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I. 연구개발결과 요약문 8

최종결과보고서 요약문 8

Summary 9

II. 학술연구용역과제 연구결과 10

제1장 최종 연구개발 목표 10

1.1. 목표 10

가. 연구목적 및 필요성 10

나. 평가의 착안점 및 기준 14

다. 연구수행체계 16

1.2.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 대한 기여도 17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8

2.1/1.1. 기존 검사 도구 개괄 및 새로운 도구의 필요성 18

가. 기존 검사 도구 18

나. 기존 검사 도구의 문제점 18

다. 새로 개발되는 도구가 갖추어야 할 조건 19

제3장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20

3.1. 연구수행 내용 20

가. 한국형 영유아 발달선별검사 문항 표준화 20

나. 최종 문항 선정 84

다.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 도구 타당화 129

라. 추가질문의 도입 135

마.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 도구 검사자용 가이드라인 개발 138

바. 영유아 건강검진사업 프로세스를 분석 및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 전산프로그램 시안 작성 138

제4장 최종 연구개발 결과 139

4.1. 연구결과 기술 139

가. 영역별 문항 리스트 139

나.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 월령별 검사지 및 결과표 [별첨 2] 151

다. 인쇄용 검사지 및 결과표 예시 151

라. 영유아 건강검진사업 프로세스 분석 및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 전산 프로그램 시안 156

제5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166

5.1. 고찰 및 결론 166

5.2. 추후 연구에 대한 연구진의 의견 166

제6장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168

6.1. 활용성과 168

6.2. 활용계획 169

제7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70

제8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170

제9장 연구비 사용 내역 및 연구원 분담표 170

9.1. 연구비 사용 내역 170

9.2. 연구분담표 171

제10장 저작권 침해여부 관련 법률자문 172

제11장 참고문헌 173

제12장 첨부서류 176

[별첨 1] 문항 선별 후 Item Characteristic Curve 177

[별첨 2]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 월령별 검사지 및 결과표(내용누락) 217

[별첨 3] 영유아 검강검진 웹페이지 스토리보드 시안(내용누락) 217

[별첨 4] 저작권 침해여부 관련 법률자문 217

표목차

〈표 1〉 소아에서 흔한 발달장애 11

〈표 2〉 발달이상의 출현 시기 12

〈표 3〉 주요 운동발달 이정표 13

〈표 4〉 표준화 모집단의 지역 및 연령별 구성비 22

〈표 5〉 표준화 모집단의 지역규모 및 성별 구성비 22

〈표 6〉 표준화 표본집단의 지역 및 연령별 구성비 설계 23

〈표 7〉 표준화 표본집단의 지역규모 및 성별 구성비 설계 23

〈표 8〉 1차 표준화 표본집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32

〈표 9〉 1차 표준화 표본집단의 월령 급간별 빈도 32

〈표 10〉 1차 표준화 표본집단의 대근육운동 영역 내적 일치도 33

〈표 11〉 1차 표준화 표본집단의 소근육운동 영역 내적 일치도 34

〈표 12〉 1차 표준화 표본집단의 인지 영역 내적 일치도 35

〈표 13〉 1차 표준화 표본집단의 언어 영역 내적 일치도 36

〈표 14〉 1차 표준화 표본집단의 사회성 영역 내적 일치도 37

〈표 15〉 1차 표준화 표본집단의 자조 영역 내적 일치도 38

〈표 16〉 1차 표준화 표본집단의 전체 차원별 점수 분포 일람 (표준 점수) 40

〈표 17〉 1차 표준화 표본집단의 문항별 변별도 및 난이도 42

〈표 18〉 최종 표준화 표본집단의 지역 및 연령별 자료수집 결과 49

〈표 19〉 최종 표준화 표본집단의 성별 및 지역 규모별 자료수집 결과 50

〈표 20〉 최종 표준화 표본집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50

〈표 21〉 최종 표준화 표본집단의 월령 급간별 빈도분석 51

〈표 22〉 최종문항 선정을 위한 월령급간 별 문항 당 요인부하량 분석 51

〈표 23〉 최종문항 선정을 위한 내적 일치도 분석 82

〈표 24〉 검사-재검사간 상관 83

〈표 25〉 영역별 최종 선정문항 84

〈표 26〉 최종선정문항의 기초통계량 95

〈표 27〉 최종선정문항의 내적일치도 분석 97

〈표 28〉 최종선정문항의 변별도 및 난이도 98

〈표 29〉 최종선정문항의 각 월령구간 별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표 110

〈표 30〉 각 월령별, 영역별 절단점 분포 129

〈표 31〉 절단점 분류에 따른 민감도 및 특이도 분석 130

〈표 32〉 각 영역별 절단점 분류에 따른 정상군 및 임상군 비교 130

〈표 33〉 발달장애군에 따른 발달영역별 지연 131

〈표 34〉 발달장애군별 절단점 분류 정확도 빈도분석 131

〈표 35〉 발달장애군 별 AUC 분석 결과 133

〈표 36〉 K-DST와 K-BSID-II 및 K-WPPSI간 상관분석 134

그림목차

〈그림 1〉 영유아 건강검진 프로토콜 (2012년도) 11

〈그림 2〉 발달장애 조기발견의 목적 13

〈그림 3〉 한국형 영유아 발달 선별검사 도구의 개발과정 16

〈그림 4〉 한국형 영유아 발달선별검사 표준화 조사 절차 20

〈그림 5〉 한국형 영유아 발달선별검사 1차 표준화 조사 설계 21

〈그림 6〉 한국형 영유아 발달선별검사 2차 표준화 조사 설계 21

〈그림 7〉 표준화 1차 조사 웹설문 절차 25

〈그림 8〉 표준화 2차 조사 웹설문 절차 26

〈그림 9〉 표준화 조사 웹설문 페이지 인사말 예시 27

〈그림 10〉 표준화 조사 웹설문 페이지 응답 가이드 예시 28

〈그림 11〉 표준화 조사 웹설문 인구통계학적 정보수집 페이지 예시 29

〈그림 12〉 표준화 조사 웹설문 문항 페이지 예시 30

〈그림 13〉 1차 표준화 표본집단의 각 영역별 문항의 난이도 변화 양상 46

〈그림 14〉 발달장애군 별 ROC 곡선 133

〈그림 16〉 현재 검진 전체 프로세스 156

〈그림 17〉 온라인 서비스 적용 후 검진 전체 프로세스 159

〈그림 18-1〉 영유아건강검진 서비스 웹페이지-메인화면 예시 1 160

〈그림 18-2〉 영유아건강검진 서비스 웹페이지-메인화면 예시 2 160

〈그림 19〉 영유아건강검진 서비스 웹페이지- 예약화면 161

〈그림 20〉 영유아건강검진 서비스 웹페이지- 검사실시 화면 162

〈그림 21〉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 K-DST 164

〈그림 22〉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 검사 결과표 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