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부 노동환경 변화와 코로나19 14
1장. 문제의식 15
1. 연구배경 및 목적 15
2. 연구내용 및 구성 18
2장. 변화하는 산업, 기술, 경제 및 노동환경 - 제도와 노동 20
1. 산업구조와 기술발전 과정의 고용관계 다변화 20
2. 코로나19 시기 전 세계 상황과 정책대응 35
3장. 코로나19 시기 노동생활 세계 특징과 함의 48
1. 한국 코로나19와 노동생활 세계 - 직장갑질 119 조사자료 48
2. 서울지역 코로나19 시기 노동상황과 실태 분석 63
3. 소결 73
4장. 미래의 노동과 전략과제 76
1. 코로나19와 포스트 코로나 과제 76
2. 미래의 노동 : 제도와 노동의 대응 80
제2부 미래의 노동 의제 83
5장. 미래의 노동의제 분야별 과제1: 개인역량 강화 투자 확대 84
5-1-1. 평생노동교육과 교육훈련의 새로운 접근 - 시민활동ㆍ직업활동계좌제 85
5-2-1. 일의 미래로의 전환 - 교육숙련 형성 94
5-2-2. 일의 미래로의 전환 - 디지털 뉴딜 일자리 102
5-3-1. 성별임금격차 완화를 위한 방안 - 성별임금격차 완화를 통한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증가 108
5-3-2. 성별 격차 해소를 사회적 교섭과 단체교섭 의제로! - 성평등 교섭(gender equality bargaining) 제도화 통한 성평등 증진 115
5-3-3. 사회서비스 돌봄 국가 책임제 - 지역통합적 보편서비스로서, 돌봄 서비스 확대 122
5-4-1. 서울형 실업부조 제도 - 서울형 실업부조 제도 도입을 통한 취약계층의 사회안전망 강화 126
5-4-2. 모든 일하는 사람의 안전판 - 전 국민 고용보험 130
5-4-3. 전 국민 상병수당ㆍ유급병가 방향 - 모든 국민으로 적용 확대 142
6장. 미래의 노동의제 분야별 과제2: 일 관련 제도 투자확대와 노동권보호 155
6-1-1. 모든 노동자에게 노동3권을 - '집단적 근로조건 대등 결정의 원칙'의 보편 적용 156
6-1-2. 진정한 노동권 보장은 공정한 임금 지급 -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161
6-1-3. 디지털 건강 - 디지털 노동자 보호 위한 정책 제안 169
6-1-4. 보편적 노동권 보장: 일하는 사람의 안전한 일자리 위한 예방과 보상체계 173
6-1-5. 보편적 노동권 보장: - 생명안전 업무와 비정규직 고용안정과 차별해소 179
6-2-1. 시간은 평등하지 않다 - 최소생활노동시간(Living Hours) 보장 189
6-2-2. 그들의 밤을 빼앗는 노동을 제한하라 - 야간노동 규제 지침 195
6-2-3. 노동시간 자율조정권 보장 - 생애주기 욕구 따른 노동시간 자율조정권 확대로 유연안전성(flexecurity) 보장과 젠더불평등 해소 204
6-3-1. 노동이사제 확산과 일터 민주주의 실현 - 노동이사제 민간부문 확산과 경영협의회 도입 209
6-3-2. 업종별 단체교섭, 불평등 해소의 마중물 - 업종별 교섭위원회 설립 215
6-3-3. 노사단체 대표성 보장 - 주변부 노동자 조직화 지원 220
6-4-1. 디지털경제의 플랫폼노동 위험성 - 플랫폼노동 사회적 보호 대책 227
6-4-2. 디지털 불평등 - 코로나 19 상황에 드러난 디지털 불평등 234
7장. 미래의 노동의제 분야별 과제3: 지속 가능한 괜찮은 일자리 촉진 위한 경제 240
7-1-1. 민간위탁 개선 통한 좋은 일자리 모색 - 민간위탁 재구조화 241
7-1-2.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노동 - 괜찮은 녹색일자리와 정의로운 전환 프로그램의 구체화 249
7-2-1. 기업의 장기투자 장려 - 연금과 노동: 미래 노후소득보장 비전 254
7-2-2. 기업의 장기투자 장려 - 공공근로복지기금/사회연대기금 260
7-2-3. 지역 양질의 일자리 협약 266
7-3-1. 경제사회 발전 및 노동자 보호, 지표 개발 - 좋은 일자리 지표 확립 275
7-3-2. 노동법원 - 새로운 고용형태의 출현과 노동 전문성 강화를 위한 노동법원의 필요성 280
7-3-3. 지역의 문제는 지역이 해결한다 - 지역 사회적 대화 285
참고문헌 294
[부록 1] 「일하는 시민을 위한 성남시 조례」 299
[부록 2] 직장 괴롭힘 이론적 논의와 한국적 적용 모색 304
[그림 2-1-1] 한국 고용구조 및 고용관계 모형(2018) 20
[그림 2-1-2] 한국 노동시장 경제활동인구와 비경제활동인구(2018) 23
[그림 2-1-3] 한국 고용구조 및 고용형태별 구분과 규모(2018) 23
[그림 2-2-1] OECD 코로나19 펜데믹과 경제봉쇄 조치 영향, 고용전망(2020-2021) 35
[그림 2-2-2] 코로나19 전후 실업률 변화 추이(2008.1-2020.9) 36
[그림 2-2-3] 정책 프레임 - 코로나 극복 위한 4개 주요 축(pillar) 39
[그림 2-2-4] 코로나19 각 국가별 대응 양식 특징 40
[그림 2-2-5] OECD 주요 국가들의 코로나19 대응조치 40
[그림 2-2-6] 코로나19 시기 상병수당, 유급병가 현황(2020.7) 41
[그림 3-1-1] 코로나19 이후 실직사유: 2차 조사, 3차 조사 54
[그림 3-1-2] 코로나19 이후 소득 감소 이유: 2차 조사, 3차 조사 56
[그림 3-1-3] 코로나19 이후 지난 2주 간 심리상태: 2차 조사, 3차 조사 57
[그림 4-1-1] 코로나 19 시기 G20국가의 경제 전망 76
[그림 4-1-2] 코로나19 위기의 영향은 계층에 따라 불평등한 영향 77
[그림 4-1-3] G20 국가 신속하고 과감한 대응 - 6개 영역 77
[그림 4-1-4] G20 국가 신속하고 과감한 대응 6개 영역 78
[그림 4-1-5]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각 국가별 노사정 대응 78
[그림 4-1-6] 코로나19 이후 포스트-코로나 대응 전략 79
[그림 5-1-1] OECD 회원국과 한국 직업훈련 89
[그림 5-2-1] 지역고용전략의 구성요소 95
[그림 5-2-2]/[그림 5-2-3] 클러스터 촉발 요인 98
[그림 5-2-3]/[그림 5-2-4] 고숙련 균형을 위한 숙련의 공급과 수요 전략 100
[그림 5-2-4]/[그림 5-2-5] 한국판 뉴딜의 구조 103
[그림 5-2-5]/[그림 5-2-6] 디지털 뉴딜 세부과제 및 일자리 효과 104
[그림 5-3-1] OECD 회원국 성별임금격차현황 109
[그림 5-3-2] 비정규직 성별 비율(2019.8) 116
[그림 5-3-3] 초단시간 노동자 성별 비율과 전체 초단시간 중 여성비율(2019) 117
[그림 5-3-4] 노동시간 시간대별 규모(2019.8) 120
[그림 5-4-1] 소득 기반형 '전 국민 고용보험 로드맵' 131
[그림 5-4-2] 고용 취약계층 유형별 임금노동자 증감률(2004년→2019년) 134
[그림 5-4-3] OECD 회원국 자영업 비중(2019) 135
[그림 5-4-4] 고용보험제도 적용 및 미적용 대상자 모형 137
[그림 5-4-5] 프랑스 사회보험 관리 기구 운영 현황 138
[그림 5-4-6] 코로나19 시기 OECD 회원국 상병수당, 유급병가 현황(2020) 143
[그림 5-4-7] 전 세계 상병수당 제도 도입 현황(2020) 147
[그림 6-1-1] 노동조합 조직률 연도별 추이 158
[그림 6-1-2] 사업체 규모 간 임금격차 장기 추이 162
[그림 6-1-3] 고용형태별 월 평균임금 추이 163
[그림 6-1-4] 고용형태별, 종사상 지위별, 사업체 규모별 노동이동(1년 후 고용지위 변화) 163
[그림 6-1-5] OECD 국가의 P90/P10 비교(2017년 기준) 164
[그림 6-1-6] 사업과 사업주의 분화 176
[그림 6-1-7] 고용형태에 따른 산재위험 177
[그림 6-2-1] OECD 국가별 취업자 노동시간 비교(2019년 기준) 196
[그림 6-2-2] 쿠팡 물류센터 고 장덕준씨 근무 현황 198
[그림 6-2-3] 연령별 성별 고용률(2019.8) 205
[그림 6-3-1] 기업 수준 - 기업 단위 노사관계 모순 구조 216
[그림 6-3-2] 단체협약 적용률과 노ㆍ사 단체 조직률 간 상관관계 217
[그림 6-4-1] 임금-비임금노동자 및 새로운 노동 규모 모형 227
[그림 6-4-2] 플랫폼노동 제도화 논의 및 정책방향들 230
[그림 6-4-3] 이탈리아 볼료냐시, 라치오주 플랫폼노동 노동헌장, 조례 231
[그림 6-4-4] 한국의 플랫폼경제 종사자 보호정책(2020.12) 232
[그림 6-4-5] OECD 회원국 인구 100명당 모바일 광대역 가입 지수(2019) 234
[그림 7-1-1] 기후변화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들 250
[그림 7-1-2] 한국 정의로운 전환의 초점들 252
[그림 7-2-1] 고령자 노후준비율 255
[그림 7-2-2]/[그림 7-2-3] 한국의 노인부양비 전망 256
[그림 7-2-3]/[그림 7-2-4] OECD 회원국의 기초연금 소득대체율 258
[그림 7-2-4]/[그림 7-2-5] 상생형 지역일자리 협약 체결 현황 268
[그림 7-2-5]/[그림 7-2-6] 상생형 지역일자리 주요 특성 273
[그림 7-3-1] 노동분쟁 해결절차 28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