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연구 요약 10

제1장 서론 23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4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8

제2장 장애인복지 실천관점의 변화 30

1. 장애인복지관의 사례관리 31

2. 장애인복지관의 기능과 역할 변화 34

3. 장애인복지 사례관리의 관점 37

1) 대인서비스 제공 실천 모델 37

2) 강점 중심의 접근 38

3) 이용자 참여와 권리에 기반 한 서비스 39

4) 네트워크 43

제3장 장애인복지관 사례관리 운영체계 45

1. 사례관리의 개념과 모델 46

1) 사례관리의 기초 46

2) 사례관리의 모델 55

2. 장애인복지관 사례관리 실천모델 및 운영체계 58

1) 장애인복지관 사례관리 도입 현황 58

2) 장애인복지관의 사례관리 개념 및 실천모델 66

3) 장애인복지관 사례관리 운영체계 72

제4장 장애인복지관 사례관리 주요과정 78

1. 사례관리 진입과 과정 82

2. 초기상담(Intake) 85

1) 초기상담의 내용 85

2) 초기 면접 단계의 기록 86

3. 사정(Assessment) 88

1) 사정의 절차와 운영 88

2) 사례관리사정표 작성하기 93

3) 사정회의 97

4. 개별지원계획 100

1) 개별지원계획회의 준비 101

2) 개별지원계획회의 진행 104

3) 개별지원계획 실행의 주체 결정 107

4) 개별지원계획의 함의 110

5. 점검 및 평가 111

1) 점검 112

2) 평가 117

6. 함의 121

제5장 장애인복지관 사례관리 실천사례 122

1. 사례개요 123

2. 사례관리과정 124

1) 초기상담 124

2) 사정하기 126

3) 사례관리 사정표 작성 133

표목차

〈표 3.1〉 사회복지실천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조되는 사례관리 특징 47

〈표 3.2〉 최근 복지환경변화의 주요 이슈 53

〈표 3.3〉 사례관리 과정에 따른 사례관리자 역할모델 비교 55

〈표 3.4〉 사례관리의 구성요건에 따라 분류한 사례관리모델 56

〈표 3.5〉 2011년도 전국 장애인복지관 평가지표 중 기관차원의 사례관리 지표 59

〈표 3.6〉 2011년도 장애인복지관 평가 서울시특성화 지표 중 사례관리 지표 60

〈표 3.7〉 2014년도 전국 장애인복지관 평가지표 중 사례관리의 체계 지표 61

〈표 3.8〉 2014년도 전국 장애인복지관 평가지표 중 사례관리의 지원체계 지표 62

〈표 3.9〉 2014년도 전국 장애인복지관 평가지표 중 사례관리 실인원 지표 62

〈표 3.10〉 2013년도 보건복지부 장애인복지시설 사업안내(제Ⅲ권)의 장애인복지관 주요기능 중 사례관리 63

〈표 4.1〉 사정 및 개인별 서비스 계획 수립의 절차에 따른 유형 82

〈표 4.2〉 초기 면접지 87

〈표 4.3〉 사정을 위한 영역의 구분과 내용 88

〈표 4.4〉 사정영역 및 내용 90

〈표 4.5〉 사정을 위한 정보제공서의 구성내용 92

〈표 4.6〉 생태지도 주요요소 작성 방법 및 내용 95

〈표 4.7〉 개인 기능 및 잠재적 능력 사정의 주요내용 97

〈표 4.8〉 사례관리 유형 98

〈표 4.9〉 사정관리 사정표 99

〈표 4.10〉 개별지원계획회의 참여자 103

〈표 4.11〉 개별지원계획회의 양식 106

〈표 4.12〉 개별지원계획 프로그램 운영 주체 110

〈표 4.13〉 서비스 계획에 따른 실행 점검 113

〈표 4.14〉 서비스 계획에 따른 프로그램 운영주체 점검 115

〈표 4.15〉 사례관리 평가 119

〈표 5.1〉 실천사례 초기면접지 124

〈표 5.2〉 실천사례 사정양식 1 127

〈표 5.3〉 실천사례 사정양식 2 128

〈표 5.4〉 실천사례 사정양식 3 130

〈표 5.5〉 실천사례 사정양식 4 131

〈표 5.6〉 사례관리사정표 133

그림목차

[그림 3.1] 장애인복지관 전체 사례관리 과정 68

[그림 3.2] 장애인복지관 심층 사례관리 과정 69

[그림 3.3] 장애인복지관 사례관리 운영체계의 구조 73

[그림 4.1] 사례관리 과정의 개요 84

[그림 4.2] 가계도 94

[그림 4.3] 생태지도 작성 예시 96

[그림 4.4] 문제 해결의 주체와 대상에 따른 분류 108

[그림 4.5] 권익옹호활동의 분류틀 108

[그림 4.6] 서비스 계획에 따른 프로그램 운영 점검과정 114

[그림 4.7] 서비스계획에 따른 프로그램 운영주체 점검 과정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