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17
제1장 연구 개요 22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22
1. 연구배경 22
2. 연구목적 23
제2절 연구 범위 25
1. 선행 연구의 내용 및 한계 25
가. 선행 연구의 내용 25
나. 선행 연구의 한계점 분석 27
2. 본 연구의 범위 28
가. 한국형 문화 ODA 기본방향 및 전략 수립 28
나. 한국형 문화 ODA 중점협력국 선정 및 시범사업 발굴 29
다. 한국형 문화 ODA 사업 효과성 제고를 위한 제언 도출 29
제3절 연구 방법 30
1. 문헌조사 30
2. 설문조사 30
3. 현지조사 31
제2장 한국형 문화 ODA 현황 및 개념 고찰 33
제1절 국내외 문화 ODA 현황 분석 33
1. 국제사회 문화 ODA 현황 33
가. 국제사회의 문화 ODA 주요 논의 현황 33
나. 주요 공여국의 문화 ODA 37
2. 한국의 문화 ODA 현황 44
가. 한국의 문화 ODA 정책 및 전략 44
나. 한국 문화 ODA 지원현황 48
3. 국내외 문화 ODA 도전과제 56
가. 국제사회 문화 ODA 한계 56
나. 한국의 문화 ODA 한계 57
제2절 문화 ODA 개념 및 속성 59
1. 문화 ODA 개념 정립의 필요성 59
2. 문화 ODA의 의의 60
가. 문화 ODA의 개념 61
나. 문화 ODA의 필요성 63
3. 문화 ODA 개념에 대한 주요 논의 67
가. 광의의 개념: 범분야 접근방법으로서 '문화적' ODA 67
나. 협의의 개념: 문화 분야 ODA 사업 69
4. 문화 ODA에 대한 인식 69
가. 문화 ODA 인지 정도 71
나. 문화 ODA의 강점, 약점, 기회, 위기 72
다. 문화 ODA의 전략적 방향성 80
라. 문화 ODA 효과성 제고를 위한 방안 83
제3장 한국의 문화분야 비교우위 분석 및 문화 ODA 대표 프로그램(안) 86
제1절 한국의 문화영역 비교우위 분석 및 분석 프레임워크 86
1. 분석영역 86
가. 분석기준 86
나. 점수부여 기준 98
제2절 한국의 문화영역 비교우위 분석결과 101
1. 영역별 분석점수화 결과 101
2. 한국형 문화 ODA 대표 프로그램 103
가. 문화 ODA 대표 프로그램 선정 기준 103
나. 문화 ODA 대표 프로그램(안) 104
다. 프로그램(안) 세부 계획 예시 104
제4장 한국형 문화 ODA 기본방향 및 전략 113
제1절 대내외 환경분석 및 시사점 113
제2절 한국형 문화 ODA 중장기 비전과 추진전략 117
1. 문화 ODA 사업의 비전 및 기본목표 117
2. 문화 ODA 사업의 전략목표와 추진과제 118
가. 전략목표 1: 문화 ODA 기반 확대 118
나. 전략목표 2: 수원국의 문화다양성 보존 및 문화역량 증진 119
다. 전략목표 3: 개발협력 조화와 일치 120
제5장 한국형 문화 ODA 중점협력국가 선정 121
1. 선정목적 121
2. 선정방법 121
3. 선정기준 123
4. 선정결과 127
가. 아시아 128
나. 아프리카 136
다. 중남미, 중동ㆍCIS, 오세아니아 140
제6장 한국형 문화 ODA 시범사업 발굴 145
제1절 한국형 문화 ODA 시범사업 발굴 145
1. 개요 145
가. 시범사업 발굴전략 145
나. 시범사업 발굴절차 및 방법 146
다. 시범사업 대상국가 선정 148
2. 미얀마 문화 ODA 시범사업 148
가. 미얀마 일반현황 148
나. 미얀마 문화 분야 현황 156
다. 미얀마 문화 ODA 수요조사 161
라. 미얀마 문화 ODA 시범사업 발굴결과 167
3. 인도네시아 문화 ODA 시범사업 182
가. 인도네시아 일반현황 182
나. 인도네시아 문화분야 현황 189
다. 인도네시아 문화 ODA 문제 및 목적 분석 199
라. 인도네시아 문화 ODA 시범사업 발굴 결과 200
제2절 한국형 문화 ODA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액션플랜 211
1. 문화분야 협력전략 수립방안 211
2. 프로젝트 발굴 전략 및 방법 215
제7장 한국형 문화 ODA 사업 효과성 제고를 위한 제언 218
제1절 한국형 문화 ODA 정책 방향 및 전략 218
제2절 한국형 문화 ODA 사업 수행체계 221
제3절 한국형 문화 ODA 사업 효과적 추진을 위한 기반 구축 223
제4절 한국형 문화 ODA사업 성과제고 방안 225
1. 차별성이 부각되는 사업 지원 225
2. 사업개발 단계부터 성과관리 주력 225
3. 문화교류를 통한 쌍방향 ODA 사업 지향 225
[부록 1] OECD 국가의 관광 분야 사업 총액 변화 227
[부록 2] 한국의 문화분야 분석 228
[부록 3] 중점협력국가 기초 수요조사 275
참고문헌 325
[그림 1-1] 설문조사 항목 31
[그림 2-1] 문화 ODA 인식 여부 설문 결과 72
[그림 2-2] 개발도상국 대상 한국의 문화 ODA 지원 중요성 설문 결과 72
[그림 2-3] 한국의 문화 ODA 강점 설문조사 결과 74
[그림 2-4] 한국의 문화 ODA 약점 설문조사 결과 76
[그림 2-5] 한국의 문화 ODA 기회요소 설문조사 결과 78
[그림 2-6] 한국의 문화 ODA 위기요소 설문조사 결과 79
[그림 2-7] 한국 문화 ODA 대표 사업아이템 설문조사 결과 82
[그림 2-8] 정책 측면 문화 ODA 효과성 제고 방안 설문조사 결과 83
[그림 2-9] 수행체계 측면 문화 ODA 효과성 제고 방안 설문조사 결과 84
[그림 2-10] 사업 추진 제반환경 측면 문화 ODA 효과성 제고 방안 설문조사 결과 85
[그림 3-1] UNESCO의 문화분류 체계 87
[그림 4-1] 대내외 환경분석을 통한 한국형 문화 ODA 전략적 방향 114
[그림 4-2] 한국형 문화 ODA SWOT 분석 115
[그림 6-1] 국별 접근방법과 유형별 접근방법 146
[그림 6-2] 한국의 對미얀마 국별지원계획 기본 방향 155
[그림 6-3] 미얀마 문화부 조직도 160
[그림 6-4] 사업발굴 절차 163
[그림 6-5] 사업수행체계 172
[그림 6-6] 성과모형 175
[그림 6-7] 사업대상지역 178
[그림 6-8] 인도네시아 교육문화부 조직도 197
[그림 6-9] 사업수행체계 205
[그림 6-10] 수행주체별 분담업무 205
[그림 8-1] 문화 ODA 중점협력국가 자문의견 275
[그림 8-2] 한국 對베트남 국별지원계획 기본 방향 282
[그림 8-3] 베트남 문화부 조직도 291
[그림 8-4] 한국의 對캄보디아 국별지원계획 기본 방향 300
[그림 8-5] 캄보디아 문화예술부 조직도 308
[그림 8-6] 한국의 對필리핀 국별지원계획 기본 방향 318
상자목차
[Box 1] 항저우 선언 35
[Box 2] 문화 관련 SDGs 36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