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4

Ⅰ. 서론 26

1. 연구의 필요성 및 배경 27

2. 연구의 목적 27

3. 연구의 내용 및 범위 28

가. 기존의 학교시설 기준 현황 진단 및 문제점 분석 28

나. 현행 교육과정 및 교육정책 분석을 통한 필수 소요 시설 도출 28

다. 학교급별 학교시설 이용실태 및 사용자 만족/요구도 분석 29

라. 학교급별, 규모별 학교시설 적정 기준 제시 29

4. 연구의 방법 29

가. 문헌조사 29

나. 통계조사 30

다. 도면, 실태, 면담, 설문조사 30

라. 전문가협의회 구성, 운영 30

마. 연구결과발표회(또는 공청회) 30

5. 연구의 제한점 31

Ⅱ.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 32

1. 선행연구 분석 33

가. 초ㆍ중등학교 시설기준 등에 관한 연구(이화룡 외, 교육부, 2006) 33

나. 학교시설기준 개정에 관한 연구(이화룡 외, 교육부, 2003) 33

다. 제7차 개정 교육과정에 대응한 초ㆍ중ㆍ고등학교의 시설기준에 관한 연구(최병관 외, 한국교육시설학회, 2009) 33

라. 초ㆍ중등학교 교지 면적 및 관련 기준에 관한 조사(이화룡 외, 한국교육시설학회, 2010) 34

마. 서울시 지역교육청별 초등학교 교사시설의 면적 특성(김종석 외, 한국교육시설학회, 2010) 34

바. 통합보육시설의 시설 및 설비 기준에 관한 연구(김영은 외,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2006) 35

2. 시설기준 문헌분석 35

가. 국내 학교시설 기준 35

나. 국외 학교시설 기준 39

3. 교육과정 및 환경변화 58

가. 2009 개정 교육과정 58

나. 최근 교육환경의 변화 요소 80

Ⅲ. 학교시설 현황 및 실태분석 88

1. 학교 기본 및 시설현황 89

가. 기본현황 89

나. 교지, 체육장, 교사대지 면적현황 97

다. 교사(校舍) 연면적 현황 102

라. 학교규모별 학생 1인당 교지면적 현황 107

마. 학교규모별 학생 1인당 체육장 면적 현황 111

바. 학교규모별 학생 1인당 교사연면적 현황 115

2. 실태조사 120

가. 조사개요 120

나. 도면분석 결과 122

3. 사용자 요구도 및 만족도 조사 124

가. 조사개요 124

나. 조사결과 125

Ⅳ. 학교시설기준 139

1. 기본방향 140

가. 미래 학교시설의 건축방향 140

나. 영역별 공간의 종류 및 조닝(Zoning) 143

2. 공간구성 가이드 및 면적기준 146

가. 교수-학습 공간 146

나. 지원공간 168

다. 관리 및 행정공간 185

라. 옥외공간 190

3. 교지, 체육장 및 교사면적 기준(안) 196

가. 교지면적 196

나. 체육장 면적 200

다. Space Program ; 교사면적 206

Ⅴ. 요약 및 제언 216

1. 요약 217

2. 정책적 제언 231

가. 면밀한 시설현황 파악을 위한 시스템 구축 231

나. 새로운 교육공간 창출을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232

다. 학교시설기준의 이원화 : 국가수준 + 지역수준 232

참고문헌 234

[부록] 238

1. 학교급별 규모별 Space Program(안) 238

가. 전제조건 238

나. Space Program 240

2. 「고등학교이하각급학교설립ㆍ운영규정」의 시설기준 개정(안) 288

가. 현행기준 288

나. 기준 개정(안) 289

3. 설문지 292

표목차

〈표 Ⅱ-1〉 국내 학교시설 교지면적 기준 비교 36

〈표 Ⅱ-2〉 국내 학교시설 교사 연면적 기준 비교 37

〈표 Ⅱ-3〉 유치원 single unit 시설면적표 41

〈표 Ⅱ-4〉 유치원 double unit 시설면적표 42

〈표 Ⅱ-5〉 21학급 초등학교 실별 시설면적표 47

〈표 Ⅱ-6〉 2009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의 내용 체계 61

〈표 Ⅱ-7〉 유치원 교육과정의 5개 생활 영역에서 지도하는 내용 62

〈표 Ⅱ-8〉 유치원의 활동 영역별 내용 기준 및 필요 공간 63

〈표 Ⅱ-9〉 유치원의 활동 영역별 내용 기준 및 지원 공간 63

〈표 Ⅱ-10〉 초등학교의 편제에 따른 시간 배당 65

〈표 Ⅱ-11〉 초등학교의 교과별 내용 영역(대주제) 65

〈표 Ⅱ-12〉 초등학교의 교과별 성취기준ㆍ교수-학습 형태ㆍ필요 공간 66

〈표 Ⅱ-13〉 초등학교의 교수ㆍ학습 지원 공간 69

〈표 Ⅱ-14〉 중학교 교과별 시간 배당 기준 및 내용 영역(대주제) 71

〈표 Ⅱ-15〉 중학교의 교육과정과 교수ㆍ학습형태 및 필요 공간 71

〈표 Ⅱ-16〉 중학교의 교수ㆍ학습 지원 공간 74

〈표 Ⅱ-17〉 고등학교 단위 배당 기준 75

〈표 Ⅱ-18〉 고등학교 교과목 구성 체계 76

〈표 Ⅱ-19〉고등학교의 교육과정과 교수ㆍ학습형태 및 필요 공간 77

〈표 Ⅱ-20〉 창의적 체험활동의 영역과 필요 공간 도출 77

〈표 Ⅱ-21〉 방과후 교육과 자기주도 학습의 필요 공간 79

〈표 Ⅱ-22〉 고등학교의 교수ㆍ학습 지원 공간 79

〈표 Ⅲ-1〉 유치원 현황 변화추이 90

〈표 Ⅲ-2〉 초등학교 학교현황 변화추이 91

〈표 Ⅲ-3〉 중학교 학교현황 변화추이 93

〈표 Ⅲ-4〉 일반계고등학교 학교현황 변화추이 94

〈표 Ⅲ-5〉 전문계고등학교 학교현황 변화추이 95

〈표 Ⅲ-6〉 학교급별 학급당 학생수 국제 비교 96

〈표 Ⅲ-7〉 유치원 체육장, 교사대지, 교지면적 변화추이 98

〈표 Ⅲ-8〉 초등학교 체육장, 교사대지, 교지면적 변화추이 99

〈표 Ⅲ-9〉 중학교 체육장, 교사대지, 교지면적 변화추이 100

〈표 Ⅲ-10〉 일반계고등학교 체육장, 교사대지, 교지면적 변화추이 101

〈표 Ⅲ-11〉 전문계고등학교 체육장, 교사대지, 교지면적 변화추이 102

〈표 Ⅲ-12〉 유치원 연면적 및 학생 1인당 연면적 변화추이 103

〈표 Ⅲ-13〉 초등학교 연면적 및 학생 1인당 연면적 변화추이 104

〈표 Ⅲ-14〉 중학교 연면적 및 학생 1인당 연면적 변화추이 105

〈표 Ⅲ-15〉 일반계고등학교 연면적 및 학생 1인당 연면적 변화추이 106

〈표 Ⅲ-16〉 전문계고등학교 연면적 및 학생 1인당 연면적 변화추이 107

〈표 Ⅲ-17〉 초등학교 학생 1인당 교지면적 현황(2010년) 108

〈표 Ⅲ-18〉 중학교 학생 1인당 교지 면적 현황(2010년) 109

〈표 Ⅲ-19〉 일반계고등학교 학생 1인당 교지 면적 현황(2010년) 110

〈표 Ⅲ-20〉 전문계고등학교 학생 1인당 교지 면적 현황(2010년) 111

〈표 Ⅲ-21〉 초등학교 학생 1인당 체육장 면적 현황(2010년) 112

〈표 Ⅲ-22〉 중학교 학생 1인당 체육장 면적 현황(2010년) 113

〈표 Ⅲ-23〉 일반계고등학교 학생 1인당 체육장 면적 현황(2010년) 114

〈표 Ⅲ-24〉 전문계고등학교 학생 1인당 체육장 면적 현황(2010년) 115

〈표 Ⅲ-25〉 초등학교 학생 1인당 연면적 현황(2010년) 116

〈표 Ⅲ-26〉 중학교 학생 1인당 연면적현황(2010년) 117

〈표 Ⅲ-27〉 일반계고등학교 학생 1인당 연면적 현황(2010년) 118

〈표 Ⅲ-28〉 전문계고등학교 학생 1인당 연면적 현황(2010년) 119

〈표 Ⅲ-29〉 전문계고등학교 계열별 학생 1인당 연면적 현황(2010년) 119

〈표 Ⅲ-30〉 실태/현장/설문조사 대상학교 121

〈표 Ⅲ-31〉 초등학교 실내공간 및 옥외공간 도면분석 122

〈표 Ⅲ-32〉 중학교 실내공간 및 옥외공간 도면분석 123

〈표 Ⅲ-33〉 고등학교 실내공간 및 옥외공간 도면분석 124

〈표 Ⅲ-34〉 학교급별 만족도 125

〈표 Ⅲ-35〉 지역규모별 만족도 126

〈표 Ⅲ-36〉 학교규모별 만족도 127

〈표 Ⅲ-37〉 각 실의 크기에 대한 집단별 만족도(초등학교) 128

〈표 Ⅲ-38〉 각 실의 크기에 대한 집단별 만족도(중학교) 129

〈표 Ⅲ-39〉 각 실의 크기에 대한 집단별 만족도(고등학교) 131

〈표 Ⅲ-40〉 각 실의 크기에 대한 학교급별 만족도 133

〈표 Ⅲ-41〉 각 실의 크기에 대한 지역규모별 만족도 134

〈표 Ⅲ-42〉 각 실의 크기에 대한 학급규모별 만족도 136

〈표 Ⅲ-43〉 필요 시설에 대한 요구도 138

〈표 Ⅳ-1〉 영역별 공간의 종류 144

〈표 Ⅳ-2〉 표준 책ㆍ걸상 2(700㎜×500㎜) 배치에 따른 단위교실면적 151

〈표 Ⅳ-3〉 도서실 공간구성별 기능 및 요소 170

〈표 Ⅳ-4〉 종목 및 시설별 면적 및 안전 AREA 177

〈표 Ⅳ-5〉 체육관 규모별 면적(㎡), 높이(m), 폭(m) 177

〈표 Ⅳ-6〉 체육장 설비 기준의 예시(경기도교육청) 191

〈표 Ⅳ-7〉 영국의 학교급별 운동경기장 규모 192

〈표 Ⅳ-8〉 학교급별 운동(경기장) 규모 기준 192

〈표 Ⅳ-9〉 최소 옥외 공간 면적 193

〈표 Ⅳ-10〉 주차형식별 면적표 195

〈표 Ⅳ-11〉 일본 의무교육 학교시설의 교지면적 기준 197

〈표 Ⅳ-12〉 영국 교지(site area)면적 기준 197

〈표 Ⅳ-13〉 초등학교 교지면적 기준 비교 198

〈표 Ⅳ-14〉 중학교 교지면적 기준 비교 199

〈표 Ⅳ-15〉 고등학교 교지면적 기준 비교 200

〈표 Ⅳ-16〉 미국 교정(school yards) 학생 1인당 기준 면적 201

〈표 Ⅳ-17〉 프랑스와 독일의 체육 장면적 기준 201

〈표 Ⅳ-18〉 영국 초등학교(315명 수용) 체육장 면적 사례 202

〈표 Ⅳ-19〉 영국 중등학교(1,000명 수용) 체육장 면적 사례 202

〈표 Ⅳ-20〉 학급 수 당 체육장의 기준 면적 202

〈표 Ⅳ-21〉 각국 초등학교 학급수(학생수)별 체육장 면적기준 비교 205

〈표 Ⅳ-22〉 교사 1인당 표준수업시수 207

〈표 Ⅳ-23〉 학교급별 필수, 최소, 적정 시설의 종류 209

〈표 Ⅳ-24〉 초등학교 규모별 Space Program 211

〈표 Ⅳ-25〉 중학교 규모별 Space Program 212

〈표 Ⅳ-26〉 일반계 고등학교 규모별 Space Program 213

〈표 Ⅳ-27〉 학교급별 규모별 교사 연면적 및 학생 1인당 면적 비교 214

그림목차

[그림 Ⅰ-1] 연구추진흐름도 31

[그림 Ⅱ-1] 국내 학교시설 교지면적 기준 비교 36

[그림 Ⅱ-2] 국내 학교시설 교사 연면적 기준 비교 38

[그림 Ⅱ-3] 유치원 single unit 레이아웃(예시) 41

[그림 Ⅱ-4] 유치원 double unit 레이아웃(예시) 42

[그림 Ⅱ-5] 초등학교 실별 레이아웃(예시) 48

[그림 Ⅱ-6] 중학교 교과교실 및 리소스센터 레이아웃(예시) 56

[그림 Ⅱ-7] 중학교 특별교실 및 지원시설 레이아웃(예시) 57

[그림 Ⅱ-8] 교육환경변화방향 81

[그림 Ⅱ-9] 교과교실제 공간구성 개념도 82

[그림 Ⅱ-10] Zero Emission School 개념도 86

[그림 Ⅱ-11] 선진 급식시스템의 개념도 87

[그림 Ⅲ-1] 유치원 현황 변화추이 90

[그림 Ⅲ-2] 초등학교 학교현황 변화추이 91

[그림 Ⅲ-3] 중학교 학교현황 변화추이 92

[그림 Ⅲ-4] 일반계고등학교 학교현황 변화추이 94

[그림 Ⅲ-5] 전문계고등학교 학교현황 변화추이 95

[그림 Ⅲ-6] 학교급별 학급당 학생수 변화추이 96

[그림 Ⅲ-7] 유치원 체육장, 교사대지, 교지면적 변화추이 97

[그림 Ⅲ-8] 초등학교 체육장, 교사대지, 교지면적 변화추 98

[그림 Ⅲ-9] 중학교 체육장, 교사대지, 교지면적 변화추이 99

[그림 Ⅲ-10] 일반계고등학교 체육장, 교사대지, 교지면적 변화추이 100

[그림 Ⅲ-11] 전문계고등학교 체육장, 교사대지, 교지면적 변화추이 102

[그림 Ⅲ-12] 유치원 연면적 및 학생 1인당 연면적 변화추이 103

[그림 Ⅲ-13] 초등학교 연면적 및 학생 1인당 연면적 변화추이 104

[그림 Ⅲ-14] 중학교 연면적 및 학생 1인당 연면적 변화추이 105

[그림 Ⅲ-15] 일반계고등학교 연면적 및 학생 1인당 연면적 변화추이 106

[그림 Ⅲ-16] 전문계고등학교 연면적 및 학생 1인당 연면적 변화추이 107

[그림 Ⅳ-1] 학교시설의 목적 140

[그림 Ⅳ-2] 교과교실제 시설 기본계획 프로세스 142

[그림 Ⅳ-3] 초등학교 시설 수평적 기능도 144

[그림 Ⅳ-4] 중등학교(교과교실제) 시설 수평적 기능도 145

[그림 Ⅳ-5] 이론중심 교과교실의 단위공간평면(예시) 152

[그림 Ⅳ-6] 국어교실의 공간구성 154

[그림 Ⅳ-7] 사회교실의 공간구성 155

[그림 Ⅳ-8] 영어교실의 공간구성 157

[그림 Ⅳ-9] 영어교실의 단위공간계획 158

[그림 Ⅳ-10] 수학교실의 공간구성 160

[그림 Ⅳ-11] 과학교실의 공간구성 162

[그림 Ⅳ-12] 기술실의 공간구성 163

[그림 Ⅳ-13] 가정실의 공간구성 165

[그림 Ⅳ-14] 음악실의 공간구성 166

[그림 Ⅳ-15] 미술실의 공간구성 168

[그림 Ⅳ-16] 도서실의 공간구성 170

[그림 Ⅳ-17] 컴퓨터실의 공간구성 172

[그림 Ⅳ-18] 미디어센터의 공간구성 173

[그림 Ⅳ-19] 시청각실의 공간구성 175

[그림 Ⅳ-20] 실내체육관의 공간구성 178

[그림 Ⅳ-21] 교사연구실의 공간구성 179

[그림 Ⅳ-22] 교사휴게실의 공간구성 180

[그림 Ⅳ-23] 홈베이스의 공간구성 181

[그림 Ⅳ-24] 식당의 공간구성 182

[그림 Ⅳ-25] 주방의 공간구성 184

[그림 Ⅳ-26] 교장실의 공간구성 185

[그림 Ⅳ-27] 교감실의 공간구성 185

[그림 Ⅳ-28] 행정실의 공간구성 186

[그림 Ⅳ-29] 교무지원센터의 공간구성 187

[그림 Ⅳ-30] 보건실의 공간구성 188

[그림 Ⅳ-31] 상담실의 공간구성 189

[그림 Ⅳ-32] 학부모실의 공간구성 189

[그림 Ⅳ-33] 방송실의 공간구성 190

[그림 Ⅳ-34] 운동경기장의 규모 기준 193

[그림 Ⅳ-35] 놀이마당/마당의 예시 194

[그림 Ⅳ-36] 생태공간 예시 194

[그림 Ⅳ-37] 주차형식별 평면 및 사례 195

[그림 Ⅳ-38] 교지 면적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96

[그림 Ⅳ-39] 초등학교 학급수별 교지면적 기준 비교 198

[그림 Ⅳ-40] 중학교 학급수별 교지면적 기준 비교 199

[그림 Ⅳ-41] 고등학교 학급수별 교지면적 기준 비교 200

[그림 Ⅳ-42] 초등학교 규모별 체육장 시뮬레이션 203

[그림 Ⅳ-43] 중등학교 규모별 체육장 시뮬레이션 204

[그림 Ⅳ-44] 각국 초등학교 학급수(학생수)별 체육장 면적기준 비교 205

[그림 Ⅳ-45] 초등학교 규모별 연면적 및 학생 1인당 면적 211

[그림 Ⅳ-46] 중학교 규모별 연면적 및 학생 1인당 면적 212

[그림 Ⅳ-47] 일반계 고등학교 규모별 연면적 및 학생 1인당 면적 214

[그림 Ⅳ-48] 학교급별 규모별 학생 1인당 면적 비교 215

부록표목차

[부록 표 2-1] 초등학교 교사의 기준면적(안) 289

[부록 표 2-2] 중학교 교사의 기준면적(안) 289

[부록 표 2-3]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의 기준면적(안) 290

[부록 표 2-4] 초등학교 체육장의 기준면적(안) 290

[부록 표 2-5] 중학교 체육장의 기준면적(안) 291

[부록 표 2-6] 일반계 고등학교 체육장의 기준면적(안) 291

부록별표목차

[별표 1] 교사(校舍)의 기준면적(2007.05.02 개정) 288

[별표 2] 체육장의 기준면적(2007.05.02 개정)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