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제1장. CDM 사업의 배경 4
1. 기후변화협약 5
2. 교토의정서 8
3. 교토메커니즘 10
제2장. CDM 사업 개요 및 조직 14
1. CDM 사업 목적 15
2. CDM 사업 조직 체계 17
제3장. CDM 사업 절차 및 종류 22
1. CDM 사업 절차 및 각 단계별 고려 사항 23
2. CDM 사업의 종류 33
1) 사업규모에 따른 CDM 사업 분류 - 소규모 CDM 사업 33
2) 신규조림 및 재조림 CDM 33
제4장. CDM 사업 계획서 작성 40
1. 사업개요(General description of project activity) 41
2. 베이스라인 및 모니터링 방법론 적용(Application of a baseline and monitoring methodology) 41
3. 사업 기간/CER발급 기간(Duration of the project activity / Crediting period) 46
4. 환경 영향(Environmental impacts) 47
5. CDM 사업으로부터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지역, 단체 또는 개인의 의견(Stakeholders' comments) 47
6. 기타 (Annexes) 47
제5장. CDM 사업 투자 현황 50
1. 선진국의 분야별 CDM 사업 선호도 51
2. CDM 사업관련 국제기구의 기금 52
3. 정부 CDM 사업 기금 53
4. 산업체의 CDM 사업 기금 56
5. 기타 56
제6장. CDM 사업 사례 60
1. 우리나라: 울산 HFC 분해사업 61
2. 브라질: NovaGerar 매립지 가스 에너지 사업 62
제7장. 부록 66
부록 1. CDM 사업관련 용어 및 약어 67
부록 2. CDM 사업 계획서 74
부록 3. CDM 집행위원회에서 제시하는 CDM 사업 추가성 검증 방법 80
부록 4. 승인된 CDM 베이스라인 / 모니터링 방법론 86
부록 5. CDM 사업관련 국내 컨설팅 업체현황 89
부록 6. CDM 사업관련 web-site 90
부록 7. 마라케쉬 합의문 중 CDM 사업관련 내용 93
부속서 : 청정개발체제 방식 및 절차 98
부록 A : 운영기구의 인증 기준 110
부록 B : 사업 기안문서 (Project design document) 112
부록 C : 기준선 및 감독 방법론 지침 구축을 위한 위임사항 114
부록 D: 청정개발체제 등록요건 115
표1-1. 부속서 I 국가와 부속서 II 국가 6
표1-2. 부속서 B 당사국 및 감축목표 9
표2-1. 부속서 I국가의 CDM 사업 참여요건 16
표2-2. 지구온난화 가스의 종류 및 지구온난화지수 16
표2-3. CDM 사업관련 주요기관 및 역할 18
표2-4. CDM 집행위원회 산하 Panel의 종류 및 역할 19
표3-1. CDM 사업계획서의 구성 24
표3-2. CDM 사업 디자인 단계의 체크리스트 25
표3-3. 지정된 CDM운영기구 현황 26
표3-4. CDM 사업 단계별 제출서류 27
표3-5. 모니터링 계획 체크리스트 30
표3-6. CERs 일련번호의 예 32
표3-7.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CDM 사업으로 가능한 부문의 예 34
표3-8. tCER과 lCER의 비교 36
표3-9. 흡수원 CDM관련 용어 정의 37
표3-10. 흡수원 CDM 주요 사항에 대한 시행규칙 요약 38
표4-1/표4-2. 각 온실가스별 배출감축량 계산 45
표4-2/표4-3. 탄소배출계수(CARBON EMISSION FACTOR: CEF) 46
표5-1. 부속서 B국가의 CDM 사업 종류별 선호도(예) 51
표5-2. 네덜란드 ERUPT프로그램과 CERUPT 프로그램 현황 53
표5-3. 네덜란드 정부와 CER/ERU구매를 체결한 사업 54
표5-4. 덴마크정부의 탄소감축분 구매프로그램 대상 사업 및 규모 55
표5-5. 일본 GHG 감축기금 조성 참여 회사 56
그림1-1. 기후변화협약, 교토의정서 및 마라케쉬 합의문의 비교 8
그림1-2. 공동이행제도(JI)사업에서 발생하는 ERUs의 이동 절차 10
그림2-1. COP/MOP와 CDM 집행위원회 17
그림3-1. CDM 사업 절차 23
그림3-2. 우리나라의 CDM 사업 국가승인 절차 28
그림3-3. CDM 사업 등록 절차 29
그림3-4. CER발급 절차 30
그림3-5. CDM 레지스트리의 구조 32
그림3-5. 일시적 크레딧(tCER) 재발행의 예 (크레딧 발생기간 30년) 35
그림3-6. 장기적 크레딧(lCER) 재발행의 예 (크레딧 발생기간 30년) 35
그림4-1. CDM집행위원회에서 제시한 추가성 증명 방법 44
그림5-1. 일본 탄소 금융회사의 CERs/ERUs 구매 구조 57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