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4

구담습지 22

I. 지형ㆍ지질ㆍ퇴적물 / 김종연;신원정 23

II. 수리ㆍ수문 / 지홍기;안재수 57

III. 식생 분야 / 김기대;이일원 98

IV. 식물상 / 임성환;윤종현 128

V. 양서ㆍ파충류 / 노남호;이재호 157

VI. 어류 / 김희성;김경훈 166

VII. 육상곤충 / 오광식;유태희 179

VIII. 조류 / 박영욱;표선영 201

IX. 포유류 / 한성용;신지훈 220

X.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 김명철;이존국 235

XI. 식물플랑크톤 / 김한순;이재학 250

신천습지 270

I. 지형ㆍ지질ㆍ퇴적물 / 김장수;오정식 271

II. 수리ㆍ수문 / 김진관;임영신 298

III. 식생 / 이정아;김희준 324

IV. 식물상 / 최영은;최영화 351

V. 양서ㆍ파충류 / 함충호;박혜린 371

VI. 어류 / 오민기;전새봄 389

VII. 육상곤충 / 박보선;차영빈 415

VIII. 조류 / 강화연;박세영;이미정 439

IX. 포유류 / 이정분;김용기 464

X.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 안동하;김정례 490

XI. 식물플랑크톤 / 이학영;조현진 515

구담습지 9

표 1. 구담습지의 현지조사 일정 28

표 2. 구담습지 퇴적물의 토성 특성 35

표 3. 구담습지 유역의 수문기상 요소 및 물수지 인자 61

표 4. 낙동강 구담습지 하천 유황(구담교) 62

표 5. 용배수 이용현황 63

표 6. 2020년 현장조사 당시의 안동댐 및 임하댐 방류량 64

표 7. 주요 하천 시설물 64

표 8. 빈도별 홍수량 69

표 9. 수리ㆍ수문 및 수질 관측자료(관측일시: 2020. 4. 30.) 70

표 10. 수리ㆍ수문 및 수질 관측자료(관측일시: 2020. 5. 31.) 70

표 11. 수리ㆍ수문 및 수질 관측자료(관측일시: 2020. 6. 29.) 70

표 12. 수리ㆍ수문 및 수질 관측자료(관측일시: 2020. 8. 29.) 71

표 13. 수리ㆍ수문 및 수질 관측자료(관측일시: 2020. 9. 22.) 71

표 14. 수리ㆍ수문 및 수질 관측자료(관측일시: 2020. 10. 12.) 71

표 15. 피도계급 산정 방법(van der Maarel Scale) 101

표 16. 구담습지 일대의 현존식생 유형별 분포현황 110

표 17. 구담습지 일대 식생의 보전등급별 식물군락 현황 110

표 18. 구담습지 일대의 식생보전등급 분포현황 111

표 19. 구담습지 일대의 정밀조사 기본정보 130

표 20. 구담습지 일대의 관속식물 현황 132

표 21. 구담습지 일대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현황 132

표 22. 구담습지 일대의 귀화식물 및 생태계교란 생물 현황 133

표 23. 구담습지 일대의 습지식물 현황 135

표 24. 구담습지 조사시기 158

표 25. 구담습지에서 관찰된 양서류 종 목록 및 개체수 159

표 26. 양서류 군집분석 결과 160

표 27. 구담습지에서 관찰된 파충류 종 목록 및 개체수 160

표 28. 파충류 군집분석 결과 161

표 29. 구담습지 일대의 어류상 170

표 30. 어류의 군집분석 결과 172

표 31. 조사시기 180

표 32. 구담습지 일대의 육상곤충 출현 현황 182

표 33. 조사시기별 곤충 현황 183

표 34. 조사시기별 우점종 184

표 35. 구담습지 일대의 고유생물종 184

표 36. 구담습지 일대의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85

표 37. 구담습지 일대의 생태계교란 생물 186

표 38. 구담습지 조류 조사시기 203

표 39. 구담습지의 우점종 현황 206

표 40. 구담습지 일대 조사시기 222

표 41. 구담습지 일대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포유류 출현 현황 224

표 42. 무인센서카메라 설치지점 좌표 225

표 43. 무인센서카메라에 확인된 종 및 사진 촬영 횟수 226

표 44. 조사 수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조사시기 238

표 45. 조사지점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의 출현종수 240

표 46. 구담습지의 조사시기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및 아우점종 241

표 47. 조사지점별 군집지수 현황 242

표 48. 구담습지의 조사지점별 ESB 분석 결과 243

표 49. 조사지점의 GPS 좌표 및 행정주소 251

표 50. 조사시기 251

표 51. 구담습지의 시기별, 지점별 환경요인 253

표 52. 시기별, 지점별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257

표 53. 구담습지의 시기별, 지점별 생태지수 결과(+ 분석에서 제외) 258

신천습지 11

표 1. 최근 6년간 완주군군 기상 개황(완주군 통계연보, 2019) 274

표 2. 조사시기 275

표 3. 신천습지의 퇴적물 조사지점 278

표 4. 신천습지 토양유형별 분포 282

표 5. 신천습지 고도별 분포 284

표 6. 신천습지 경사별 분포 285

표 7. 신천습지 사면향별 분포 286

표 8. 각 시기별 토지피복 유형의 면적 및 비율 290

표 9. 신천습지의 퇴적물 분석 결과 292

표 10. 신천습지의 퇴적물 분석 결과 293

표 11. 조사시기 및 내용 300

표 12. 평년(1981-2010) 기상자료 305

표 13. 2019년 기상자료 306

표 14. 2020년(2019.1.1.~2019.09.30.) 기후자료 306

표 15. 신천습지의 하류에서의(하리교) 하천유량 유황구간별 유 311

표 16. 신천습지 1차 수질조사 결과(2020년 4월 16일) 313

표 17. 신천습지 2차 수질조사 결과(2020년 7월 8일) 313

표 18. 신천습지 3차 수질조사 결과(2020년 9월 10일) 314

표 19. 하천수 수질환경기준(2018.5 개정) 321

표 20. 「식생자연도」와 「식생보전등급」 판정 매트릭스(환경부ㆍ국립환경과학원 2012) 327

표 21. 국가 주요 식생자원의 정의와 개요(환경부ㆍ국립환경과학원 2012) 327

표 22. 신천습지의 상관식싱형과 식물군락의 다양성 335

표 23. 신천습지 현존식생도의 상관식생형과 면적 338

표 24. 신천습지의 상관식싱형과 식물군락의 다양성 339

표 25. 신천습지 일대 조사 일정 352

표 26. 신천습지 일대의 관속식물 분류 354

표 27. 생활형 정리표 354

표 28. 신천습지 일대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355

표 29. 신천습지 일대의 특산식물 355

표 30. 신천습지 일대의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356

표 31. 신천습지 일대의 귀화식물 및 생태계교란 생물 357

표 32. 특별조사종 일람표 358

표 33. 현장 조사 일정 373

표 34. 양서류 조사결과 377

표 35. 양서류 군집분석 결과 377

표 36. 파충류 조사결과 379

표 37. 파충류 군집분석 결과 379

표 38. 신천습지 어류상 조사지점 및 GPS 좌표 390

표 39. 신천습지 어류상 조사 일정 391

표 40. 신천습지 일대의 전체어류상 396

표 41. 신천습지 조사지점1의 어류상 399

표 42. 신천습지 조사지점2의 어류상 400

표 43. 신천습지 조사지점3의 어류상 401

표 44. 신천습지 조사지점4의 어류상 402

표 45. 신천습지의 전체 어류군집 분석 403

표 46. 신천습지 일대의 어류와 과거 문헌과의 비교 405

표 47. 회차별 신천습지 조사일 417

표 48. 신천습지 육상곤충의 전체 종 구성 420

표 49. 신천습지의 법정보호종 및 특이종 출현현황 424

표 50. 신천습지 조류 조사일 441

표 51. 신천습지 조류의 우점종 현황 445

표 52. 신천습지에서 확인된 법정보호종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현황 449

표 53. 조사시기별로 확인된 법정보호종의 종 수 및 개체수 449

표 54. 조사지역 현황 466

표 55. 조사시기 및 조사방법 466

표 56. 완주 신천습지의 포유류 종목록 470

표 57. 흔적유형별 포유류 출현현황 471

표 58. 센서카메라에 포착된 이미지 수 478

표 59. 소형포유류 관찰카메라 설치기간 및 결과 481

표 60. 신천습지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조사시기 495

표 61. 조사지점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현황 498

표 62. 신천습지의 식물플랑크톤 조사지점 517

표 63. 신천습지의 이화학적 환경요인 변화 519

표 64. 조사기간 동안 확인된 신천습지의 지점별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522

구담습지 14

그림 1. 조사 구역의 위치(카카오맵 자료 활용) 26

그림 2. 구담습지 일대의 지질도(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정보서비스시스템) 27

그림 3. 구담습지 퇴적물 시료 채취 지점 (A): 구담보 동측 습지, (B): 구담보 인근, (C): 옥연정사 남측 29

그림 4. 구담습지 퇴적물 시료 채취 지점 31

그림 5. 구담습지 퇴적물의 평균 입경 특성 34

그림 6. 구담습지 퇴적물의 토양 분석 결과 37

그림 7. 구담습지 퇴적물의 치환성 양이온 함량 결과 39

그림 8. 구담습지의 시계열적 변화1 40

그림 9. 구담습지의 시계열적 변화2 41

그림 10. 구담습지의 시계열적 변화3 42

그림 11. 구담습지의 시계열적 변화4 43

그림 12. 범람으로 인한 조립질 퇴적물 47

그림 13. 습지에서 확인되는 홍수의 흔적1 47

그림 14. 습지에서 확인되는 홍수의 흔적2 47

그림 15. 습지에서 확인되는 홍수의 흔적3 47

그림 16. 습지에서 확인되는 홍수의 흔적4 48

그림 17. 습지에서 확인되는 홍수의 흔적5 48

그림 18. 습지에서 확인되는 홍수의 흔적6 48

그림 19. 습지에서 확인되는 홍수의 흔적7 48

그림 20. 습지에서 확인되는 홍수의 흔적8 48

그림 21. 습지에서 확인되는 홍수의 흔적9 48

그림 22. 입자 크기와 유속에 따른 하상 지형(Ashley, 1990을 재편집) 49

그림 23. 연흔(ripples)의 구조 50

그림 24. 과거 구담습지의 모습(촬영 일자: 2010년 1월 31일, 본인 촬영) 50

그림 25. 구담습지의 지형, 지질, 퇴적물 특성 (A): 부용대 전면 단축하도와 하적호, (B): 부용대 전면 단축하도 자갈 퇴적층, (C): 구담마을 전면 습지, (D): 구담마을 전면... 52

그림 26. 안동 구담습지 구역도 59

그림 27. 안동 구담습지 수질측정 지점 61

그림 28. 구담습지 상류유역 개황도 62

그림 29. 광덕양수장 및 구담 배수장 전경 63

그림 30. 안동댐과 임하댐 전경 64

그림 31. 구담보 전경(안동시 풍천면 구담리) 65

그림 32. 안동댐~임하댐 연결 도수로 전경 66

그림 33. 구담습지 부근의 유네스코 문화유산(하회마을, 병산서원, 봉정사) 전경 66

그림 3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안동하천실험센터 전경 67

그림 35. 안동하수처리장 전경 67

그림 36. 구담습지의 하도선형 68

그림 37. 경상북도 신도청과 구담습지 위치도 68

그림 38. 경상북도 신도청, 여민생태저수지 전경 69

그림 39. 조사지역 및 조사지점도 100

그림 40. 드론으로 촬영한 조사지역 일대 전경 100

그림 41. 조사지역 일대의 현존식생도 111

그림 42. 현존식생도(구담교 인근) 112

그림 43. 현존식생도(광덕교 인근) 112

그림 44. 조사지역 일대의 식생보전등급도 113

그림 45. 식생보전등급도(구담보 인근) 113

그림 46. 식생보전등급도(광덕교 인근) 114

그림 47. 식생단면도 조사지점 114

그림 48. A-1 식생단면도 115

그림 49. A-2 식생단면도 115

그림 50. A-3 식생단면도 116

그림 51. A-4 식생단면도 116

그림 52. A-5 식생단면도 117

그림 53. A-6 식생단면도 117

그림 54. A-7 식생단면도 118

그림 55. A-8 식생단면도 118

그림 56. A-8 식생단면도 119

그림 57. 생태계교란 생물 서식 현황 121

그림 58. 구담습지 일대의 정밀조사 기본정보 131

그림 59. 조사지역 내 여울(riffle)과 소(pool) 전경 136

그림 60. 조사Ⅰ구간 현황 137

그림 61. 조사Ⅱ구간 현황 138

그림 62. 조사Ⅲ구간 현황 139

그림 63. 조사Ⅳ구간 현황 140

그림 64. 조사Ⅰ구간 내 교란지역 현황 141

그림 65. 조사Ⅱ구간내 교란지역 현황 142

그림 66. 조사Ⅲ구간 내 교란지역 현황 143

그림 67. 조사Ⅳ구간 내 교란지역 현황 144

그림 68. 구담습지 일대의 경관 159

그림 69. 구담습지 일대에서 확인된 법정보호종 161

그림 70. 구담습지 일대의 경관 169

그림 71. 어류의 과별 종수 구성비 171

그림 72. 어류의 과별 개체수 구성비 171

그림 73. 각 조사지점 위치 180

그림 74. 구담습지의 조사지점별 전경사진 181

그림 75. 구담습지 일대의 생태계교란 생물 186

그림 76. 구담습지 일대의 경관 203

그림 77. 구담습지의 시기별 조류 종수 및 개체수 변화 207

그림 78. 구담습지의 계절별 조류 도래유형 209

그림 79. 구담습지에서 확인된 법정보호종 출현 위치도 210

그림 80. 구담습지 조류 서식지 구분 212

그림 81. 구담습지 조사 범위 221

그림 82. 멸종위기 야생생물 수달 및 삵, 담비 조사결과 224

그림 83.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 현황(담비, 삵, 수달) 225

그림 84. 구담습지 무인센서카메라 설치지점 226

그림 85. 전체 포유류 서식 현황 조사결과 227

그림 86. 습지조사구역 내 경작지 230

그림 87. 구담습지의 조사지역 및 지점 237

그림 88. 구담습지 조사지역별 생태환경현황 237

그림 89. 구담습지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조성 239

그림 90. 구담습지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개체수 현존량 조성 240

그림 91. 조사지역 및 조사지점 252

그림 92. 시기, 지점 및 분류군별 출현종수 255

그림 93. 시기, 지점 및 분류군별 현존량 256

신천습지 17

그림 1. 신천습지 전경 273

그림 2. 조사지역 위치도 274

그림 3. 표층퇴적물 시료채취 위치도 277

그림 4. 표층퇴적물 시료채취 모습 277

그림 5. 조사지역 내 지형경관 279

그림 6. 조사지역 내 지형발달 저해요소 280

그림 7. 신천습지 주변의 지질도 281

그림 8. 신천습지 주변의 토양특성도 282

그림 9. 고도분포도 283

그림 10. 경사분포도 284

그림 11. 사면향분포도 285

그림 12. 일제강점기(1910년대) 신천습지 일대 지형도 287

그림 13. 2008년 정사영상 288

그림 14. 2020년 정사영상 288

그림 15. 2008년 정사영상으로 제작된 토지피복도 289

그림 16. 2020년 정사영상으로 제작된 토지피복도 289

그림 17. SC-2-1 지점의 토양층 291

그림 18. 삼각도표법에 의한 토성 분류도 293

그림 19. 신천습지 지역 및 유량, 수질 측정 지점 299

그림 20. 신천습지 SCW4 지점의 하리교 관측소 경관 302

그림 21. 2019년, 2020년, 그리고 평년(1981-2010)의 월평균 기온 변화 304

그림 22. 2019년, 2020년, 그리고 평년(1981-2010)의 월강수량 변화 305

그림 23. 2019년, 2020년, 그리고 평년기간의 신천습지에서의 월별 증발산량 307

그림 24. 2019년, 2020년, 그리고 평년기간 동안의 신천습지에서의 월별 유출량 308

그림 25. 신천습지에서의 2019과 2020년 월별유출량과 평년기간의 월별 유출량 차이 309

그림 26. 하리교에서의 만경강 유량지속곡선 310

그림 27. 신천습지의 하류부에서의(하리교) 유량의 시계열적 변화 312

그림 28. 신천습지 하리교에서의 PH와 Do의 변화 315

그림 29. 신천습지 고달교에서의 BOD와 COD의 변화 317

그림 30. 신천습지 하리교에서의 TOC와 T-P의 변화 318

그림 31. 신천습지 하리교에서의 수온 변화 319

그림 32. 신천습지 하리교에서의 SS와 EC의 변화 320

그림 33. 신천습지의 현존식생도 337

그림 34. 신천습지 일대 조사경로 353

그림 35. 신천습지 특정종 및 희귀종 분포현황 359

그림 36. 신천습지 귀화식물 및 생태계교란 생물 분포현황 359

그림 37. 신천습지의 주요 식물 분포현황 360

그림 38. 조사지역 경계 373

그림 39. 신천습지 권역 금개구리와 황소개구리 확인 지점 378

그림 40. 신천습지 권역 로드킬 확인지점 380

그림 41. 금개구리 서식지와 금개구리 및 용도변경 구역 표시(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381

그림 42. 신천습지 내 어류상 조사지점 391

그림 43. 조사지점1 일대의 경관1 394

그림 44. 조사지점1 일대의 경관2 394

그림 45. 조사지점2 일대의 경관1 394

그림 46. 조사지점2 일대의 경관2 394

그림 47. 조사지점3 일대의 경관1 394

그림 48. 조사지점3 일대의 경관2 394

그림 49. 조사지점4 일대의 경관1 395

그림 50. 조사지점4 일대의 경관2 395

그림 51. 신천습지에 서식하는 어류의 상대풍부도 397

그림 52. 신천습지에 서식하는 어류의 과별 종수 구성비 398

그림 53. 신천습지에 출현한 어류의 군집분석 403

그림 54. 2020년 6월 조사지점2에서 1회 투망시 포획된 블루길 407

그림 55. 신천습지의 위치 및 전경 417

그림 56. 육상곤충 전체 분류군별 구성비 419

그림 57. 봄(5월) 육상곤충 전체 분류군별 구성비 421

그림 58. 여름(6월) 육상곤충 전체 분류군별 구성비 422

그림 59. 가을(8,9월) 육상곤충 전체 분류군별 구성비 423

그림 60. 계절별 출현 종수 및 종구성 변동 424

그림 61. 신천습지 조사구역 지도 441

그림 62. 신천습지 일대의 경관 441

그림 63. 신천습지 조사경로(위: 북안 및 소양천 구간, 아래: 남안 및 고산천 구간) 442

그림 64. 신천습지의 조사시기별 조류 종 수 및 개체수 447

그림 65. 신천습지의 조사시기별 조류 군집 특성 447

그림 66. 도래유형에 따른 출현종수(왼쪽) 및 개체수(오른쪽) 비율 448

그림 67. 신천습지에서 확인된 법정보호종의 출현 위치 450

그림 68. 흰목물떼새 관찰지점의 환경 및 인간의 출입흔적 452

그림 69. 조사지역 전경 465

그림 70. 조사경로 및 센서카메라, 소형포유류 관찰카메라 설치 위치 469

그림 71. 포유류 서식흔적 확인지점 470

그림 72.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수달의 서식흔적 확인지점 472

그림 73.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삵의 서식흔적 확인지점 473

그림 74. 일반종 고라니에 대한 커널밀도 추정 474

그림 75. 일반종 너구리에 대한 커널밀도 추정 474

그림 76. 일반종 두더지에 대한 커널밀도 추정 475

그림 77.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수달에 대한 커널밀도 추정 476

그림 78.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삵에 대한 커널밀도 추정 476

그림 79. 센서카메라 설치 477

그림 80. 센서카메라에 포착된 종의 일별 출현빈도 479

그림 81. 센서카메라에 포착된 종의 시간대별 출현빈도 480

그림 82. 신천습지의 조사지점 위치(6개 지점) 492

그림 83. 신천습지 각 조사지점의 개황 492

그림 84. 신천습지에서 출현한 전체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현황 496

그림 85. 신천습지에서 출현한 수서곤충류의 분류군별 구성비(Order 별) 497

그림 86. 신천습지의 조사시기(계절)별 출현종수의 변화 비교 499

그림 87. 신천습지의 식물플랑크톤 조사지점 517

그림 88. 신천습지의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519

그림 89. 조사기간 동안 확인된 신천습지의 지점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520

그림 90. 조사기간 동안 확인된 신천습지의 지점별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521

그림 91. 조사기간 동안 확인된 신천습지의 지점별 유해남조류 출현개체수 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