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연구개요 4
Ⅰ. 서론 17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8
가. 연구의 필요성 18
나. 연구의 목적 21
2. 연구 내용 22
가. 2015 문ㆍ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구상의 주요 논리 구상 22
나. 2015 문ㆍ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개정을 위한 방향 설정 22
다. 학교급별 교육과정 시안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22
3. 연구 방법 및 절차 23
가. 문헌 분석 23
나. 국가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및 연석회의 운영 23
다. 연구책임자 합동 워크숍 개최 24
라. 교육과정 개정 시안의 개발을 위한 전문가 포럼 및 현장 포럼 연계 운영 25
마. 2015 문ㆍ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주요 내용 시안에 대한 공청회 개최 25
바. 설문 조사 25
사. 포커스 그룹 인터뷰 26
4. 연구 추진 일정 26
Ⅱ. 2015 문ㆍ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구상의 주요 논리 27
1. 추진 배경 28
가. 국가 인재 양성 전략의 재조정 및 교육과정 체제 개선안 28
나. 국가교육과정 포럼 추진(2013. 10.~2014. 1.) 30
다. 국가교육과정 총론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 수행 31
2. 관련 선행연구 분석 33
가. 문ㆍ이과 통합형 교육과정과 관련된 역사적 쟁점 33
나. 학습 과학의 원리와 교과 교육과정 구조화 동향 35
다. 범교과 학습 관련 국내 선행연구와 해외 동향 분석 51
라. 국가교육과정과 인간상의 변천 61
마.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과 진보주의 72
바. 문ㆍ이과 통합형 교육과정과 수능체제 연계 연구 동향 82
Ⅲ. 2015 문ㆍ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개정을 위한 방향 설정 95
1. 2015 문ㆍ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정의 비전과 원칙 96
2. 총론의 주요 개정 방향 97
가. 인문ㆍ사회ㆍ과학기술에 대한 균형적인 기초 소양 함양 97
나. 학생들의 학습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109
다. 범교과 학습의 개선 방안 115
라. 인간상 수립과 핵심역량 반영 방안 124
마. 국가 사회 및 학교 현장 요구 반영 133
3. 교과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 방향 139
가.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의 유기적 연계 강화 139
나. 교과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 방향 140
4. 국가교육과정 지원 체제 구축 148
가. 국가교육과정 질 관리 체제 구축 148
나.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수능 및 대입 제도의 종합적 개선 152
Ⅳ. 학교급별 교육과정 시안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157
1. 초ㆍ중학교 교육과정 158
가. 초ㆍ중학교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 158
나. 초ㆍ중학교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내용 159
2. 고등학교 교육과정 166
가.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 166
나.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내용 168
다.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과정 176
Ⅴ. 요약 및 제언 184
1. 요약 185
2. 쟁점 및 제언 199
가. 2015 문ㆍ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개정을 위한 쟁점 및 제언 199
나. 2015 문ㆍ이과 통합형 교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쟁점 및 제언 201
다. 2015 문ㆍ이과 통합형 학교급별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쟁점 및 제언 202
라. 2015 문ㆍ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후속 지원을 위한 쟁점 및 제언 209
참고문헌 211
[부록 A] 2015 문ㆍ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주요 사항 내용 220
2015 문ㆍ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주요 사항(시안) 221
Ⅰ. 개정 배경 및 필요성 223
Ⅱ. 개정 체제 및 추진 경과 223
1. 개정 체제 223
2. 추진 경과 224
Ⅲ. 개정 방향 및 주요 내용 226
1. 개정 방향 226
2. 총론 주요 개정 내용 227
3. 교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234
4. 교육과정 지원 체제 구축 236
Ⅳ. 향후 추진 일정 236
[붙임 1] 초ㆍ중학교 시간 배당 기준(안) 237
[붙임 2] 고등학교 단위 배당 기준(안) 238
[붙임 3] 고등학교 교과목 구성(안) 239
2015 문ㆍ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 요약 242
새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 243
[참고] 개정 주요사항의 신ㆍ구 대비표 245
2015 문ㆍ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질의ㆍ응답 자료(Q&A) 252
1. 「2015 문ㆍ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요? 256
2. 「2015 문ㆍ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은 무엇인가요? 256
3. 「2015 문ㆍ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은 무엇인가요? 257
4.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문ㆍ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257
5. 인문학적 소양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258
6. 과학기술 소양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259
7. 「2015 문ㆍ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이 적용되면 학교 현장은 무엇이 달라지나요? 259
8.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현장 의견 수렴은 어떻게 진행되었나요? 260
9. 「2015 문ㆍ이과 통합형 교육과정」개정 및 적용 일정은 어떻게 되나요? 261
10. 소프트웨어(SW)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261
11. 안전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262
12. 창의적 체험활동은 어떻게 달라지나요? 262
13. 집중이수제는 어떻게 달라지나요? 262
14.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누리과정은 어떻게 연계되나요? 263
15. 초1~2학년 수업시수는 어떻게 달라지나요? 263
16. 자유학기제는 어떻게 반영되나요? 263
17. 「공통과목」은 무엇인가요? 264
18. 「통합사회」는 어떤 과목인가요 264
19. 「통합과학」은 어떤 과목인가요? 265
20. 교과별 필수이수단위와 공통과목은 어떤 관계인가요? 266
21. 학생의 과목선택권 확대 방안은 무엇인가요? 266
22. 고등학교에 문과, 이과 구분은 있나요? 266
23. 대학수학능력시험과는 어떻게 연계되나요? 267
24. 새로운 교육과정 안착을 위한 후속 조치는 무엇인가요? 268
[부록 B] 국가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2015 문ㆍ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주요 사항 공청회 발표 내용 269
Ⅰ. 2015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과 주안점 270
1. '창의ㆍ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기초 소양의 함양 270
2. '행복한 학습의 구현'을 위한 학습 경험의 질 개선 271
3. 학교 현장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 모색 272
Ⅱ. 2015 교육과정 개정의 추진 경과 273
1. 2015 교육과정 개정 체제와 특징 273
2. 추진 경과 274
Ⅲ. 2015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내용과 방향 275
1. 2015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 방향 275
2. 초ㆍ중ㆍ고 교육과정 총론 개정의 주요 과제와 방향 279
3. 국가 사회적 요구 및 학교 요구 사항 반영 방안 284
4. 초ㆍ중ㆍ고교 교육과정 총론 과목편제(안) 291
5. 교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295
Ⅳ. 향후 추진 과제 298
1. 교육과정 지원 체제 구축의 방향 298
2. 향후 추진 일정 299
[부록 C] 교과 교육과정 정책 연구 요약 300
1. 문ㆍ이과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301
2. 문ㆍ이과 통합형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304
3. 문ㆍ이과 통합형 사회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307
4. 문ㆍ이과 통합형 과학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311
5. 문ㆍ이과 통합형 영어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315
6. 문ㆍ이과 통합형 역사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320
[부록 D] 초ㆍ중ㆍ고등학교 포커스 그룹(현장 교원)의 주요 개정 내용에 대한 인터뷰 응답 324
1. 초등학교 포커스 그룹(현장 교원) 인터뷰 주요 내용 325
2. 중학교 포커스 그룹(현장 교원) 인터뷰 주요 내용 330
3. 고등학교 포커스 그룹(현장 교원) 인터뷰 주요 내용 332
[그림 Ⅰ-1] 국가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및 연구과제와 유관기관 관계도 24
[그림 Ⅱ-1] 범교과 학습 개념도(박순경 외, 2014: 153) 53
[그림 Ⅱ-2] PISA 2015 과학틀 78
[그림 Ⅱ-3] 고교-대학 연계형 대입제도 종합방안 주요 내용 83
[그림 Ⅲ-1] 국가교육과정 개정 기구와 평가 체제 148
[그림 Ⅲ-2] 지역교육과정 개정 기구와 평가 체제 150
[그림 Ⅲ-3] 학교교육과정 개정 기구와 평가 체제 15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