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문 3
I. 서론 15
1. 사업 배경 15
2. 사업의 필요성 24
II. 연구내용 및 방법 27
1. 환경 중 잔류 항생제 잔류실태와 내성균에 대한 자료 조사 27
1.1. 국내 항생제 사용량 및 잔류 특성 27
1.2. 국내ㆍ외 환경 중 항생제 내성균의 검출 사례 29
1.3. 환경 중 항생제 내성균 검출관련 연구 동향 38
2. 항생제 내성균의 환경 중 분포 실태 조사 40
2.1. 시료 채취 지점 40
2.2. 시료 채취 및 보관 46
2.3. 이화학적 분석 46
2.4. 총 대장균군 분포 조사 49
2.5. 총 세균 및 항생제 내성 세균의 검출 49
2.6. 항생제 감수성 검사 50
2.7. 항생제 내성균 동정 50
2.8. 항생제 내성 전이율 조사 54
2.9. 항생제 농도에 따른 내성 변이율 조사 54
2.10. 통계분석 55
III. 연구결과 56
1. 이화학적 분석 56
2. 총 세균 및 항생제 내성균의 분포조사 57
3. 항생제 감수성 조사 88
4. 항생제 내성균의 동정 91
5. 항생제 내성 전이율 조사 95
6. 항생제 농도에 따른 내성 변이율 조사 98
IV. 결론 100
V. 추진체계 102
VI. 활용방안 103
VII. 참고문헌 104
VIII. 부록 111
〈표 1〉 대표적인 항생제의 작용 기전 15
〈표 2〉 항생제의 종류 17
〈표 3〉 하수 처리장 유입수 및 방류수 중 항생제 검출현황 24
〈표 4〉 하천수 중 항생제 검출현황 25
〈표 5〉 가축의 항생제별 대장균 내성률 (국립수의과학검역원, 2010) 30
〈표 6〉 시험 균주의 항생제 내성 패턴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2010) 34
〈표 7〉 조사 대상 지점 41
〈표 8〉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 사용된 항생제 의 종류 및 계열 53
〈표 9〉 하천시료의 이화학적 분석 결과 56
〈표 10〉 각 배지별 항생제 내성율 연관성에 대한 t-검정 결과(p value=0.05, 붉은색으로 표시된 칸의 이하 값은 통계적으로 결과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함) 86
〈표 11〉 각 지점별 선별된 린코마이신 내성 균주의 다제 내성 항생제 89
〈표 12〉 각 지점별 선별된 반코마이신 내성 균주의 다제 항생제 내성 90
〈표 13〉 트리메소프림에 대한 최소성장저지농도 조사 96
〈표 14〉 겐타마이신에 대한 최소성장저지농도 조사 97
〈표 15〉 항생제 내성 전이율 조사 98
〈표 16〉 항생제 농도에 따른 내성 변이율 조사(Enterobacter, E22) 99
〈그림 1〉 아미노글리코사이드 계 항생제 18
〈그림 2〉 테트라사이클린 계 항생제 18
〈그림 3〉 페니실린 계 항생제 18
〈그림 4〉 세파로스포린 계 항생제 18
〈그림 5〉 마크로라이드 계 항생제 19
〈그림 6〉 폴리펩티드 계 항생제 19
〈그림 7〉 린코스아마이드 계 항생제 19
〈그림 8〉 설폰아마이드 계 항생제 19
〈그림 9〉 플로르퀴놀론 계 항생제 20
〈그림 10〉 국내 항생제 생산량 22
〈그림 11〉 항생제 의 자연 내 거동 (Ikehata et al., 2006) 23
〈그림 12〉 국내 총 의약물질 및 항생제 생산 금액 27
〈그림 13〉 연도별 축산용 항생제 판매량 28
〈그림 14〉 가축에서 분리된 E.coli의 항생제 내성률 28
〈그림 15〉 병원 임상에서 분리된 주요 균체의 항생제 내성 실태(국립보건연구소, 2010) 37
〈그림 16〉 항생제 내성균 분포조사를 위한 시료 채취 장소 41
〈그림 17〉 한강 수계 (원주천) 42
〈그림 18〉 영산강 수계 (무안) 42
〈그림 19〉 낙동강 수계 (금호강) 43
〈그림 20〉 금강 수계 (익산천) 43
〈그림 21〉 하수처리 방류 (전주천2) 44
〈그림 22〉 병원 하수처리 방류 (전북대학교 병원, 전주천1) 44
〈그림 23〉장항 송림 45
〈그림 24〉 나주 남평 45
〈그림 25〉 IC (Ion chromatography)와 음이온, 양이온 Standard Peak 47
〈그림 26〉 BOD 실험 48
〈그림 27〉 TOC 분석 기기와 standard peak 49
〈그림 28〉 도말 평판법 50
〈그림 29〉 16S rRNA 유전자를 이용한 항생제 내성균 동정 방법 52
〈그림 30〉 이화학적 분석결과에 따른 시료별 상관성 분석 57
〈그림 31〉 항생제 내성 세균의 검출 및 분리. 좌, Nutrient agar배지; 중, Muller-Hinton 배지; 우, Enterobacteriaecea Enrichment 배지 58
〈그림 32〉 항생제 내성균 수 : 원주천, Enterobacteriaceae Enrichment 배지 59
〈그림 33〉 항생제 내성률 : 원주천, Enterobacteriaceae Enrichment 배지 59
〈그림 34〉 항생제 내성균 수 : 원주천, Muller Hinton 배지 60
〈그림 35〉 항생제 내성률 : 원주천, Muller Hinton 배지 60
〈그림 36〉 항생제 내성균 수 : 원주천, Nutrient agar 배지 61
〈그림 37〉 항생제 내성률 : 원주천, Nutrient agar 배지 61
〈그림 38〉 항생제 내성균 수 : 무안, Enterobacteriaceae Enrichment 배지 62
〈그림 39〉 항생제 내성률 : 무안, Enterobacteriaceae Enrichment 배지 62
〈그림 40〉 항생제 내성균 수 : 무안, Muller Hinton 배지 63
〈그림 41〉 항생제 내성률 : 무안, Muller Hinton 배지 63
〈그림 42〉 항생제 내성균 수 : 무안, Nutrient agar 배지 64
〈그림 43〉 항생제 내성률 : 무안, Nutrient agar 배지 64
〈그림 44〉 항생제 내성균 수 : 금호강, Enterobacteriaceae Enrichment 배지 65
〈그림 45〉 항생제 내성률 : 금호강, Enterobacteriaceae Enrichment 배지 65
〈그림 46〉 항생제 내성균 수 : 금호강, Muller Hinton 배지 66
〈그림 47〉 항생제 내성률 : 금호강, Muller Hinton 배지 66
〈그림 48〉 항생제 내성균 수 : 금호강, Nutrient agar 배지 67
〈그림 49〉 항생제 내성률 : 금호강, Nutrient agar 배지 67
〈그림 50〉 항생제 내성균 수 : 익산천, Enterobacteriaceae Enrichment 배지 68
〈그림 51〉 항생제 내성률 : 익산천, Enterobacteriaceae Enrichment 배지 68
〈그림 52〉 항생제 내성균 수 : 익산천, Muller Hinton 배지 69
〈그림 53〉 항생제 내성률 : 익산천, Muller Hinton 배지 69
〈그림 54〉 항생제 내성균 수 : 익산천, Nutrient agar 배지 70
〈그림 55〉 항생제 내성률 : 익산천, Nutrient agar 배지 70
〈그림 56〉 항생제 내성균 수 : 전주천(하수처리 방류), Enterobacteriaceae Enrichment 배지 71
〈그림 57〉 항생제 내성률 : 전주천(하수처리 방류), Enterobacteriaceae Enrichment 배지 71
〈그림 58〉 항생제 내성균 수 : 전주천(하수처리 방류), Muller Hinton 배지 72
〈그림 59〉 항생제 내성률 : 전주천(하수처리 방류), Muller Hinton 배지 72
〈그림 60〉 항생제 내성균 수 : 전주천(하수처리 방류), Nutrient agar 배지 73
〈그림 61〉 항생제 내성률 : 전주천(하수처리 방류), Nutrient agar 배지 73
〈그림 62〉 항생제 내성균 수 : 전주천(병원 하수처리 방류), Enterobacteriaceae Enrichment 배지 74
〈그림 63〉 항생제 내성률 : 전주천(병원 하수처리 방류), Enterobacteriaceae Enrichment 배지 74
〈그림 64〉 항생제 내성균 수 : 전주천(병원 하수처리 방류), Muller Hinton 배지 75
〈그림 65〉 항생제 내성률 : 전주천(병원 하수처리 방류), Muller Hinton 배지 75
〈그림 66〉 항생제 내성균 수 : 전주천(병원 하수처리 방류), Nutrient agar 배지 76
〈그림 67〉 항생제 내성률 : 전주천(병원 하수처리 방류), Nutrient agar 배지 76
〈그림 68〉 항생제 내성균 수 : 장항 송림(토양), Enterobacteriaceae Enrichment 배지 77
〈그림 69〉 항생제 내성률 : 장항 송림(토양) Enterobacteriaceae Enrichment 배지 77
〈그림 70〉 항생제 내성균 수 : 장항 송림(토양), Muller Hinton 배지 78
〈그림 71〉 항생제 내성률 : 장항 송림(토양), Muller Hinton 배지 78
〈그림 72〉 항생제 내성균 수 : 장항 송림(토양), Nutrient agar 배지 79
〈그림 73〉 항생제 내성률 : 장항 송림(토양), Nutrient agar 배지 79
〈그림 74〉 항생제 내성균 수 : 나주 남평(토양), Enterobacteriaceae Enrichment 배지 80
〈그림 75〉 항생제 내성률 : 나주 남평(토양), Enterobacteriaceae Enrichment 배지 80
〈그림 76〉 항생제 내성균 수 : 나주 남평(토양), Muller Hinton 배지 81
〈그림 77〉 항생제 내성률 : 나주 남평(토양), Muller Hinton 배지 81
〈그림 78〉 항생제 내성균 수 : 나주 남평(토양), Nutrient agar 배지 82
〈그림 79〉 항생제 내성률 : 나주 남평(토양), Nutrient agar 배지 82
〈그림 80〉 항생제 별 세균 내성률(EE 배지) 83
〈그림 81〉 항생제 내성률의 배지별 상관성 분석 84
〈그림 82〉 시료 채취 지점별 내성률(EE 배지) 86
〈그림 83〉 항생제 내성율의 지역별 상관성 분석 87
〈그림 84〉 항생제 디스크 검사 88
〈그림 85〉 선발된 린코마이신 내성 균주의 다제 내성 항생제 수 89
〈그림 86〉 선발된 반코마이신 내성 균주의 다제 내성 항생제 수 90
〈그림 87〉 동정된 159개 분리균 전체의 "과" 계열 분포도 92
〈그림 88〉 동정된 159개 분리균의 계통도 93
〈그림 89〉 동정된 159개 분리균의 지역별 "과" 분포도 93
〈그림 90〉 동정된 66개 Enterobacteriaceae 균의 "속" 계열 분포도 94
〈그림 91〉 동정된 66개 Enterobacteriaceae 균의 계통도 94
〈그림 92〉 동정된 66개 Enterobacteriaceae 균의 지역별 분포도 95
〈그림 93〉 녹색형광단백질 발현-Enterobacter의 트리메소프림에 대한 농도별 생장 96
〈그림 94〉 Klebsiella(H84)의 젠타마이신에 대한 농도별 생장 97
〈표 부 1〉 린코마이신 내성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분석 (원주천-한강 유역) 112
〈표 부 2〉 린코마이신 내성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분석(무안-영산강 유역) 115
〈표 부 3〉 린코마이신 내성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분석(금호강-낙동강 유역) 117
〈표 부 4〉 린코마이신 내성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분석(익산천-금강 유역) 119
〈표 부 5〉 린코마이신 내성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분석 (전주천-하수처리 방류) 122
〈표 부 6〉 린코마이신 내성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분석 (전주천-병원 하수처리 방류) 125
〈표 부 7〉 린코마이신 내성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분석(토양-나주) 128
〈표 부 8〉 린코마이신 내성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분석(토양-영산강 유역) 131
〈표 부 9〉 반코마이신 내성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분석 (원주천-한강 유역) 133
〈표 부 10〉 반코마이신 내성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분석(무안-영산강 유역) 136
〈표 부 11〉 반코마이신 내성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분석 (금호강-낙동강 유역) 139
〈표 부 12〉 반코마이신 내성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분석 (익산천-금강 유역) 141
〈표 부 13〉 반코마이신 내성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분석 (전주천-하수처리 방류) 144
〈표 부 14〉 반코마이신 내성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분석 (전주천-병원 하수처리 방류) 147
〈표 부 15〉 반코마이신 내성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분석(토양-나주) 150
〈표 부 16〉 반코마이신 내성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분석(토양-영산강 유역) 153
〈표 부 17〉 Ez-Taxon-e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분리균 유래 16S rRNA 유전자의 유사도 조사조사(Enterobacteriaceae "과"에 속하는 균주). 156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