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머리말 3

요약문 7

약어 13

1. 서론 14

김씨 일가의 유산과 북한 현실의 덫 15

이 보고서의 구성 17

2. 북한의 국가전략: 핵능력을 넘어서 18

북한의 국가전략 19

북한이 바라는 승리의 길 28

어떻게 북한의 국가전략을 저지할 것인가 34

3. 북한의 핵과 탄도미사일 능력, 현재, 그리고 2027년 36

북한의 핵무기: 배경과 능력 36

핵무기 운반: 증가하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보유량 40

핵물질 보유량: 플루토늄과 고농축우라늄 44

핵무기 보유량 추산 47

핵무기 보유량 추산에 관한 유의사항 49

4. 북한의 핵무기 전략: 지역 강국이 되기 위한 노력 51

북한 핵능력 향상에 따른 핵 독트린 진화 51

진화하는 북한의 핵무기 사용 범위 55

북한의 잠재적 핵무기 운용 가능성 요약 65

핵무기 사용의 촉발 요소 68

결론 69

5. 한미의 북한 핵무기 위협 대응 전략 70

한미 핵대응 전략 수립을 위한 주요 결론 70

2027년 한미 전략 제안 개요 71

한미 핵심 전략: 대북 억제, 격퇴, 방어 및 좌절 72

한미 양국은 어떤 역량을 발전시켜야 하는가? 81

한미 전략에 대한 기타 권고 사항 87

중국과의 협력 92

참고문헌 95

저자 소개 115

표목차

표 2.1. 핵과 미사일 개발에 따른 북한 국가 목표의 변화 30

표 3.1. 북한의 탄도미사일 42

표 3.2. 2018ㆍ2019 북한의 플루토늄 생산량 추정치 45

표 3.3. 북한의 고농축우라늄 보유량 추정치 47

표 4.1. 북한 핵무기의 관념적 배분 67

그림목차

그림 3.1. 북한의 향후 핵무기 보유량 49

그림 5.1. 억제 체계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