 ④와 ⑥은 군집B-아군집-a의 구분종,… 42

[그림 1]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조류 분야 조사체계 138

[그림 1]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포유류 분야 조사체계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