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Ⅰ. 원가계산의 의의 3

가. 적산의 의의 3

나. 적산의 기능 4

Ⅱ. 정부공사 원가계산 체계 5

가. 정부공사 원가계산 제도의 발전 5

나. 원가계산의 법적근거 5

(1)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5

(2) 동법률 시행령 5

(3) 동법률 시행규칙 5

(4) 원가계산에 의한 예정가격 작성준칙 5

다. 예정가격 관련조항 6

(1) 예정가격의 개념 6

(2) 예정가격의 작성 및 비치 6

(3) 예정가격 작성의 예외 6

(4) 예정가격의 결정방법 7

(5) 예정가격의 결정기준 7

(6) 예정가격 결정을 위한 공사비 작성 8

Ⅲ. 원가계산에 의한 예정가격 작성시 제경비 9

가. 비목별 원가계산 원칙 9

(1) 공사원가의 구성 9

(2) 비목별 산출 9

(가) 재료비 9

(나) 노무비 10

(다) 경비 12

(라) 일반관리비 13

(마) 이윤 14

(바) 산업재해보험료(산업재해보상 보험요율) 14

(사) 환경관리비 적용기준 15

(아) 산업안전보건관리비 16

(자) 공사손해보험료 적용 기준 17

(차) 고용보험료 적용기준 18

(카) 건설근로자 퇴직공제 부금비 19

(타) 공사이행보증수수료 21

(파) 건설하도급대금지급보증서 발급수수료 22

(하) 국민건강 및 국민연금보험료 24

(3) 부가가치세 적용기준 26

나. 예비가격기초금액 28

(1) 예비가격 기초금액 발표시 적격심사 관련내용 28

(2) 예비가격기초금액 발표시 게재내용 28

다. 내역입찰 29

(1) 개념 29

(2) 관련규정 29

(3) 내역입찰집행요령 주요내용(입찰무효의 범위) 29

(4) 산출내역서 제출방법 31

Ⅳ. 조달청 원가계산 제 비율표 33

1. 조달청 원가계산에 의한 예정가격 작성 흐름 33

2. 조달청의 조사가격 산정과정 33

3. 공사원가계산 제 비율 해설 36

4. 제 비율 적용대상 항목의 적용기준 37

(1) 공사의 종류 37

(2) 공사규모 37

(3) 공사기간 37

(4) 직접노무비[직노] 37

(5) 재료비[재] 38

(6) 관급자재비[관급자재] 38

(7) 산출경비[산경] 39

(8) 간접노무비(건축공사는 공사의 유형별로 요율이 세분화 됨) 39

(9) 산재보험료 39

(10) 고용보험료 40

(11) 국민건강보험료 42

(12) 국민연금보험료 43

(13) 퇴직공제부금비 44

(14) 산업안전보건관리비(안전관리비) 45

(15) 공사이행보증서 발급수수료 46

(16) 건설하도급대금 지급보증서발급수수료 47

(17) 기타경비(건축공사는 공사의 유형별로 요율을 세분화) 48

(18) 환경보전비 49

(19) 일반관리비 50

(20) 이윤 50

(21) 공사손해보험료 51

(22) 부가가치세 51

5. 제 비율 관련 주요 질의 응답 52

Ⅴ. 실적공사비 제도 56

(1) 추진배경 56

(2) 추진내용 57

[참고 1] 간접공사비(제경비) 산정절차 및 방법 58

[참고 2] 2007년 실적공사비 적용시 제경비율 조정계수 60

[붙임 1] 예정가격관련 유권해석사례 63

관 고시가격이 포함된 원가계산에서 제경비율적용 63

거래실례가격의 적용에 대하여 64

시설공사 노임단가 기준 적용에 대하여 65

예정가격이 과다 계상된 경우 감액조치 할 수 있는지 66

단위당 가격을 거래실례가격에 의한 경우 일반관리비 및 이윤 계상 67

원가계산시 제경비율을 발주기관이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지의 여부 및 임의적으로 조정되어 있는 경우 계약금액조정이 가능여부 68

[붙임 2] 용어해설 69

[붙임 3] 공사원가계산사례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