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7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7
1. 연구 배경 17
2. 연구 목적 26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27
1. 연구 범위 27
2. 연구방법 34
제2장 박물관정책 및 제도 변화와 문제점 39
제1절 박물관 확충정책의 흐름 39
1. 박물관 '시설' 확충 중심의 박물관정책 39
2. 공립박물관 확충정책의 문제점: 담론 및 연구 분석 46
제2절 공립박물관의 법제도적 정의 및 문제점 51
1.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의 정의 51
2. 공립박물관 운영실태에 따른 법제적 정의의 한계 56
제3절 지방자치제도의 시행과 공립박물관 85
1. 지방자치제도 시행 이후 공립박물관 건립비 국고지원 85
2. 균형발전특별회계 이후 지방의 공립박물관 건립 재정 92
3. 지역특구제도와 규제특례에 의한 공립박물관 운영 98
4. 건립비 국고지원과 공립박물관 건립의 문제점 102
제3장 공립박물관 운영실태: 등록요건을 중심으로 124
제1절 등록제도의 현황 및 문제점 124
1. 등록박물관 통계관리의 미비 124
2. 저조한 등록률 128
3. 건립비 국고지원과 등록 현황(서면조사): 미등록 박물관 다수 131
4. 등록관련 제도 적용 현황 134
제2절 운영조직 및 인력 139
1. 공립박물관 관련 행정체계 139
2. 운영위원회 161
3. 관장 170
4. 인력 183
제3절 시설 및 설비 238
1. 법제도상에서 '시설'의 의미 238
2. 시설 규모별 현황 241
3. 등록 시 필수 설비 328
제4절 소장품 330
1. '박물관자료'의 개념 330
2. 공립박물관 주제의 특성 331
3. 소장품 수 335
4. 소장품 관리 345
5. 소장품 활용 349
6. 소장품 및 전시 관련 문제점: 사례별 접근 381
제4장 공립박물관 운영의 개선방안 390
제1절 박물관정책 방향의 전환 390
1. 박물관 운영 내실화를 위하여: 시설 확충에서 질적 향상으로 390
2. 책임 있는 통합 박물관정책 시행기관의 설립 392
3. 박물관 건립에 대한 사전심의 및 사후감리 제도 신설 394
제2절 공립박물관 건립ㆍ운영기준 수립과 등록제도의 강화 397
1. 공립박물관 건립 및 운영기준 수립 397
2. 공립박물관 등록 의무화 및 등록심사제도 도입 399
3. 등록요건의 강화 및 보완 401
제3절 공립박물관 운영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 405
1. 박물관 운영평가제도 수립 및 운영비 국고지원사업 추진 405
2. 광역자치단체 단위의 공립박물관독립행정법인(가칭) 설립 모색 407
3. 기초자치단체 단위의 공립박물관 통합운영관리시스템 마련 409
4. 비재정적 지원 및 박물관협력망의 활성화 410
제5장 결론 413
참고문헌 415
[부록] 420
공립박물관 운영실태 조사표 421
현장조사 체크리스트 433
〈그림 1-1〉 지역별 서면조사 응답률 37
〈그림 2-1〉 국공ㆍ사립ㆍ대학 및 1, 2종 공립박물관 증가 현황 40
〈그림 2-2〉 제1ㆍ2종 공립박물관의 연도별 개관 수 73
〈그림 2-3〉 서면조사 기준 16개 시도별 등록 공립박물관 1종과 2종 비율 75
〈그림 2-4〉 경기도 고양민속전시관의 내부 82
〈그림 2-5〉 강원도 삼척민물고기전시관의 내부 82
〈그림 2-6〉 최근 3년간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분야 재정규모 및 비율 86
〈그림 2-7〉 지방자치단체 문화예술 재정규모 88
〈그림 2-8〉 공립박물관 개관 수와 국고지원 금액 변동추이 91
〈그림 2-9〉 2004-2008년 국가재정운용계획 문화관광분야 95
〈그림 2-10〉 균특회계 지역개발사업계정 예산편성절차 96
〈그림 3-1〉 공립박물관의 연도별 개관 및 등록 박물관 수 127
〈그림 3-2〉 2011 전국문화기반시설총람 기준 지역별 등록 및 미등록 박물관 비율 128
〈그림 3-3〉 서면조사 제출기관 대상 지역별 등록 및 미등록 박물관 비율 130
〈그림 3-4〉 운영위원회 명칭별 비율 168
〈그림 3-5〉 경기도박물관 조직도 204
〈그림 3-6〉 삼척시립박물관의 수장고 내부 276
〈그림 3-7〉삼척 어촌민속전시관 수장고 내부 276
〈그림 3-8〉 정선향토박물관의 수장고 내부 276
〈그림 3-9〉 속초시립박물관 수장고 내부 277
〈그림 3-10〉 양양군 오산리선사유적박물관 수장고 내부 277
〈그림 3-11〉 원주역사박물관 수장고 및 보존처리실 277
〈그림 3-12〉 화천 파로호안보전시관 상설전시실(수장고 없는 박물관 사례) 278
〈그림 3-13〉 홍천 마리소리골악기박물관 상설전시실과 수장고 278
〈그림 3-14〉 영월 동굴생태체험관 수장고 내부 278
〈그림 3-15〉 고성군 공룡박물관 수장고 280
〈그림 3-16〉 김해민속박물관 수장고 내부 280
〈그림 3-17〉 창녕박물관 수장고 내부 281
〈그림 3-18〉 통영시 향토역사관 수장고 내부 281
〈그림 3-19〉 산청박물관 수장고 내부 281
〈그림 3-20〉 밀양시립박물관 수장고 내부 282
〈그림 3-21〉 진주시 청동기문화박물관 수장고 내부 282
〈그림 3-22〉 안동민속박물관 수장고 내부 285
〈그림 3-23〉 영양산촌생활박물관 수장고 내부 286
〈그림 3-24〉 영일민속박물관 상설전시실 내부 286
〈그림 3-25〉 청도농기구박물관 상설전시실 내부 286
〈그림 3-26〉 청송민속박물관 수장고 내부 287
〈그림 3-27〉 독도박물관 수장고 내부 287
〈그림 3-28〉 상주시 동학교당유물전시관 수장고 내부 287
〈그림 3-29〉 군위숭덕박물관 수장고 내부 288
〈그림 3-30〉 문경도자기전시관 수장고 내부 288
〈그림 3-31〉 문경시 운강이강년기념관 상설전시실 내부 289
〈그림 3-32〉 경산시립박물관 수장고 내부 289
〈그림 3-33〉 영주시 소수박물관 수장고 내부 290
〈그림 3-34〉 봉화군 충재유물관 수장고 내부 290
〈그림 3-35〉 곡성군 조태일시기념문학관 상설전시실 내부 291
〈그림 3-36〉 담양군 대나무박물관 수장고 내부 292
〈그림 3-37〉 진도역사관 수장고 내부 292
〈그림 3-38〉 해남군 우항리공룡박물관 상설전시실 및 수장고 내부 292
〈그림 3-39〉 고창고인돌박물관 수장고 내부 294
〈그림 3-40〉 고창판소리박물관 수장고 내부 294
〈그림 3-41〉 김제시 벽골제농경문화박물관 수장고 내부(원문불량) 295
〈그림 3-42〉 익산시 마한관 수장고 내부 295
〈그림 3-43〉 익산시 왕궁리유적전시관 수장고 내부 295
〈그림 3-44〉 익산시 입점리고분전시관 수장고 내부 296
〈그림 3-45〉 전주역사박물관 수장고 내부 296
〈그림 3-46〉 전주전통술박물관 수장고 내부 296
〈그림 3-47〉 백제군사박물관 수장고 내부 297
〈그림 3-48〉 당진군 합덕수리민속박물관 수장고 내부 298
〈그림 3-49〉 보령석탄박물관 수장고 내부 298
〈그림 3-50〉 아산 외암민속관 상설전시실 298
〈그림 3-51〉 천안시 석오이동녕기념관 상설전시실 299
〈그림 3-52〉 태안군 고남패총박물관 수장고 내부 299
〈그림 3-53〉 홍성군 결성농요농사박물관 상설전시실 300
〈그림 3-54〉 괴산향토민속자료전시관 수장고 내부 301
〈그림 3-55〉 단양군 수양개선사유물전시관 수장고 내부 302
〈그림 3-56〉 보은향토민속자료전시관 수장고 내부 302
〈그림 3-57〉 영동군 난계국악박물관 수장고 내부 302
〈그림 3-58〉 영동향토민속자료전시관 수장고 내부 303
〈그림 3-59〉 옥천향토자료전시관(좌) 및 음성군 향토민속자료전시관(우) 수장고 내부 303
〈그림 3-60〉 청주고인쇄박물관(좌) 및 청주백제유물전시관(우) 수장고 내부 303
〈그림 3-61〉 제천시 국제발효박물관(좌) 및 제천의병전시관(우) 수장고 내부 304
〈그림 3-62〉 충주박물관(좌) 및 충주시 조동리선사유적박물관(우) 수장고 내부 304
〈그림 3-63〉 충주공예전시관 상설전시실 및 수장고 내부 305
〈그림 3-64〉 제주교육박물관 수장고 내부 306
〈그림 3-65〉 제주시 삼양동선사유적 상설전시실 내부 306
〈그림 3-66〉 제주시 제주목관아 수장고 내부 307
〈그림 3-67〉 제주시 항파두리항몽유적지 상설전시실(좌) 및 감귤박물관 수장고(우) 내부 307
〈그림 3-68〉 해녀박물관 수장고 내부 308
〈그림 3-69〉 제주4ㆍ3평화기념관 수장고 내부 308
〈그림 3-70〉 제주특별자치도 민속자연사박물관 수장고 내부 309
〈그림 3-71〉 오리이원익기념관 상설전시실 내부 311
〈그림 3-72〉 오산시 물향기산림전시관 수장고 내부 311
〈그림 3-73〉 동두천시 자유수호평화박물관 수장고 내부 312
〈그림 3-74〉 철도박물관 수장고 내부 312
〈그림 3-75〉 안산시 성호기념관 상설전시실(좌) 및 수장고(중앙/우) 내부 312
〈그림 3-76〉 양평군 세미원연꽃박물관(좌) 및 화서기념관(우) 수장고 내부 313
〈그림 3-77〉 용인문화유적전시관(좌) 및 이천세계도자센터(우) 수장고 내부 313
〈그림 3-78〉 화성시 제암리3ㆍ1운동순국기념관(좌) 및 구리시 고구려대장간마을(우) 수장고 내부 314
〈그림 3-79〉 수원박물관(좌) 및 수원화성박물관(우) 수장고 내부 314
〈그림 3-80〉 안성 포도박물관 수장고 내부 315
〈그림 3-81〉 안양역사관 수장고 내부 315
〈그림 3-82〉 여주박물관(위) 및 의왕향토사료관(아래) 수장고 내부 316
〈그림 3-83〉 최용신기념관(좌) 및 하남역사박물관(우) 수장고 내부 317
〈그림 3-84〉 경기도박물관 수장고 내부 317
〈그림 3-85〉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수장고 내부 318
〈그림 3-86〉 방짜유기박물관 수장고 내부 318
〈그림 3-87〉 대구향토역사관 수장고 내부 319
〈그림 3-88〉 부산시립박물관 체계도 320
〈그림 3-89〉 부산시립박물관 수장고 내부 320
〈그림 3-90〉 복천박물관 수장고 내부 321
〈그림 3-91〉 부산근대역사관 수장고 내부 321
〈그림 3-92〉 옥현유적전시관 수장고 내부 322
〈그림 3-93〉 외솔기념관 수장고 내부 322
〈그림 3-94〉 대곡박물관 수장고 내부 323
〈그림 3-95〉 암각화박물관(좌) 및 장생포고래박물관(우) 수장고 내부 323
〈그림 3-96〉 인천개항박물관 수장고 내부 324
〈그림 3-97〉 녹청자도요지사료관(좌) 및 수도국산달동네박물관(우) 수장고 내부 325
〈그림 3-98〉 한국이민사박물관(좌) 및 부평역사박물관(우) 수장고 내부 325
〈그림 3-99〉 겸재정선박물관(좌) 및 허준박물관(우) 수장고 내부 326
〈그림 3-100〉 서울교육박물관(좌) 및 수도박물관(우) 수장고 내부 327
〈그림 3-101〉 서울역사박물관 수장고 내부 327
〈그림 3-102〉 서대문자연사박물관(좌) 및 서대문형무소역사관(우) 수장고 내부 328
〈그림 3-103〉 서면조사 기준 박물관 설비 구비 현황 329
〈그림 3-104〉 소장품 관리정책의 체계 346
〈그림 3-105〉 상설전시실 라벨의 유물 정보 구분 및 비율 368
〈그림 3-106〉 베트남참전용사만남의장 전시 장면 384
〈그림 3-107〉 전시패널 등 중심의 전시 사례(안성 포도박물관) 385
〈그림 3-108〉 유물이 과밀하게 배치된 상설전시실 사례(홍천향토사료관) 385
〈그림 3-109〉 열악한 전시장 관리의 사례 387
〈그림 3-110〉 남양주역사박물관의 기증전시실 388
〈그림 3-111〉 영주 소수박물관의 기증유물 특별전시 389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