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요약문 2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6
1-1. 연구개발 목적 6
1-2. 연구개발의 필요성 13
1-3. 연구개발 범위 23
1-4. 국내외 기술 개발 현황 25
2.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과정 및 수행 내용 35
2-1. 1차년도 수행 과정 및 내용(2017년) 35
2-2. 2차년도 수행 과정 및 내용(2018년) 92
2-3. 3차년도 수행 과정 및 내용(2019년) 163
2-4. 4차년도 수행 과정 및 내용(2020년) 251
2-5. 5차년도 수행 과정 및 내용(2021년) 338
3.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결과 및 목표 달성 정도(각 분야별로) 454
3-1.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 실적 454
3-2. 연구수행 결과 459
4. 목표 미달 시 원인분석(해당 시 작성합니다) 481
4-1. 목표 미달 원인(사유) 자체분석 내용 481
4-2. 자체 보완활동 481
4-3. 연구개발 과정의 성실성 481
5. 연구개발성과의 관련 분야에 대한 기여 정도 482
5-1. 목표 달성도 482
5-2. 관련 분야 기여도 483
6. 연구개발성과의 관리 및 활용 계획 484
6-1. 연구개발성과의 관리계획 484
6-2.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484
7. 기타사항 484
7-1. 연구시설ㆍ장비종합정보시스템 등록한 연구시설 장비 현황 484
7-2. 연구시설ㆍ장비종합정보시스템 등록한 연구시설 장비 현황 484
별첨자료 484
참고문헌 485
그림 1.2.1. 2003년 태풍매미 시기 북서태평양 고도수위(Lin et al.,2005). 큰 값은 고온의 혼합층 나타냄. 난수/냉수에디특성도 나타남 13
그림 1.2.2. 2000년 이후 한반도에 큰 피해를 준 난수괴역을 통과한 8개 급강화 태풍의 위도별 강도 변화(강, 2016) 13
그림 1.2.3. 급강화 태풍의 하나인 태풍 콤파스의 경우 주요 기관(하와이태풍예경보센터(JTWC), 일본기상청(JMA), 한국기상청(KMA))의 급강화 태풍의 예측 정확도는... 13
그림 1.2.4. 50m/s 이하에서 바람에 따른 해양-대기 운동량 교환계수(Drag coefficient)(Jarosz et al., 2007) 15
그림 1.2.5. 태풍모델의 wave coupling 효과에 따른 진로개선 효과는 뚜렷하나 강도개선 효과는 없음(Ginis, 2009) 15
그림 1.2.6. 단순 태풍-해양 결합 모형(CSTORM) 개발 및 활용 추진 체계도 15
그림 1.2.7. 태풍에 의한 위험 빈도와 사망 위험도 분포 (2010년 기준) (From Peduzzi et al., 2012) 17
그림 1.2.8. 관측과 모델에 의한 태풍의 강도 변화 및 예측 (Knutson et al., 2010.) 17
그림 1.2.9. 북서태평양 태풍 예측 기관별 진로오차 (유, 2016) 18
그림 1.2.10. 1990-2015 기간 대서양 허리케인센터 예측 강도오차 (Tallapragada, 2016) 19
그림 1.2.11. 2003-2005년간 대서양 급격히 강화된(RI) 태풍의 예측 정확도 (좌) 및 파랑효과를 고려한 태풍 리타 강도 예측 (Ginis, 2009). 48-84시간 강도예측 오차가... 20
그림 1.2.12. 태풍 매미(2003년)가 지나가기 전 해면고도변이와 관측으로부터 계산된 TCHP(Tropical Cyclone Heat Potential). 태풍 매미의 경로를 함께 표시했으며... 20
그림 1.2.13. 쿠로시오 경로로 태풍이 이동할 때 발생하는 상층 냉각의 모식도 21
그림 1.4.1. 좌에서 우로 2007 (8월 하순), 2014 (9월 중순), 2015년 (8월 하순) 해양열용량(Ocean heat content) 25
그림 1.4.2. 2010년 대만/미국 공동 조사(Aug.20-Oct.20, 2010)(ITOP)시 계류부이(Mooring buoy) 설치와 항공기에서 표류부이 투하 등을 통한 조사를 수행함(Lin, 2016) 26
그림 1.4.3a. 태평양 횡단관측 중인 글라이더 글라이더 Benjamin 모습 27
그림 1.4.3b. 글라이더 부착 센서를 통해 관측된 해면기압(상), 유의파고(중), 바람(하) 27
그림 1.4.4. 대기-해양 상호작용 모식도(SOLAS 2015-2025) 28
그림 1.4.5/그림 1.4.4. CHIPS 모형의 개념도 및 해양의 영향에 대한 태풍 강도 변화 모의 결과(Emanuel et al., 2004) 28
그림 1.4.6/그림 1.4.5. 위성 1주일(6-12, Jan 1997) 평균 Latent heat flux 분포도(Bentamy et al., 2003) 29
그림 1.4.7/그림 1.4.6. HWRF 태풍에측모델 시스템 순서도 32
그림 1.4.8/그림 1.4.7. ECMWF의 태풍예측 서비스 33
그림 2-1-1a-1-1. 2017년 조사해역의 CTD(T02-T32) 및 xctd (X02-X13, XE1-XE7) 관측점. 하늘색 선은 uCTD 관측 단면임. 파랑글라이더 관측점(SV3, SV2)에서도... 35
그림 2-1-1a-1-2. 9월 8일-23일간 5일 간격으로 Copernicus website에서 제공하는 관측해역의 해수변 변위 anomaly(SSHa) (m)의 시간 변화 36
그림 2-1-1a-1-3. T02-T08(상) 및 T10-T16(하) 단면에서의 수온(좌) 및 염분(우) 연직분포도 37
그림 2-1-1a-1-4. T18-T24(상) 및 T26-T32(하) 단면에서의 수온(좌) 및 염분(우) 연직분포도 38
그림 2-1-1a-1-5. xCTD 남북 단면(XE1-XE7)에서의 수온(하좌) 및 염분(하우) 연직분포도. 윗 그림은 SSHa 높이 및 센서 투하 위치 (+표기 7개점) 39
그림 2-1-1a-2-1. 4개 동서단면(20.5°-17.5°) 및 남북단면(XE1-XE7)에서 경도/위도별 열용량 분포 40
그림 2-1-1a-2-2. 4개 동서단면(20.5°-17.5°)의 열용량 수평 분포도 41
그림 2-1-1a-2-3. 4개 동서단면(20.5°-17.5°) 영역에서 해수면 변위 (SSHa) 공간 분포 42
그림 2-1-1b-1. 조사선에 탑재된 파랑글라이더(좌상)의 기상센서, 이사부호 선수에 부착된 기상센서(우상), 발사준비중인 라디오존데(좌하), 조사선 기상관측기(우하) 위치 모습.... 43
그림 2-1-1b-2. 조사선 선수에 설치된 기상센서에서 관측된 u(좌), v(중), w(우) 바람장. 9월 14일 10시-11시. T07에서 CTD 조사가 관측된 시점임 44
그림 2-1-1b-3. 조사선 선수에 설치된 기상센서에서 40Hz 간격으로 관측된 u(좌), v(중), w(우) 바람장 44
그림 2-1-1b-4. 초음파 자료로부터 산정된 u및 u10. 청색 실선은 COARE 3.5 자료임. 컬러는 선수로부터 바람이 불어오는 상대각도를 나타냄 44
그림 2-1-1b-5. 조사선관측(청색선), 초음파평균관측(적색원), 초음파산정(노란원) 및 SV3관측 풍속으로부터 환산한 마찰속도(Frictional velocity). 9월27일-28일 wave glider의... 45
그림 2-1-1b-6. 유동 물체에서 관측된(meas.) 운동량 공분산치(〈u'w'〉, 〈v'w'〉)가 보정(corr. 및 mreg.)에 따라 운동량 공분산 스펙트럼의 감쇄가 나타나는 특성 46
그림 2-1-1b-7. 조사선 선수에서 관측된 1Hz 대기온도(상), 상대습도(중), 기압(하) 시간 변화 46
그림 2-1-1b-8. 조사선 궤적 따라 대기온도(좌상), 습도(우상), 풍속(좌하), 및 표층수온(우하) 47
그림 2-1-1b-9. 북서태평양 관측 단면별로 산정한 Latent heat flux 48
그림 2-1-1b-10. 관측Latent heat flux (LHF) 및 Ocean heat contnet (OHC) 분포 48
그림 2-1-1b-11. Bulk 식에 의한 LHF 및 초음파 관측치로부터 추산한 난류 LHF. 대체로 유사한 결과임 49
그림 2-1-1b-12a. 파랑글라이더 관측요소들(기온, 풍속, 기압)의 공간분포 및 시간 변화(우하) 51
그림 2-1-1b-12b/그림 2-1-1b-12c. 파랑글라이더 해양관측요소들(수온, 염분, 용존산소)의 시간 변화 52
그림 2-1-1b-12c/그림 2-1-1b-12d. 북서태평양 파랑글라이더(SV3)에서 관측된 기온, 풍속, 상대습도의 시간변화. 관측센서는 해표면에서 약 70cm 높이에 위치함. 해상 10m... 53
그림 2-1-1b-12d/그림 2-1-1b-12e. 북서태평양 난수괴 남동측 경계에서 투하된 파랑글라이더(SV2)에서 관측된 기온, 풍속, 상대습도의 시간변화. 관측센서는 해표면에서.... 54
그림 2-1-1b-13a. 부이의 11월 중순까지 궤적. 10월 20-21일경 태풍 Lan/Saomai가 통과 55
그림 2-1-1b-13b. 31680 및 31890 부이의 태풍 Lan/Saomai 통과시 수온, 기압, 평균풍속, 풍향 시간변화 55
그림 2-1-1b-13c. 31680 및 31890 부이의 태풍 Lan/Saomai 통과시 수온, 기압, 평균풍속, 풍향 시간변화 56
그림 2-1-1b-13d. 31680 및 31890 부이의 태풍 Lan/Saomai 통과시 수온, 기압, 평균풍속, 풍향 시간변화 56
그림 2-1-1b-14. 태풍 Lan과 Saomai 통과전후 약 10여일 간에 걸친 냉수성 에디강화 특성 57
그림 2-1-1b-15. Argo 뜰개 궤적 (2017.09.16.~2017.11.25.): 우측의 일련번호는 2017년 이사부호 조사 정점 번호 58
그림 2-1-1b-16. Argo 뜰개로 관측한 초기 수온 연직구조(좌, 9월 16일)와 동중국해로 들어간 뜰개의 연직구조(우, 점선) 58
그림 2-1-1b-17. 라이오존데 프로파일 위치 59
그림 2-1-1b-18. 저위도 프로파일(a)과 중위도 프로파일(b)에 대한 온위, 상당온위, 그리고 포화상당온위 59
그림 2-1-1b-2-1. 조립 균일격자 모델 60
그림 2-1-1b-3-1. 단순태풍강도모형 모식도(a) 및 단순해양연직구조(b: 유속, c: 수온)(Emanuel et al., 2004) 61
그림 2-1-1b-3-2. 단순 태풍모형(CHIPS) 구조(Emanuel, 1995) 61
그림 2-1-1b-3-3. 최근 5년(2012~2016)간의 대표적인 급강화 태풍 진로 및 강도 변화 (6시간 간격, 음영구간은 급강화 시작구간) 62
그림 2-1-1b-3-4. 2012년 태풍 산바(SANBA)의 최대 풍속 (흑점) 및 최저기압 (적점) 변화 및 단순태풍모형 적용 결과 (실선), 점선은 이론 최대풍속 및 최저기압 63
그림 2-1-1b-3-5. 2013년 태풍 하이얀(HAIYAN)의 최대 풍속 (흑점) 및 최저기압 (적점) 변화 및 단순태풍모형 적용 결과 (실선), 점선은 이론 최대풍속 및 최저기압 64
그림 2-1-1b-3-6. 2014년 태풍 봉퐁(VONGFONG)의 최대 풍속 (흑점) 및 최저기압 (적점) 변화 및 단순태풍모형 적용 결과 (실선), 점선은 이론 최대풍속 및 최저기압 64
그림 2-1-1b-3-7. 2015년 태풍 소델로(SOUDELOR)의 최대 풍속 (흑점) 및 최저기압 (적점) 변화 및 단순태풍모형 적용 결과 (실선), 점선은 이론 최대풍속 및 최저기압 66
그림 2-1-1b-3-8. 2016년 태풍 네파탁(NEPARTAK)의 최대 풍속 (흑점) 및 최저기압 (적점) 변화 및 단순태풍모형 적용 결과 (실선), 점선은 이론 최대풍속 및 최저기압 66
그림 2-1-1c-1-1. (a) 해수면온도, (b) 해면기압, (c) 태풍잠재강도의 JASON (July, August, September, October, and November) 계절 기후값 67
그림 2-1-1c-1-2. 위 패널은 첫 번째 클러스터, 중간 패널은 두 번째 클러스터, 그리고 아래 패널은 세 번째 클러스터. 좌측 패널은 해수면온도 편차, 그리고 우측 패널은 태풍잠재강도 편차 68
그림 2-1-1c-1-3. (a) 엔트로피 손실율(entropy decifit)과 (b) 태풍 환기지수(ventilation index) 69
그림 2-1-1c-1-4a. 그림 2-2-1c-1-3과 같으나 태풍환기지수에 대한 것만 다름 70
그림 2-1-1c-1-4b. 엘니뇨 시기 태풍잠재강도의 차이 70
그림 2-1-1c-2-1. 적분 8년 2월(좌)와 8월(우)의 표층수온 분포 72
그림 2-1-1c-2-2. 적분 8년 2월(좌)와 8월(우)의 106m 층 수온 분포 72
그림 2-1-1c-2-3. 고해상도 순환모델의 적분 8년 8월의 표면수온(상), 표면염분(중)과 해류벡터(하). 하늘색 실선은 금년도 조사해역을 표기함 74
그림 2-1-1c-2-4. 고해상 순환모델 적분 8년 8월의 해면고도 분포(상)와 위성고도계의 8월 평균 해면고도(하) 75
그림 2-1-1c-2-5. 고해상도 순환모델의 적분 8년 8월의 수온 단면. 필리핀 동방 동서단면(17.5N, 상)과 남북 단면(128.9E, 하) 76
그림 2-1-2a-1-1. 태풍 Megi, Malakas, 그리고 Fanapi가 발달할 때 (a) 수심에 따른 해수온, (b) 태풍 강도에 따른 해수면온도, (c) 엔탈피 플럭스 (Lin et al., 2013) 77
그림 2-1-2a-1-2. 7월부터 11월 평균의 잠열속과 현열속 기후값. 단위는 W/m2 78
그림 2-1-2a-1-3. 7월부터 11월 평균의 지상 바람벡터 및 풍속. 단위는 m/s 78
그림 2-1-2a-1-4. 열대서태평양 열대성 저기압 통과시 (a) 해면기압, (b) 열속, (c) 상대습도 및 (d) 해수면온도 변화 78
그림 2-1-2a-1-5. 2017년 11월 18일 라디오존데 및 XBT 관측 기온 및 수온 79
그림 2-1-2a-1-6. 2017년 11월 18일 라디오존데 및 XBT 관측 기온 및 수온편차 79
그림 2-1-2a-1-7. 열대 서태평양 지역 난수괴 해역 25개 지점 라디오존데 대기 프로파일의 평균 기온, 상대습도, 온위, 그리고 상당온위 80
그림 2-1-2a-2-1. 2017년 11월 이사부호에서 관측한 해수면 xCO2 분포 81
그림 2-1-2a-2-2. 해수면 xCO2 와 수온 및 염분 상관도 81
그림 2-1-2b-1-1. (좌) 계류 설계도, (우상) 계류지점 지형도, (우하) 계류 작업 장면 82
그림 2-1-2b-2-1. CTD/LADCP 조사 및 해류계 계류 지점. CPIES 계류는 서안경계류의 형성 과정에 영향을 주는 소용돌이 이동의 탐지를 목적으로 '연구선 공동활용연구'... 83
그림 2-1-2b-2-2. 단면 B상 (북위 8도 동서 관측단면) (a) 수온, (b) 염분, (c) 용존산소 및 (d) 밀도 분포 84
그림 2-1-2b-2-3. 전체 관측자료의 수온, 염분, 밀도 및 용존산소의 수직 분포. 수심 4000-5000m의 해저면층에서 수온과 염분이 수직적으로 변화가 작지만 관측점에 따라... 85
그림 2-1-2b-2-4. 라인 B 관측 자료의 수온-염분도. NPIW는 혼합과정이 활발함을 암시하는 복잡한 형태로 나타난 반면 NPTW는 염분값이 외해역에서 크고 연안에 근접할수록... 85
그림 2-1-2b-2-5. 단면 B의 밀도 자료로 계산한 지형류 분포. 무류면은 수심 4,000m로 가정하였음 86
그림 2-1-2b-2-6. 단면 A (북위 6.5도)의 밀도 자료로 계산한 지형류 분포. 무류면은 수심 4,000m로 가정하였음 87
그림 2-1-2b-2-7. 북위 8도선상 관측라인 B에서의 유속관측 결과. (a) LADCP, (b) SADCP. 왼쪽은 64m, 208m 및 520m 깊이의 유속을 표시하였으며, 오른쪽 유속 단면도에서는... 88
그림 2-1-2b-3-1. 2015년 6월-2016년 6월 기간 동안의 쿠로시오 축(월평균; 보라색 실선, 연평균; 흑색 실선)과 유속계 계류 지점(황색 점)의 평균유속(적색 화살표) 89
그림 2-1-2b-3-2. 2015 6월-2016년 6월 기간 동안 관측된 상층 500m 평균 유속(a: along, b: cross) 89
그림 2-1-2b-3-3. 2015 6월-2016년 6월 기간 동안의 현장관측자료(ADCP)와 수치모델(HYCOM)에 나타난 상층 500m의 평균 유속 90
그림 2-1-3a-1. 2017년 쿠로시오 본류 계류 유속 관측장비. 쿠로시오 주축에 가까운 지점에 계류함 90
그림 2-1-3a-2. 가고시마 대학-KIOST간 연구협력 MOU 체결 서류 91
그림 2-2-1a-1. 2018년 조사해역 CTD조사 및 인근에서 5등급으로 강화된 태풍 제비(Jebi) 및 태풍 망쿳(mangkhut)의 진로를 표기함 92
그림 2-2-1a-2. CTD와 xCTD 조사지점 및 파랑 글라이더, 아고부이, 부층부이 등 해양로봇 장비 투하지점. 배경 색깔은 2018년 9월 13일 해수면변위 anomaly를 나타냄 93
그림 2-2-1a-3. 9월 1일부터 5일간격으로 해수면 변위 Anomaly. 관측해역 도착 당시인 9월 1일에는 관측영역 외곽에 있던 동쪽 에디가 16일에는 100km 정도 서진함 93
그림 2-2-1a-4. 단면 N(1/2행) 및 A(3/4행)에서의 1000m까지 수온(좌) 및 염분(우) 연직 분포 94
그림 2-2-1a-5. 단면 B(위) 및 C(아래)에서의 1000m 수심까지 수온(좌) 및 염분(우) 연직 분포 95
그림 2-2-1a-6a. 2017년 B단면에서의 염분 상세 구조. 129°E에 34 psu 저염수의 핵이 보임 96
그림 2-4-1a-6b. A,B,C 3개 단면(좌)에서 2017년 및 2018년 수괴(water mass) 분포 특성을 보이는 T-S diagram (우). 100m이내 상층 2017/2018년 관측값을 각각 옅은... 97
그림 2-4-1a-7. 조사해역(좌), 9월 13일 SSHa (우상) 및 태풍전과 후 취합한 열용량(OHC) 분포 (우하) 98
그림 2-4-1a-8. 태풍 망쿳 통과전과 후의 조사해역 남서부에서의 열용량 변화 98
그림 2-2-1b-1-1. 발사준비중인 라디오존데(좌상), 아고부이 투하(우중) 및 표층부이 투하준비 (우상), 탑재된 파랑글라이더의 기상센서(중좌) 및 글라이더 투하(중중) 및 항행,... 99
그림 2-2-1b-1-2. 조사선 항로(위) 및 조사선 장착장비에서 관측된 풍속, 기온, 대기압 및 습도(하) 100
그림 2-2-1b-1-3. 조사선 장비(32.6m 높이)관측 풍속 및 10m 상공 변환 1분 평균풍속(위 두그림). 10m 높이 및 32.6m 높이에서의 순간 최대 풍속치 (아래 두 그림) 101
그림 2-2-1b-1-4/그림 2-2-1b-1-1-4. 조사선과 선수고(13m, 20m)에서 1초 간격으로 관측된 기온(상), 상대습도, 해면기압(하) 101
그림 2-2-1b-1-5a. 관측기간동안 선수 센서 및 해수면 SST를 이용하여 산정된 15분 평균 Latent heat flux (LHF) 및 풍속으로 정규화된 Wind-normalized latent heat flux (wnLHF) 102
그림 2-2-1b-1-5b. 관측치로부터 산정된 15분 평균 잠열(LHF)(좌) 및 바람 정규화된 잠열 (wnLHF, wind-normalized latent heat flux) (우) 102
그림 2-2-1b-1-5c. 관측치로부터 산정된 15분 평균 잠열(LHF)(좌) 및 바람 정규화된 잠열 (wnLHF, wind-normalized latent heat flux) (우) 103
그림 2-2-1b-1-6. 2017년 태풍이 없는 조건에서 관측치로부터 산정된 15분 평균 잠열(LHF)(좌상), 해양열용량(우상), 바람정규화된 잠열(wnLHF, wind-normalized latent heat flux)... 104
그림 2-2-1b-1-7a. 파랑글라이더(WG1)에 부착한 CTD 관측 수온, 염분, 수심 (해면하 수심)과 해면대기압, 풍속 및 밧데리 용량의 시간 변화. 태풍예측진로는 9월 14일경(그림 2-2-1b-1-8a)... 105
그림 2-2-1b-1-7b. 파랑글라이더(WG2)에서 관측한 수온, 염분, 수심(CTD계류수심), 시간대는 UTC 기준임 106
그림 2-2-1b-1-8a. 태풍 통과궤적 및 관측영역 (청색 점선 영역). 시간대는 UTC 기준임 106
그림 2-2-1b-1-8b. 태풍 망쿳의 급강화 특성 및 5등급 지속일 특성(NRL). 시간대는 UTC 기준임 107
그림 2-2-1b-1-9. WG1에서 관측된 변환된 비습, 풍속 동서성분(u) 및 연직(w) 성분의 40Hz 간격 1시간자료 107
그림 2-2-1b-1-10. 관측기간동안 표층부이의 투하후 궤적 및 4개 태풍의 궤적 108
그림 2-2-1b-1-11. 생존한 5개 부이의 관측기간 동안 해면기압(상), 표층수온(중), 6분 평균 풍속(하). 6분 평균 풍속은 0.7m 높이 및 10m 높이 환산 풍속으로 표기함 109
그림 2-2-1b-1-12a. 관측기간 동안 표층부이(12130)의 투하후 9월 23일 태풍 짜미가 외곽(18°N, 132°E)에서 접근시 기상특성 변화 및 0.7m 높이 및 10m 높이 풍속 110
그림 2-2-1b-1-12b. 관측기간 동안 표층부이(12130)의 투하후 9월 24일 태풍 짜미(Trami) 근접(19.5°N,129°E)시 기상특성 변화 및 0.7m 높이 및 10m 높이 풍속 110
그림 2-2-1b-1-13. 120m 상공에서 무인항공기(Coyote)를 이용하여 난류/bulk 열속을 직접 관측, 산정 의미 111
그림 2-2-1b-1-14. 이리듐 통신 방식 Argo 2기(f8261, f8508)의 두 달간 궤적과 태풍 통과 진로 (배경은 2018년 11월 17일 기준 해면 고도 이상과 지형류) 112
그림 2-2-1b-1-15. 양방향 통신 방식을 이용한 Argo Profiler의 작동 모드 변경 이력 (태풍 발생시 6시간 간격으로 600m 관측, 태풍 없는 경우는 3일 마다 2000m 까지 관측) 112
그림 2-2-1b-1-16. 양방향 통신 Argo 프로파일러를 이용한 연직 수온/염분 구조의 시간 변화: f8261의 경우 태풍 위투가 근접했을 때 연직혼합에 의한 수온의 하강과 염분의 상승이... 113
그림 2-2-1b-1-17. 두 기의 Argo Profiler가 관측한 수온-염분 다이어그램 113
그림 2-2-1b-1-18. 라디오존데 관측 지점 114
그림 2-2-1b-1-19. 라디오존데 관측을 통한 기온과 상대습도 114
그림 2-2-1b-1-20. 관측점 평균 상대습도 프로파일. (a) 2017년 관측, (b) 2018년 관측 115
그림 2-2-1b-1-21. 라디오존데 관측 지점에서의 태풍 잠재강도 115
그림 2-2-1b-2-1. 상세 가변격자 117
그림 2-2-1b-2-2. 모델 수심 117
그림 2-2-1b-2-3. 모델 초기장(0911)의 연직구조 비교(좌: 수온, 우:염분) 119
그림 2-2-1b-2-4. 관측시점(09/20)의 연직구조비교 (좌: 수온, 우: 염분) 119
그림 2-2-1b-2-5. CMEM 위성재분석 자료(좌상), HYCOM 재분석 자료(우상), 모델 결과(하)의 2017년 조사해역 SSH 분포(09/20) 119
그림 2-2-1b-2-6. 조립 균일격자 모델로 계산한 8월 상층수온, SSH, 염분 분포 120
그림 2-2-1b-3-1. 2017~2018년의 대표적인 급강화 태풍 진로 및 강도 변화 (6시간 간격) 121
그림 2-2-1b-3-2. 단순태풍모형(CHIPS)으로 모의한 2017년 태풍 란(LAN)의 강도 변화 (실선: 모형, 점원: 관측추정치) 122
그림 2-2-1b-3-3. 단순태풍모형(CHIPS)으로 모의한 2018년 태풍 짜미(TRAMI)의 강도 변화 (실선: 모형, 점원: 관측추정치) 123
그림 2-2-1b-3-4. 단순태풍모형(CHIPS)으로 모의한 2018년 태풍 콩레이(KONG-REY)의 강도 변화 (실선: 모형, 점원: 관측추정치) 124
그림 2-2-1b-3-5. 단순태풍모형(CHIPS)으로 모의한 2018년 태풍 위투(YUTU)의 강도 변화 (실선: 모형, 점원: 관측추정치) 124
그림 2-2-1b-4-1. 항공기 도플러 레이더(ER-2 Doppler Radar)에서 관측된 Hurricane Dennis(2005)의 급강화 전 eyewall에서 생긴 깊은 대류셀(hot tower)의 레이더... 125
그림 2-2-1b-4-2. 2017년 태풍 Lan의 강도변화(minimum sea level pressure) 및 트렉. 태풍 급강화 전후 5단계 구분 표시: Phase A. Neutral(급강화 -2 Day), Phase B. Neutral(급강화 -1 Day),... 126
그림 2-2-1b-4-3. 태풍 Lan(2017)의 각 단계별(급강화 -2일, -1일, 당일) Himawari-8 적외 영상 변화: 06 UTC (위)와 18 UTC(아래). 영상에서 노랑색 영역 안의 옅은 주황색(점선 동그라미로 표시)은... 127
그림 2-2-1b-4-4. 태풍 Lan(2018)의 각 단계별(급강화 +1일, 약화 단계) 127
그림 2-2-1c-1. 해수면온도 편차의 클러스터 분석에 따른 각 클러스터의 해수면온도 합성도 및 태풍잠재강도 합성도 129
그림 2-2-1c-2. 태풍 환기지수와 태풍의 발달 관계 130
그림 2-2-1c-3. 동태평양 엘니뇨에 대한 각 인자의 기여도 131
그림 2-2-1c-4. 중태평양 엘니뇨에 대한 각 인자의 기여도 131
그림 2-2-1c-5. 북태평양 엘니뇨에 대한 각 인자의 기여도 132
그림 2-2-1c-2-1. 아열대해역의 WOA-05 해면수온과 염분(상단)과 모델 해면수온과 염분(하단, 적분 40년째)과의 비교 134
그림 2-2-1c-2-2. 전구 해양평균 열량(좌상단), 해면고도(우상단), 운동에너지(좌하단)와 위치에너지(우하단)의 적분 시간에 따른 변화 134
그림 2-2-1c-2-3. 적분 40년경의 동아시아해역과 아열대해역의 순압유선함수(좌-적분 0년 8월, 우-적분 39년 8월) 135
그림 2-2-1c-2-4. 북서태평양 아열대해역의 KIOST ESM v1 재분석자료 해면수온(좌, 2001-2010 평균)과 모델 해면수온(우, 적분 40년째)과의 비교 136
그림 2-2-1c-2-5. 북서태평양 아열대해역의 위성 고도계 해면고도(좌, 1993-2014 평균)와 모델 해면고도(우, 적분 40년째) 136
그림 2-2-1c-2-6. 북서태평양 아열대해역의 적분 39년 9월 10, 20, 30일 해면고도(좌)와 해면수온(우) 분포 137
그림 2-2-1c-2-7. 북서태평양 아열대해역의 모델 월평균 현열속+잠열속(적분 40년째) 138
그림 2-2-1c-2-8. 북서태평양 아열대해역의 적분 39년 9월 15일의 모델 현열속, 잠열속과 현열속+잠열속 138
그림 2-2-1c-2-9. 북서태평양 아열대해역의 적분 39년 9월 각 일의 모델 현열속, 잠열속과 현열속+잠열속 138
그림 2-2-1c-6. 1979년부터 2005년까지 해수면온도를 처방한 0.5도 CESM 모형에서 모의되는 전구 태풍의 경로 139
그림 2-2-1c-7. 관측 및 기후모형에서 모의되는 각 클러스터의 태풍 경로 139
그림 2-2-2a-1-1. 해양관측 정점 및 라디오존데 관측 위치. 파란 사각형은 해양CTD 관측 지점이고,붉은 십자는 라디오존데 관측 정점. M은 48시간 반복 관측정점 140
그림 2-2-2a-1-2. 라디오존데와 CTD 관측 결과(a) 대기 온도, b) 상대습도, c) 수온, d) 염분) 141
그림 2-2-2a-1-3. 남북 이동 및 M 정점에서의 동서성분 및 남북성분 바람 141
그림 2-2-2a-1-4. 2017년과 2018년에 북서태평양 지역 라디오존데를 통해 관측된 상대습도와 비습 평균. 실선은 NCEP2 재분석자료에서의 11월 평균 기후값 142
그림 2-2-2a-1-5. 북서태평양 지역 NCEP2 재분석자료에서 얻어진 상대습도의 기후값 143
그림 2-2-2a-1-6. YOTC 고해상도 재분석자료를 이용하여 추출된 태풍의 지면기압과 풍속의 합성도 143
그림 2-2-2a-1-7. 강한 태풍(중심기압 960 hPa 이하) 발달 전후의 해면기압, 풍속 및 해수면온도 144
그림 2-2-2a-1-8. 약한 태풍(중심기압 960 hPa 이상) 발달 전후의 해면기압, 풍속 및 해수면온도 145
그림 2-2-2a-1-9. 태풍 중심부근, 태풍 발달 전후의 (a) 지면기압, (b) 풍속, ©해수면온도편차 및 (d) 잠열속 146
그림 2-2-2a-1-10. 북서태평양몬순지수(북서태평양아열대고기압지수)와 북동아시아지역 강수지수의 시계열 및 9년 이동상관계수 146
그림 2-2-2a-2-1. Sargasso Sea에서 2년간(1994-1995) 풍속/pCO2 플럭스 변화 (Bates et al., 1998) 147
그림 2-2-2a-2-2. 2018년 11월 17일-27일에 이사부호에서 관측한 이산화탄소 플럭스 148
그림 2-2-2a-3-1. 데이터로거와 센서 간 데이터 교환 관련 교육 148
그림 2-2-2a-3-2. TRITON식 구조에서 센서와 데이터로거 간 연결 문제점 테스트 149
그림 2-2-2a-3. 해양-대기 플럭스 관측 부이 설치 해역 정밀 수심 조사 결과 (색깔 표시, 단위는 m임) 및 부이 설치 예정 지점(별 표시) 150
그림 2-2-2b-1-1. CTD/LADCP 조사 및 해류계 계류 지점. CPIES 계류는 서안경계류의 형성 과정에 영향을 주는 소용돌이 이동의 탐지를 목적으로 '연구선 공동활용연구' 과제에서 계류한 것임 151
그림 2-2-2b-2-1. 류큐 해역 해류계 계류 위치 151
그림 2-2-2b-3-1. (a) 2017년 11월에 투하한 표층뜰개의 3개월간 이동궤적. (b) 해수면고도와 표층뜰개 이동궤적의 상관성 152
그림 2-2-2b-3-2. (a) 북반구 겨울 (2017년 2월) 및 (b) 여름 (2017년 7월) 기간 민다나오 에디 분포 152
그림 2-2-2b-3-3. 단면 A (북위 6.5도)에서 CTD 자료로 계산한 열용량과 LADCP로 측정한 유속으로 계산한 열수송량(청색은 남쪽, 적색은 북쪽 수송량을 의미함) 153
그림 2-2-2b-3-4. 단면 B (북위 8도)에서 CTD 자료로 계산한 열용량과 LADCP로 측정한 유속으로 계산한 열수송량(청색은 남쪽, 적색은 북쪽 수송량을 의미함) 153
그림 2-2-2b-3-5. (왼쪽) 2차년도 관측 계획. 북위 8도상에 서안경계류 시계열 조사 계류지점임. 빨간 상자안의 번호는 성과목표로 제시한 항목번호임. (오른쪽) 관측점 번호 154
그림 2-2-2b-3-6. VM-SADCP에서 관측한 경도 131°E, 위도 3.24°N-13°N 유속 단면(상: 동서성분, 하: 남북성분) 155
그림 2-2-2b-3-7. VM-ADCP에서 관측한 수심별 유속 분포(좌: 112m, 우: 304m) 155
그림 2-2-2b-3-8. 관측 정점별 LADCP 관측 결과(P01~P08) 156
그림 2-2-2b-3-9. 지형류 단면도. (a) 표층부터 무류면(3,000m)까지의 지형류. (b) 표층부터 1,000m까지의 지형류 157
그림 2-2-2b-3-10. 열함량(Jㆍm-3)의 단면도. (a) 전체수심에 대한 열함량 분포. (b) 상층 1,000m의 열함량 분포 158
그림 2-2-2b-3-11. 열수송량(W)의 단면도. (a) 전체수심에 대한 열수송량 분포. (b) 상층 1,000m의 열수송량 분포 158
그림 2-2-2b-3-12. 미야코지마 서쪽에서 관측한 상층유속(상:동서방향, 중;남북방향)과 1000m 유속(하) 159
그림 2-2-2b-3-13. 6월~11월 기간 KCM1의 평균 유속 구조와 표준편차(a: 2015, b: 2016, c: 2017) 159
그림 2-2-2b-3-14. 20년 동안 쿠로시오 본류의 북동방향 수송량이 평균보다 1 표준편자 이상 클 때(a, c)와 1 표준편차 이상 작을 때(b, d) 해면고도(a, b) 및 해면고도 편차(c, d) 160
그림 2-2-2b-3-15. 자료동화 모형(HYCOM(적)과 FORA(청))에서 모의된 1993~2012년 동안 쿠로시오 변동성 비교: (a) 대만 동쪽, (b) 미야코지마 부근, (c) 큐슈 남서쪽 161
그림 2-2-2b-3-16. 미야코지마 부근 쿠로시오 변동성의 스펙트럼 비교 162
그림 2-3-1a-1. 1항차(좌) 및 2항차 관측점(우) 163
그림 2-3-1a-2. 하계조사 1 항차(좌)와 2 항차(우)에서 투하한 관측장비 파랑글라이더 및 표층부이 궤적. 배경색은 해수면고도(배경색)이며 태풍 Lingling 및 Hagibis 시기의 태풍 경로도 163
그림 2-3-1a-3. 1항차 시기에 관측한 단면 N (1행), A (2행), B (3행)에서의 1000m까지 수온(좌) 및 염분(우) 연직 분포를 나타냄 165
그림 2-3-1a-4. 2항차 시기에 관측한 W1 (126°E, 1행), W2 (126°E, 2행), W3 (126°E, 3행) 단면에서의 1000m 까지 수온(좌) 및 염분(우) 연직 분포를 나타냄 166
그림 2-3-1a-5. 반복 관측을 통해 획득한 E 단면 수온(좌) 및 염분(우)의 시간 변화를 나타냄 167
그림 2-3-1a-6. 관측영역 라디오존데로 관측된 기온 프로파일. (a) 2018년 (b) 2019년. 적색선은 2018년 평균 프로파일을 겹쳐서 그림 168
그림 2-3-1a-7. 관측영역 라디오존데로 관측된 상대습도 프로파일. (a) 2018년 (b) 2019년. 적색선은 2018년 평균 프로파일을 겹쳐서 그림 169
그림 2-3-1a-8. 관측영역 (a) 라디오존데 및 (b) 동일 위치와 시각의 NCEP2 재분석자료의 상대습도 프로파일. (c) 평균 프로파일 (d) 분산도 169
그림 2-3-1a-9. 1항차(위) 및 2항차(아래) 시기 전체 관측점에서의 열용량(OHC) 170
그림 2-3-1a-10. 태풍 SOUDELOR 통과에 따라 발생한 해수면(수치모형 수심 4m)에서의 준관성진동(2015년 8월 8일 0시 GMT). b, 태풍 SOUDELOR에 의해 나타난 수심 100m에서의... 172
그림 2-3-1b-1a. 관측기간중 해양로봇 파랑글라이더와 아고부이 투하지점 및 궤적 (검은실선:아고부이, 녹색 및 하늘색선: 파랑글라이더 부이, 청색원: csio 아고부이) 173
그림 2-3-1b-1b. 표층 부이 투하후 궤적 및 최종 지점(별표) 173
그림 2-3-1b-2a. 2019년 9월 투하한 이리듐 통신 방식 Argo 3기 (BF8509(적색), F8874(청색), F8875(녹색))와 태풍 링링 궤적 (배경은 2018년 11월 17일 기준 해면 고도 이상과 지형류) 174
그림 2-3-1b-2b. 양방향 통신 방식을 이용한 Argo Profiler의 작동 모드 (관측 주기 및 수심) 변경 이력 175
그림 2-3-1b-2c. 양방향 통신 Argo 프로파일러를 이용한 연직 수온/염분 구조의 시간 변화 175
그림 2-3-1b-2d. 세 개의 Argo Profiler로 관측한 T-S 다이어그램 176
그림 2-3-1b-2e. E단면 에디 주변에 투하한 아고 부이(청색)와 csio 투하 아고 궤적(에디동측 흰색 원 표기)(A 및 B). 아고 부이 산정 OHC (C). csio (D) 및 kiost (E) 아고 부이... 176
그림 2-3-1b-3. 관측기간중 투하(그림 2-2-1-2-1b)한 표층부이에 관측한 0.7m 높이에서 관측한 풍속 177
그림 2-3-1b-4a. 파랑글라이더 계류전 및 투하, 회수 모습. Airmar를 비롯한 기상센서와 해양센서 장착됨 177
그림 2-3-1b-4b. WG190 궤적상(그림 2-3-1b-1a 녹색선)에서 수집한 기상 및 해양 자료 및 열용량 178
그림 2-3-1b-5. 링링 예보진로(상), 9월4일경 예측치(좌하), 및 해수면고도 사정해류 및 태풍 해면기압(우하) 178
그림 2-3-1b-6a. 하기비스 통과시 약 1000km 서측에 설치된 WG190 관측점(좌) 및 ECMWF 예측 기압(등압선) 및 SSHa (color) (우) 179
그림 2-3-1b-6b. 조사해역 위도 20°N 통과시 하기비스 예측진로(우) 및 눈 인근 구름 발생 특성(우) 179
그림 2-3-1b-7. 태풍 하기비스 통과중 약 1200km 해상에서 관측된 수온, 염분, 계류수심 특성 180
그림 2-3-1b-8. WG187에 설치된 기상장비로부터 관측된 풍속, 풍향, 기온, 순간풍속, 대기압 변화 180
그림 2-3-1b-9. 고정밀 풍속계로부터 관측된 40Hz 풍속 u(상), v(중) 및 비습(하) 181
그림 2-3-1b-10a. 9월-10월 관측기간중 조사해역 인근을 통과한 4개 태풍의 위도별 최대풍속/급강화정도 181
그림 2-3-1b-10b. 파랑글라이더 동일위도 통과시점인 10월10일 SST, 풍속, 비습 및 잠열속 182
그림 2-3-1b-11. 저염수의 에디 중심 포획 특성. 2017년 B 단면의 염분(A) 및 수온(B) 연직 구조 183
그림 2-3-1b-12. 에디 관측점에서 전체 수층(검은색), 저염수층(청색)의 비율(적색선) 183
그림 2-3-1b-13. 적도해역에서 에디해역으로 저염수 유입 특성 183
그림 2-3-1b-14. 태풍 링링 급강화시 E단면 9월7-8일(하) 저염수 유입 특성 184
그림 2-3-1b-15. 태풍 통과시와 태풍전 위성관측 표층 수온차 184
그림 2-3-1b-3-1. 해양상층구조 산출 186
그림 2-3-1b-3-2. 관측자료 자료동화 187
그림 2-3-1b-3-3. 2018년 CTD 조사결과 188
그림 2-3-1b-3-4. NEMO 재분석 자료 188
그림 2-3-1b-3-5. 모델 B1 결과 188
그림 2-3-1b-3-6. 모델 B2 결과 188
그림 2-3-1b-3-7. 모델 B3 결과 188
그림 2-3-1b-3-8. 수온/염분 연직구조 비교 - 좌상: 계산초기, 우상: 관측시기(모델 B2), 하: 관측시기(모델 B3) 189
그림 2-3-1b-1-1. 2017~2019 주요 급강화 태풍 사례 진로 및 강도 변화와 단순 태풍모형으로 재현한 중심기압 및 최대풍속 변화 190
그림 2-3-1b-1-2. 2017~2019년 주요 급강화 태풍에 대한 단순태풍모형(CHIPS95)을 이용한 해양혼합층 두께 변화에 따른 태풍 강도 변화 민감도 실험(선: 모형, 점원: 관측추정치) 191
그림 2-3-1b-4-1. 위성인자의 시계열 분석을 위해서 사용한 위성 영상의 예시: a) Lan(2017)의 BT11의 분포, b) BT_area 계산을 위한 분석 영역 정의(하얀색 박스 영역)... 193
그림 2-3-1b-4-2. Lan(2017) 사례 위성 인자들의 시계열(청색): a) BT11_mean, b) BT_min, c) BT11_area. 태풍의 강도 변화(적색)를 나타내는 지상중심기압(a) 혹은 최대풍속... 194
그림 2-3-1b-4-3. 위 그림과 같으며, Talim(2017)의 사례임 195
그림 2-3-1b-4-4. Lan(2018) 급강화 전조 현상으로 나타나는 Convective burst 기간(P1) 동안 6시간 간격의 BT11의 분포 변화 195
그림 2-3-1b-4-5. JTWC best track의 태풍 Lan(2017) 단계별 경로 상의 (a) 해수면 온도와 (b) 해수면 온도 아노말리 분포 196
그림 2-3-1b-4-6. 그림 5와 같으나, Talim(2017) 사례임 197
그림 2-3-1b-4-7. 비강화 태풍인 Cristobal과 강화태풍인 Bertha의 대류구조 도식도(Nguyen et al. 2017) 197
그림 2-3-1c-1. 일수에 따른 RI 태풍의 평균 강도 변화 198
그림 2-3-1c-2. 고해상도 재분석자료에서 나타나는 RI태풍과 비RI 태풍에 대한 해수면온도 편차의 일수에 대한 변화 199
그림 2-3-1c-3. RI 태풍과 비RI 태풍에 대한 상대습도 프로파일의 차이 199
그림 2-3-1c-4. 생성모델에서 나타난 SST 변동에 따른 RI 태풍 발생확률변화 200
그림 2-3-1c-5. 엘니뇨 지수, PMM 지수 및 여름철 태풍발생빈도와 북서태평양아열대 고기압편차 201
그림 2-3-1c-6. PMM모드와 VM(Victoria Mode)모드에 GPI 변동성 및 GPI 변동에 대한 각 성분의 기여도 202
그림 2-3-1c-7. (좌) 전구 해양 평균운동에너지(ke)와 (우) 해수면(eta_nonbouss) (적분 100년 이후 ECMWF ERA40 경년변동 대기강제력에 기반하여 1958-1972년까지 적분함) 203
그림 2-3-1c-8. 1958년-1972년 기간 동안 평균된 북서태평양 아열대해역의 월평균 순압유선함수 분포 (2,4, 6, 8, 10, 12월) 204
그림 2-3-1c-9. 1958년-1972년 기간의 북서태평양 아열대해역 8월 평균해수면 아노말리 206
그림 2-3-1c-10. 19N에 따른 1958년-1972년 기간의 북서태평양 아열대해역 하계(7, 8, 9월) 평균해면고도 아노말리 변화 207
그림 2-3-1c-11. 북서태평양 아열대해역의 1958년-1972년 기간 하계(7, 8, 9월) 평균해면수온(상단)과 1970년(중단) 및 1972년(하단)의 하계(7, 8, 9월) 평균해면수온 208
그림 2-3-1c-12. 19N에 나란한 단면의 1958년-1972년 기간 하계(7, 8, 9월) 평균수온(상단)과 1970년(중단) 및 1972년(하단)의 하계(7, 8, 9월) 평균수온 208
그림 2-3-1c-13. 북서태평양 아열대해역의 1958년-1972년 기간 하계(7, 8, 9월) 평균현열속+잠열속(상단)과 1970년(중단) 및 1972년(하단)의 하계(7, 8, 9월) 평균현열속+잠열속 209
그림 2-3-1c-3-1. 태풍 Lan 급강화 (JTWC관측치(검은색)/예측치(시안색)) 209
그림 2-3-1c-3-2. 조사해역 SSHa 및 에디 분포 특성 (10월 23일 현재). 현장 조사 1개월 후인 10월 20일-21일경 태풍 Lan의 track을 함께 도시함. 검은 색 점은 CTD관측점 209
그림 2-3-1c-3-3. WRF모델로 계산된 9월 17일 12시(좌상)와 22일 18시(우상)의 잠열속 분포. (하)조사 중 관측된 잠열속(회색;1분 산정치 검정:filtering)과 WRF모델에 입력된... 211
그림 2-3-1c-3-4. (상) 2017년 10월 19일의 microwave 위성으로 관측한 SST와 HYCOM 모델 자료로부터 계산한 해양열용량(OHC). (하) 5가지 SST 자료를 이용하여 WRF로부터... 212
그림 2-3-2-1-1. 태풍 MANGKHUT의 최적강도(NRL) 및 강도예측 (JTWC, KMA, JMA) 213
그림 2-3-2-1-2. 태풍 TRAMI의 최적강도(NRL) 및 강도예측 (JTWC, KMA, JMA) 213
그림 2-3-2-1-3. 2018년 9월 22일의 태풍 TRAMI의 최적강도(NRL) 및 강도예측 (JTWC, HWRF, KMA, JMA) 214
그림 2-3-2-1-4. 태풍 KONG-REY의 최적강도(NRL) 및 강도예측 (JTWC, KMA, JMA) 215
그림 2-3-2-2-1. 태풍 노루(Noru) 강도 및 진로(우상) 관측치(RSMC, JTWC), 기관별 예측치(JTWC, JMA, KMA) 및 WRF모델 예측치 216
그림 2-3-2-2-2. 태풍 탈림(Talim) 강도 및 진로(우상) 관측치(RSMC, JTWC)와 기관별 예측치(JTWC, JMA, KMA) 216
그림 2-3-2-2-3. 태풍 란(Lan) 강도 및 진로(우상) 관측치(RSMC, JTWC)와 기관별 예측치(JTWC, JMA, KMA) 217
그림 2-3-2-2-4. WRF모델로 계산된 10월 19일 태풍 Lan의 연직적분 습도플럭스, 연직바람 shear(200-850hPa), latent flux (850hPa), 10m 풍속 218
그림 2-3-2-2-5. WRF를 이용한 2018년 9월 25일의 태풍 TRAMI 예측결과 219
그림 2-3-2-2-6. 2019년 8번 태풍 FRANCISCO 실험 결과 219
그림 2-3-2-2-7. 2019년 8번 태풍 FRANCISCO의 KIOST-ISF2-SN.NOAA 실험 결과 (8월 5일) 220
그림 2-3-2-2-8. 2019년 9번 태풍 LEKIMA 실험 결과 220
그림 2-3-2-2-9. 2019년 9번 태풍 LEKIMA의 KIOST-ISF2-SN.NOAA 실험 결과 (8월 7일) 221
그림 2-3-2-2-10. 2019년 13번 태풍 LINGLING 실험 결과 222
그림 2-3-2-2-11. 2019년 13번 태풍 LINGLING KIOST-ISF2-SN.NOAA 실험 결과 (9월 4일) 222
그림 2-3-2-2-12. 2019년 18번 태풍 MITAG 실험 결과 223
그림 2-3-2-2-13. (상) 2019년 각 실험 별 최대풍속, (하) JTWC 최대풍속시간일때의 각 실험 풍속 223
그림 2-3-2-4-1. WRF 실험 케이스(CK0, CK1 & CK2) 별 풍속에 따른 표층거칠기 및 엔탈피 계수 값 비교 224
그림 2-3-2-4-2. 표층거칠기 및 엔탈피 계수에 따른 WRF 모델 실험 결과 225
그림 2-3-2-4-3/그림 2-3-2-4-2. WRF 모델 실험 결과와 표층뜰개부이의 관측치와의 비교 225
그림 2-3-2-4-4/그림 2-3-2-4-3. WRF 모델 실험 경로 결과 225
그림 2-3-2-5-1. 태풍수치모델 저, 중, 고해상도 모델 도메인 226
그림 2-3-2-5-2. 2018년 태풍 TRAMI의 격자해상도별 태풍강도 실험 결과 226
그림 2-3-2-5-3. 2019년 태풍 LINGLING의 격자해상도별 태풍강도 실험 결과 227
그림 2-3-2-5-4. 물리모수화 옵션에 따른 태풍경로 변화 228
그림 2-3-2-5-5. Digital Filter 초기화 개념도 229
그림 2-3-2-5-6. Digital Filter 초기화 적용결과 229
그림 2-3-2-5-7. 전구파랑예측모델 (Wave Watch 3) 230
그림 2-3-2-5-8. 표층수온 합성 과정 231
그림 2-3-2-5-9. 태풍영역에 유입되는 습기에 따른 태풍의 급강화 기작 실험 조건 및 결과 231
그림 2-3-2-5-10/그림 2-3-2-5-9. 2010년부터 2018년까지 9개년도의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카테고리 3 이상의 RI태풍 232
그림 2-3-2-5-11/그림 2-3-2-5-10. (좌) 최대풍속 비교, (우) 최대풍속과 최대풍속 시기의 48시간 이전의 풍속과의 차이 비교 233
그림 2-3-2-5-12/그림 2-3-2-5-11. (좌) JTWC 최대풍속시간에서의 풍속의 비교, (우) JTWC 최대풍속시간일때의 풍속과 JTWC 최대풍속시간 48시간 전의 풍속의 차이 비교 234
그림 2-3-3a-1-1. 관측 경로(연두색) 및 라디오존데 관측 계획. 검정색 점은 CTD 관측 지점, 빨간색 세모는 CPIES 설치 지점 (회수 예정), 노란색 네모는 해류계 설치지점(회수 예정),... 235
그림 2-3-3a-1-2. 2018년 라디오존데 관측 및 동지점/동시각에서 NCEP2 재분석자료에서 나타난 상대습도 프로파일 236
그림 2-3-3a-1-3. 2018년 라디오존데 관측 및 동지점/동시각에서 NCEP2 재분석자료에서 나타난 상대습도 프로파일들의 평균 237
그림 2-3-3a-2-1. BSISO2 모드. OLR과 U850 편차의 MVEOF3과 MVEOF4 238
그림 2-3-3a-2-2. BSISO 모드의 위상 239
그림 2-3-3a-2-3. BSISO2 모드의 위상에 따른 120E-130E 평균한 OLR 편차 239
그림 2-3-3a-2-4. 북진하는 계절내변동에 대한 지연 합성(Jing et al., 2004) 240
그림 2-3-3a-2-5. 추출된 BSISO2 위상 4에 대한 OLR편차와 850hPa 소용돌이도 편차의 합성도 241
그림 2-3-3a-2-6. 위상 7인 것만 빼고 그림 2-3-3a-2-5와 같음 242
그림 2-3-3a-2-7. 120E-130E 평균 200 hPa 동서 바람에서 850hPa 동서바람을 뺀 기후값 242
그림 2-3-3a-3-1. 관측부이 계류 설계도(좌)와 설치할 관측부이(우) 243
그림 2-3-3b-3-1. 131˚E 정선의 CTD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지형류 단면. (a) 2017년 11월, (b) 2018년 11월. 기준면은 2000 db이며, 점선은 유속이 0cm/s를 나타내며, 실선은 등온선임 245
그림 2-3-3b-3-2. 131˚E 정선의 CTD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열용량과 2017년과 2018년 열용량 차이. (a) 2017년 11월 열용량, (b) 2018년 11월 열용량. 실선은 등온선임.... 246
그림 2-3-3b-3-3. 131˚E 정선의 CTD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열수송량 2017년과 2018년 열수송량 차이. (a) 2017년 11월 열수송량, (b) 2018년 11월 열수송량. 실선은 등온선임.... 246
그림 2-3-3b-4-1. HYCOM에서 모의된 쿠로시오 경로를 따른 쿠로시오 수송량(a; 대만동쪽, b; 동중국해 남부, c; 동중국해 북부). 굵은 흑색선은 140일 low-pass 필터된 수송량 247
그림 2-3-3b-4-2. 2015-2017년에 관측된 쿠로시오가 강한 시기(a)와 약한 시기(b)에 해당하는 해표면 높이의 합성장의 시간에 따른 변화(별표는 관측 위치) 247
그림 2-3-3b-4-3. 75-140일 band-pass 필터된 쿠로시오 변동성의 이동 지연 상관도(2년 폭, a; 대만동쪽과 동중국해 남부의 상관도, b; 동중국해 남부와 북부의 상관도)... 248
그림 2-3-3b-4-4. 75-140일 band-pass 필터된 동중국해 남부의 쿠로시오 수송량이 큰 시기(a)와 작은 시기(b)의 50m 해류 합성장. 화살표의 색은 해류 크기의 변화를 나타내고... 249
그림 2-3-3b-4-5. 2019년 6월 조사 정점도 249
그림 2-3-3b-4-6. KCM1의 해류계 회수 사진(a)과 2015년 6월부터 2019년 6월까지 관측된 해류 시계열(b) 250
그림 2-3-3b-4-7. KCM4의 계류도(a)와 계류 사진(b) 250
그림 2-4-1a-1. 1항차(좌) 및 2항차 관측점(우). 관측점은 검은 정점, 실선은 궤적을 나타냄 251
그림 2-4-1a-2. 8월 1(상)항차 및 9월 2(하)항차 CTD 관측점 및 해얌로봇 투하 지점 252
그림 2-4-1a-3. 2020년 1(위), 2(아래) 항차 기간 중 선박에 장착된 Automatic Weather System으로 부터 획득한 자료(왼쪽부터 기온, 상대습도, 기압, 바람)와 Thermosalinograph에서... 253
그림 2-4-1a-4. 1항차 1000m층 (N-C)단면 수온분포. 50m 상층 30도 이상 수온 특성 분포 254
그림 2-4-1a-5a. 1항차 N, A, B, C 단면의 표층-300m층까지 단면 수온 분포 254
그림 2-4-1a-5b. 1항차 300m층 연직단면 수온(상), 염분(하) 분포. 에디해역 상층에서 높은 수온이 점유함 255
그림 2-4-1a-6. 2항차 관측기간중 W1(상), W2(하) 300m층 단면에서의 단면 수온(좌) 및 염분(우) 분포 255
그림 2-4-1a-7. 2항차 관측기간중 N, A, AB, B 단면에서의 단면 수온 분포 256
그림 2-4-1a-8. 1항차 관측기간 전(좌)과 후(우) JJ06-JJ12 관측점 단면에서의 단면 수온(상), 염분(하) 분포 257
그림 2-4-1a-9. 두 개 항차 관측기간중 관측자료를 기반으로 한 1항차(좌) 및 2항차(우) 해양열용량 257
그림 2-4-1a-10. 태풍 및 아보부이 궤적(좌) 및 OHC 시간 변화(우) 258
그림 2-4-1b-1. 관측기간중 해양로봇 (파랑글라이더, 아고부이, 표층부이) 궤적 (노랑 삼각형: 파랑글라이더, 하늘색 원: 표층부이, 분홍 원: 아보부이). 파랑부이는 1, 2항차후... 259
그림 2-4-1b-2. 아고부이 궤적(2-4-1b-1)을 따른 200m 수온 연직 프로파일 시간변화 260
그림 2-4-1b-3. 표층부이(시작일, 최종일 표기)와 7개 태풍 궤적 261
그림 2-4-1b-4. 표층부이로부터 관측한 해면기압(상), 최대풍속(중) 및 표층수온(하) 262
그림 2-4-1b-5a/그림 409 2-4-1b-5a. 파랑글라이더 WG1, WG2, WG3 투하. 기상센서와 해양센서(CTD) 등이 장착됨 263
그림 2-4-1b-5b. WG1, WG2, WG3 이동궤적. WG2는 태풍영향하의 궤적이며, WG3가 계획한 궤적 263
그림 2-4-1b-6a. WG1-SV240에서 수집한 기상 및 해양 자료 및 산정된 열속(Latent heat flux) 263
그림 2-4-1b-6b. WG3-SV187에서 수집한 기상 및 해양 자료 및 산정된 열속 264
그림 2-4-1b-6c. WG3-SV218에서 수집한 기상 및 해양 자료 및 산정된 열속 264
그림 2-4-1b-6d. 8월 29일 ssha 배경 마이삭 진로(좌) 및 8월30일 적외선 Brightness temperature (우). WG2 관측시기에 마이삭은 열대폭풍으로 발달함 (좌측 적색점선 통과 시기) 265
그림 2-4-1b-7. a) 21.1°N 라인(N 라인) 관측 시기의 위성 기반 해수면 분포 및 표층 지형류, b) N 라인에서 획득한 유속 프로파일과 해당 염분(색), c) N 단면에서의 염분과 유속의 동서성분,... 266
그림 2-4-1b-8a. 2020년 발생한 8개 태풍의 위도별 태풍 풍속. 아사니 포함 2개 태풍이 추가로 발생함 267
그림 2-4-1b-8b. 2020년 8개 태풍 진로. 컬러는 해수변 변위(칼라) 267
그림 2-4-1b-9. 8월 29일 12시, 30일 0시, 12시, 24시(UTC)의 마이삭의 Brightness temperature 268
그림 2-4-1b-10. 마이삭시기 잔차해수위(등치선)과 표층염분(칼라) 268
그림 2-4-1b-11. 9월2일-3일(24시간) 급강화시기 태풍 하이선의 위성 관측 Brighttness temperature 269
그림 2-4-1b-12. 9월2일 표층염분(배경) 및 잔차변위(등치선)(좌). 짙은 경계 적색원은 슈퍼태풍을 나타냄. 9월3일 13시 급강화중 위성Bright temperature (우). 우측 그림에서... 269
그림 2-4-1b-13. 9월2일 표층염분(배경) 및 잔차변위(등치선)에 짙은 경계 적색원은 슈퍼태풍을 나타냄. 저염수 유입 추정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냄. 타원은 저염수 영향 난수성... 270
그림 2-4-1b-14. JTWC 31일 06시에 예측한 18시 예측치 140노트(좌) 및 위성 관측치 170노트 (우) 271
그림 2-4-1b-15. 태풍 고니 통과시 10월 29일(위) 및 31일(아래) 표층염분(배경) 및 잔차변위(적색등치선). 적색 점선은 난수성 에디를 나타냄. 숫자는 시간별 최대 풍속을 나타냄... 271
그림 2-4-1b-16. 아보 부이 궤적(좌) 및 수온ㆍ염분 관측 결과. 10월30일과 11월1일 아보위치를 그림 2-4-1b-15에 핑크색 별표로 나타냈으며, 현 그림에서도 표기함 272
그림 2-4-1b-17. 이사부호 관측 지난 4년간의 해양-대기 상호작용 요소의 연별 공간특성 변화 273
그림 2-4-1b-18. 이사부호 2020 8월 중순 해양열용량, 정규화된 열속 및 비습차이(Qs-Qa) 대기 비습(Qa) 273
그림 2-4-1b-19. 8월30일 70노트에서 8월31일 95노트로 준 급강화홤. 기타 그림 2-4-1b-15와 같음 274
그림 2-4-1b-20. 태풍돌핀 생성후 9월20일03시(KST)이후 모델(좌)/위성(우). 윗 그림에 JTWC 21시06시(UTC) 예측 275
그림 2-4-1b-21. 저염수 에디중심 포획 특성. 2017년 B단면 염분(A) 및 수온(B) 연직 구조 277
그림 2-4-1b-22. 2019년 8월 29-30일(상) 및 9월 7-8일(중) 수온(좌), 염분(우). 아래 그림은 상과 중 의 수온(좌)과 염분(우) 차이 277
그림 2-4-1b-23. 저염수 남북단면(a)Wn에서의 태풍(통과전(9월1일), 통과시(9월4일))의 Richardon no (b, e), 유속 기울기제곱 (c, f), 부력frequency (d, g)). 남북 중심지점에서... 278
그림 2-4-1b-24. 관측 E단면에서의 1차관측(8월29일-30일), 통과중 (9월04일-5일), 태풍 통과 후(9월7일-8일)의 역학적고도(ADT)(h)와 태풍 통과시 해표면 수온(i). 위성관측... 279
그림 2-4-1b-25. 2015-2019년 북서태평양 슈퍼태풍 진로(좌) 및 슈퍼태풍 급강화시 진로의 150-250km 각각 좌우폭 영역에 대한 영역평균 염분 및 영역평균 역학적 고도 anomaly 279
그림 2-4-1b-3-1. 개별자료 자료둉화(IPR) 개념과 코사인함수를 이용한 시간윈도 282
그림 2-4-1b-3-2. 2017년 수온 모델결과(좌상:A1, 좌하:A0), NEMO(우상), CTD(우하) 비교 283
그림 2-4-1b-3-3. 2017년 염분 모델결과(좌상:A1, 좌하:A0), NEMO(우상), CTD(우하) 비교 284
그림 2-4-1b-3-4. 2018년 수온 모델결과(좌상:A1, 좌하:A0), NEMO(우상), CTD(우하) 비교 284
그림 2-4-1b-3-5. 2018년 염분 모델결과(좌상:A1, 좌하:A0), NEMO(우상), CTD(우하) 비교 285
그림 2-4-1b-3-6. 2019년 수온 모델결과(좌상:A1, 좌하:A0), NEMO(우상), CTD(우하) 비교 285
그림 2-4-1b-3-7. 2019년 염분 모델결과(좌상:A1, 좌하:A0), NEMO(우상), CTD(우하) 비교 286
그림 2-4-1b-3-8. 2017년 수온 모델결과(빨강), CTD(파랑), NEMO(초록) 프로파일 비교 287
그림 2-4-1b-3-9. 2018년 수온 모델결과(빨강), CTD(파랑), NEMO(초록) 프로파일 비교 288
그림 2-4-1b-3-10. 2019년 수온 모델결과(빨강), CTD(파랑), NEMO(초록) 프로파일 비교 288
그림 2-4-1b-4-1. 2020 태풍 마이삭의 초기 해양혼합층 깊이에 따른 강도 변화 민감도 (기준실험(실선) 해양혼합층깊이 47m) 289
그림 2-4-1b-4-2. 대기중하층 습도 변화에 따른 2020 태풍 마이삭 강도 변화 민감도 (기준실험(실선) 대기중하층습도 71%) 290
그림 2-4-1b-4-3/그림 2-4-1b-4-2. 2020 태풍 마이삭의 경로상 이동속도에 따른 강도 변화 민감도 (기준실험(실선) 이동 속도 7m/s) 290
그림 2-4-1b-4-4/그림 2-4-1b-4-3. 2020 태풍 하이션의 초기 해양혼합층 깊이에 따른 강도 변화 민감도 (기준실험(실선) 해양혼합층깊이 67m) 291
그림 2-4-1b-4-5/그림 2-4-1b-4-4. 대기중하층 습도 변화에 따른 2020 태풍 하이션 강도 변화 민감도 (기준실험(실선) 대기중하층습도 71%) 291
그림 2-4-1b-4-6/그림 2-4-1b-4-5. 2020 태풍 하이션의 경로상 이동속도에 따른 강도 변화 민감도 (기준실험(실선) 이동속도 7m/s) 292
그림 2-4-1b-4-7/그림 2-4-1b-4-6. 2020 태풍 고니의 초기 해양혼합층 깊이에 따른 강도 변화 민감도 (기준실험(실선) 해양혼합층깊이 107m) 292
그림 2-4-1b-4-8/그림 2-4-1b-4-7. 대기중하층 습도 변화에 따른 2020 태풍 고니 강도 변화 민감도 (기준실험(실선) 대기중하층습도 69%) 293
그림 2-4-1b-4-9/그림 2-4-1b-4-8. 2020 태풍 고니의 경로상 이동속도에 따른 강도 변화 민감도 (기준실험(실선) 이동속도 5m/s) 293
그림 2-4-1b-5-1. (a)급강화 태풍(RI), (b)느린 강화 태풍(SI), (c)중립 태풍(NI) 태풍들의 강도변화 일 -5일에서 +4일까지 JTWC Best track 기반 강도 변화 294
그림 2-4-1b-5-2. Himwari-8 적외채널 영상에서 본 연구에서 정의한 대류 조직화 인자(TA, LPI, EMS) 정량화의 예시 296
그림 2-4-1b-5-3. 급강화 태풍(RI; 적색), 느린강화 태풍(SI; 청색), 중립(NI; 흑색) 태풍 분류별, 강화 전날부터 급강화 당일까지 (a)전반적인 대류 강도(ave_BT), (b)가장 강한... 297
그림 2-4-1b-5-4. 급강화 태풍(RI; 적색), 느린강화 태풍(SI; 청색), 중립(NI; 흑색) 태풍 분류별, 강화 전날부터 급강화가 일어나는 당일까지 대류의 조직 관련 위성 인자의 변화:... 297
그림 2-4-1c-1. 고해상도(0.5도) 기후모형에서 모의된 태풍 경로, 태풍진행빈도, 그리고 생성빈도 298
그림 2-4-1c-2. CESM2 기후모형의 Historical 모의에서의 태풍 경로 299
그림 2-4-1c-3. JASON 계절에서 관측과 CESM2 모형에서 모의된 해수면온도 편차의 분산 300
그림 2-4-1c-4. CESM2 JASON 계절의 해수면온도 편차에 대한 EOF 주요 모드의 고유 벡터와 주성분 300
그림 2-4-1c-5. CESM2 JASON 계절의 SSTI가 1 표준편차 이상의 양수인 경우(a)와 -1 표준편차 이하의 음수인 경우(b), 그리고 기후값에 대한 태풍 경로 빈도(passage frequency) 301
그림 2-4-1c-6. SSTI와 잠재강도의 상관계수 지도 302
그림 2-4-1c-7. SSTI와 태풍잠재생성지수의 상관계수 지도 302
그림 2-4-1c-8. 1958-2005년 기간 동안의 모델 전구평균해수면 변화 303
그림 2-4-1c-9. 1973년-2005년 기간 동안 평균된 북서태평양 아열대해역의 월평균 순압유선함수 분포 (상단 왼쪽부터 2, 4, 6월, 하단 왼쪽부터 8, 10, 12월, 단위 Sv; 10**6 ㎥/s) 305
그림 2-4-1c-10. 1973년-2005년 기간의 북서태평양 아열대해역 8월 평균해면고도 아노말리 306
그림 2-4-1c-11. 19N선 1958년-2005년의 북서태평양 아열대해역 하계(7-9월) 평균해면고도 아노말리변화 308
그림 2-4-1c-12. 북서태평양 아열대해역의 1973년-2005년 기간 하계(7, 8, 9월) 평균해면수온(상단)과 1986년(중단) 및 2001년(하단)의 하계(7, 8, 9월) 평균해면수온 308
그림 2-4-1c-13. 19N에 나란한 단면의 1973년-2005년 기간 하계(7, 8, 9월) 평균수온(상단)과 1986년(중단) 및 2001년(하단)의 하계(7, 8, 9월) 평균수온 309
그림 2-4-1c-14. 북서태평양 아열대해역 1973-2005년 기간 하계(7-9월) 평균현열속+잠열속(상단)과 1986년(중단) 및 2001년(하단)의 하계(7-9월) 평균현열속+잠열속 310
그림 2-4-2a-1-1. 관측 항로 및 라디오존데 비양 위치 311
그림 2-4-2a-1-2. 2020년 라디오존데 관측에서 나타난 기온과 상대습도 프로파일 312
그림 2-4-2a-1-3. 라디오존데, ERA5, NCEP2 재분석자료의 상대습도 평균 프로파일. 괄호는 사용된 프로파일의 개수 312
그림 2-4-2a-1-4. 라디오존데, ERA5, NCEP2 재분석자료의 기온 평균 프로파일. 괄호는 사용된 프로파일의 개수 313
그림 2-4-2a-1-5. 라디오존데와 NCEP2 재분석자료 편차의 분산도. 좌측 패널은 상대습도에 대한 것이며, 우층 패널은 기온에 대한 것임 313
그림 2-4-2a-1-6. 라디오존데, ERA5, NCEP2 재분석자료의 상당온위 평균 프로파일. 괄호는 사용된 프로파일의 개수 314
그림 2-4-2a-2-1. CESM2의 확장된 여름철(5월-10월)에 대한 일평균 OLR과 U850 편차의 다변량 EOF 패턴. (a) 첫 번째 모드, 그리고 (b) 두 번째 모드 315
그림 2-4-2a-2-2. 다변량 EOF PC1과 PC2의 지연상관계수 315
그림 2-4-2a-2-3/그림 2-4-2a-2-5. CESM2에서 나타나는 BSISO1의 위상에 따른 OLR 합성도 316
그림 2-4-2a-2-4/그림 2-4-2a-2-6. CESM2에서 나타나는 BSISO2의 위상에 따른 OLR 합성도 317
그림 2-4-2a-2-5/그림 2-4-2a-2-7. 확장된 여름철(5월-10월)에 대한 다변량 EOF PC의 변동성과 해수면온도 편차와의 상관계수 318
그림 2-4-2a-3-1. 대기관측부이 계류 작업(좌)과 계류된 관측부이(우) 319
그림 2-4-2a-3-2. 대기관측부이에서 관측한 대기환경변수 319
그림 2-4-2a-3-3. 대기관측부이에서 관측 중인 단파복사량(상)과 장파복사량(하) 320
그림 2-4-2b-1-1. 해류계 정점도 320
그림 2-4-2b-1-2. KCM4와 KCM3에서 관측한 유속 321
그림 2-4-2b-1-3. 해류계 계류도(a: KCM3, b: KCM3a, c: KCM4a) 321
그림 2-4-2b-1-4. MC1 정점의 재처리 전과 후의 ADCP 관측 자료. 약 2년 동안의 일평균 유속의 연직구조 변동성을 보여줌 322
그림 2-4-2b-1-5. MC1 정점의 동-서 방향 평균 유속(a), 남북방향 평균유속 (b) 그리고 eddy kinetic energy (c)의 연직구조 323
그림 2-4-2b-1-6. MC2 정점의 약 1년 동안의 일평균 유속의 연직구조 변동성을 보여줌. 실제의 관측 수심은 해류의 유속에 따라 깊어지는(계류선의 경사로 해석) 특성을 보이지만... 323
그림 2-4-2b-1-7. Band-pass (50~110일) filter를 적용한 MC1 정점의 층별 유속과 MC2 정점의 수심평균 유속의 시간 변동성. 상대적으로 관측 기간이 짧았던 MC2 정점의 한계로... 324
그림 2-4-2b-2-1. CTD 조사 정점 324
그림 2-4-2b-2-2. CTD 24개 정점의 수온-염분(왼쪽) 용존산소-염분 관계도(오른쪽) 325
그림 2-4-2b-2-3. P정선의 수온, 염분, 밀도, 용존산소 단면 분포. 흰색 등치선은 포텐샬 밀도임 327
그림 2-4-2b-2-4. S정선의 수온, 염분, 용존산소 단면. 흰색 등치선은 포텐샬 밀도임 328
그림 2-4-2b-2-5. 이사부 20-06 항차에서 관측한 P정선(왼쪽)과 S정선(오른쪽)의 지형류 분포. 무류면은 2000dbar를 가정. 검은색 등치선은 포텐샬 밀도이다. 붉은색은 동향류... 329
그림 2-4-2b-2-6. 38kHz VM-ADCP에서 관측한 2018년 11월 P-라인 연직 해류 분포 330
그림 2-4-2b-2-7. 38kHz VM-ADCP에서 관측한 2019년 12월 P-라인 연직 해류 분포 330
그림 2-4-2b-2-8. 38kHz VM-ADCP에서 관측한 2020년 5월 P-라인 연직 해류 분포 330
그림 2-4-2b-2-9. VM-ADCP에서 관측한 2020년 5월 P-라인과 S-라인의 수심별(56m, 158m, 160m, 400m) 해류 분포 331
그림 2-4-2b-3-1. (좌) Nino3.4 지수와 4.5°N-14.5°N, 131°E 단면에서의 열함량(적색점). 점선은 관측시기를 나타냄 (우) Nino3.4 지수와 열함량과의 관계. 점선은 선형회귀선임... 332
그림 2-4-2b-3-2. 4.5°N-14.5°N, 131°E 단면에서의 열수송량 332
그림 2-4-2b-3-3. 2017년-2020년 관측 자료로 계산한 남북단면상 열함량과 열함량 변화 비교 333
그림 2-4-2b-3-4. 4.5°N-14.5°N, 131°E 단면에서의 열수송량 334
그림 2-4-2b-4-1. 5일 평균 쿠로시오 수송량 지수(가는 실선)와 1년 이동평균(굵은 실선) 335
그림 2-4-2b-4-2. 1994~2019년 기간의 기후월평균 수송량지수 335
그림 2-4-2b-4-3. PN-line(녹색선)을 통과하는 쿠로시오 수송량이 큰 경우(좌)와 작은 경우(우)의 표층해류 합성장(회색 화살표는 신뢰도 90% 미만) 336
그림 2-4-2b-4-4. 하계(6~9월)에 PN-line(녹색선)을 통과하는 쿠로시오 수송량이 큰 경우(좌)와 작은 경우(우)의 표층해류 합성장(회색 화살표는 신뢰도 90% 미만) 337
그림 2-4-2b-4-5. 동계(12~3월)에 PN-line(녹색선)을 통과하는 쿠로시오 수송량이 큰 경우(좌)와 작은 경우(우)의 표층해류 합성장(회색 화살표는 신뢰도 90% 미만) 337
그림 2-5-1a-1. 조사기간 역학적 고도 시간 변화 338
그림 2-5-1a-2. CTD, xCTD 조사정점 및 해양로봇(표층부이, 아보부이, 파랑글라이더) 투하 및 라디오존데 발사 정점. 배경색은 8일 15일 역학적 고도(ADT) 편차 339
그림 2-5-1a-3. 2021년 8월 조사 기간 중 선박에 장착된 Automatic Weather System으로부터 획득한 자료(왼쪽부터 대기압, 상대습도, 기온)와 Thermosalinograph에서 얻어진 표층... 340
그림 2-5-1a-4a. 1000m층 (N-E)단면 수온분포. 29℃ 층은 실선, 26℃ 층은 점선으로 나타냄 340
그림 2-5-1a-4b. 1000m층 (N-E)단면 염분 분포. 34.0, 34.3 psu는 흰색 실선과 점선으로 나타냄 341
그림 2-5-1a-5. N, A 단면의 표층-200m층까지 단면 수온(위), 염분(아래) 분포 341
그림 2-5-1a-6. B, C 단면의 표층-200m층까지 단면 수온(위), 염분(아래) 분포 342
그림 2-5-1a-7. D, E 단면의 표층-200m층까지 단면 수온(위), 염분(아래) 분포 342
그림 2-5-1a-8. 20m(좌), 30m 층에서의 염분 공간분포. 바탕색은 역학적 고도(ADT) 편차(anomaly) 343
그림 2-5-1a-9. 2021년 8월 관측자료를 기반으로 산정한 해양 열용량(단위: KJ/cm2). 적색실선은 8월15일 및 20일의 ADT 편차를 나타냄 344
그림 2-5-1b-1-1. 관측기간중 해양로봇 (아고/아보부이(좌), 표층부이(우)) 궤적. 2020년 투하한 아고부이는 적색, 21년 투하한 아보부이 궤적은 청색선 표기. 6개의 표층부이 궤적(우)중... 345
그림 2-5-1b-1-2. 4월 역대 최강 태풍 수리개 통과시 마오부이 위치(좌측그림, 시안색)에서 관측된 수온 프로파일(우상) 및 OHC (우하) 346
그림 2-5-1b-1-3. 20년, 21년에 투하한 아고/아보부이 궤적 (적색점: 투하점, 녹색적: 21년 9월 10일 현재 위치). 검은 색 궤적은 태풍 찬투 궤적 346
그림 2-5-1b-1-4. 21년 9월 9일 태풍 찬투 통과시(흰타원, 좌) 21년 9월 9일 06시-9월 10일 06시 사이의 부이 위치(좌, 하연궤적상 청하늘색, 청색)에서 시간에 따른 OHC(중) 및 수온,... 347
그림 2-5-1b-1-5. 21년 9월 9일 태풍 민들래 통과시(흰타원, 좌) 21년 9월 25일 00:00-06:00 사이의 부이 위치(좌, 하연궤적상 청하늘색, 청색)에서 시간에 따른 OHC(중) 및 수온... 347
그림 2-5-1b-1-6. 21년 태풍 민들레 통과시 21년 9월 25일 06:00-12:00 사이의 부이 위치(좌)에서 시간에 따른 OHC(중) 및 수온, 염분 연직 분포(우) 348
그림 2-5-1b-1-7. 태풍 민들레 통과시 21년 9월 26일 18:00-24:00 사이의 부이 위치(좌)에서 시간에 따른 OHC(중) 및 수온, 염분 연직 분포(우) 348
그림 2-5-1b-1-8. 6개 표층부이 궤적 및 태풍(풍속 원 표기) 궤적 349
그림 2-5-1b-1-9. 6개 표층부이 궤적 및 태풍(풍속 원 표기) 궤적 350
그림 2-5-1b-1-10a. 21년 20.5°N에 투하한 파렁글라이더 WG1의 궤적(좌) 및 관측 결과(우). 녹색window 시간대는 설계한 T04 투하 인근을 이동하다가, 이후 적색 궤적(좌)은... 351
그림 2-5-1b-1-10b. WG1 자료분석에서 산출된 해양-대기 인자 및 잠열속(LHF)의 시간 변화 351
그림 2-5-1b-1-10c. 21년 TX03에서 투하한 파랑글라이더 WG2의 궤적(좌) 및 관측 결과 (우) 351
그림 2-5-1b-1-10d/그림 2-5-1b-1-10a. 조사선 장착 센서에서 관측된 기압, 상대습도(Relative humidity) 기압 352
그림 2-5-1b-1-10e/그림 2-5-1b-1-10b. 조사선 선수 센서 관측 해표면 및 대기 비습(Qs, Qa), 비습차 및 잠열속 (LHF) 352
그림 2-5-1b-1-10f/그림 2-5-1b-1-10c. 조사해역 해양-대기 상호작용 인자 비습(Qs, Qa), 비습차 및 잠열속 (LHF) 공간 분포 353
그림 2-5-1b-1-11. 2021년 11월까지 발생한 태풍의 위도별 풍속. 4월에 발생한 태풍 수리개가 최강 풍속을 기록함. 수리개는 역사상 역대 춘계 4월 최강 풍속(165노트)을 기록함 354
그림 2-5-1b-1-12. 2021년 11월까지 발생한 8개 태풍의 진로. 수리개, 찬투는 북위 17도 남측 북적도 해류구간에서 5등급으로 강화된 슈퍼태풍임. 유색선은 아고/아보 궤적임.... 355
그림 2-5-1b-1-13. 21년 4월 이사부호 진로상 표층수온(좌, 색깔)과 조사선에서 태풍 통과전에 발사한 라디오존데 관측 습도 결과(우) 356
그림 2-5-1b-1-14. 수리개 통과 해역의 역학적 고도(ADT)(좌), 표층염분(중, 배경색), 혼합억제지수(CI) 356
그림 2-5-1b-1-15. 4월 21일 00시경 아보 부이 관측점(좌, 녹색점), 위성관측 위치(중), 아보 관측 결과(우) 356
그림 2-5-1b-1-16. 21년 4월 17일 06시(좌) 및 18시(우) JTWC 예측 진로 풍속 357
그림 2-5-1b-1-17. 태풍 수리개 통과시 ADT 환경(좌) 및 마이크로웨이브 관측 풍속(우). 좌측그림의 회색선 및 원은 태풍 통과 궤적임 357
그림 2-5-1b-1-18. 9월 7일 찬투 JTWC 예측 진로(좌) 및 위도별 태풍 풍속 (NRL) 358
그림 2-5-1b-1-19a. 9월 7일 06일-8일 06시까지 최대 75노트 급강화(65-〉140) 시기의 위성 관측 겉보기 온도(Brighttness temperature) 358
그림 2-5-1b-1-19b. 9월 9일 18일-10일 18시까지 최강풍속 도달시까지 재급강화한 시기의 위성 관측 겉보기 온도(Brighttness temperature) 359
그림 2-5-1b-1-20. 찬투 최급강화 시기(7일6시-8월6시)의 표층염분(배경색) 및 역학적고도 편차(적색선). 검은 선은 태풍궤적(원은 태풍 등급, 앞 그림 참조). 검은색 박스는 급강화 시기 360
그림 2-5-1b-1-21. 9월 26일 최고 등급 도달 시점(26일 06시)의 민들레 위치 및 위도별 풍속 (NRL) 360
그림 2-5-1b-1-22. 9월 25일 급강화시 위성 겉보기 온도(Brighttness temperature) 361
그림 2-5-1b-1-23. 태풍 민들레가 급강화를 보인 9월 25일(검은박스) 염분(배경) 및 ADT anomaly(적색선) 361
그림 2-5-1b-1-24. Bulk식 (a), Andres et al.(2008) (b), Andres (2010) (c) 기반 해양-대기 엔탈피 플럭스 (Kowaleski and Evans, 2015) 362
그림 2-5-1b-1-25. 20년(상), 21년(하) 이사부호관측 8월 해양열용량, 정규화된 열속 및 비습차이(Qs-Qa) 363
그림 2-5-1b-1-26. 1984-2021 기간 3등급 이상 태풍의 위도별 누적일 분포(a), 태풍비시즌(12월-5월) 위도별 누적일(b), 급강화(〉30kts/24h 및 강한 급강화(〉60kts/24h) 공간분포(c).... 365
그림 2-5-1b-1-27. 2018 최강 태풍 망쿳 진로를 따른 1eh 평균 표층수온(SST)(a) 및 다위성 SST (b), SST cooling (c) 및 잠열속 (d). SST는 반경 200km 평균. 태풍시 냉각저해... 366
그림 2-5-1b-1-28. WOA자료 기반 120°E-150°E 평균 남북 수온(a), 염분(b) 및 산정된 북적도 해류(c). 수온(d) 및 염분(e) 기인 N2 및 열용량 (OHC)(f) 367
그림 2-5-1b-1-29. NEC 영역에서 통과한 태풍 통과 속도와 등급에 따른 SST 냉각 (a-f). SST 조건과 대서양에서 관측된 태풍 최강풍속 반경에서 대기 비습 조건값(19.5g/kg)... 368
그림 2-5-1b-2-1. 2020년 수온 모델결과(좌상:D1, 좌하:D0), NEMO(우상), CTD(우하) 비교 371
그림 2-5-1b-2-2. 2020년 염분 모델결과(좌상:D1, 좌하:D0), NEMO(우상), CTD(우하) 비교 371
그림 2-5-1b-2-3. 2021년 수온 모델결과(좌상:E1, 좌하:E0), NEMO(우상), CTD(우하) 비교 372
그림 2-5-1b-2-4. 2021년 염분 모델결과(좌상:E1, 좌하:E0), NEMO(우상), CTD(우하) 비교 372
그림 2-5-1b-2-5. 2020년 수온/염분 모델결과(빨강), CTD(파랑), NEMO(초록) 프로파일 비교 373
그림 2-5-1b-2-6. 2021년 수온/염분 모델결과(빨강), CTD(파랑), NEMO(초록) 프로파일 비교 374
그림 2-5-1b-3-1.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각 카테고리 태풍의 강도변화: MSWS(kt, 좌) 및 SLP(hPa, 우) 374
그림 2-5-1b-3-2/그림 2-5-1b-2. 급강화 태풍(RI; 적색선), 느린강화 태풍(SI; 청색선), 중립(NI; 흑색선)의 -3 Day에서 +1 Day 까지 대류 강도(Ave_BT, Min_BT, MAx_BT),... 376
그림 2-5-1b-3-3. 급강화 태풍(RI; 적색선), 느린강화 태풍(SI; 청색선), 중립(NI; 흑색선)의 -2 Day에서 +4 Day 연직바람쉬어의 변화 376
그림 2-5-1c-1-1. CMIP6 실험 디자인 377
그림 2-5-1c-1-2. CMIP6 SSP2-4.5 시나리오 기반 태풍잠재생성지수의 미래변화 378
그림 2-5-1c-1-3. 태풍잠재지수 및 환기지수 변화에 대한 상대적 기여도 378
그림 2-5-1c-1-4. 태풍경로를 따라 평균 환기지수에 대한 태풍발생 확률(Tang and Emanuel, 2012) 380
그림 2-5-1c-1-5. CMIP6 SSP2-4.5 시나리오 기반 태풍환기지수의 미래변화 380
그림 2-5-1c-1-6. 지역평균한 해수면온도편차(120-140E. 20-30N)와 태풍환기지수의 상관계수지도 381
그림 2-5-1c-2-1. 1958-2020년 기간 동안의 모델 전구평균해수면 변화(검은색 선). 빨간색 선은 미래기후변화(SSP5-8.5) 시나리오에 따라 예측된 해수면 변화 382
그림 2-5-1c-2-2. 북서태평양 아열대해역의 1981-2020년 기간 월평균 해면수온(좌)과 해면염분(우) (상-2월, 하-8월) 383
그림 2-5-1c-2-3. 북서태평양 아열대해역의 1981-2020년 기간 월평균 해면고도(좌)와 잠열(우) (상-2월, 하-8월) 384
그림 2-5-1c-2-4. 북서태평양 아열대해역의 1981-2020년 기간 월평균 수송량 유선함수 (좌상-2월, 우상-5월, 좌하-8월, 우하-11월) 385
그림 2-5-1c-2-5. 황해, 동중국해와 대한해협의 1981-2020년 기간 월평균 수송량 유선함수 (좌상-2월, 우상-5월, 좌하-8월, 우하-11월) 386
그림 2-5-1c-2-6. 1981-1990년 기간의 북서태평양 아열대해역 평균수송량 유선함수(좌상단)와 2011-2020년 기간의 평균수송량 유선함수(우상단) 및 그 차이(하단, 2011-2020년... 387
그림 2-5-1c-2-7. 1981년-2020년 기간의 북서태평양 아열대해역 8월 평균해면고도 아노말리 389
그림 2-5-1c-2-8. 19N에 따른 1981년-2020년 기간의 북서태평양 아열대해역 하계(7, 8, 9월) 평균 해면고도 아노말리 변화 391
그림 2-5-1c-2-9. 북서태평양 아열대해역의 1981년-2020년 기간 하계(7, 8, 9월) 평균해면수온과 1986년, 1997년, 2008년, 2013년 그리고 2020년 하계(7, 8, 9월)의 해면수온 분포 392
그림 2-5-1c-2-10. 19N에 나란한 방향의 1981년-2020년 기간 하계(7, 8, 9월) 평균수온 단면과 1986년, 1997년, 2008년, 2013년 그리고 2020년의 하계(7, 8, 9월) 평균수온 단면 394
그림 2-5-1c-2-11. 북서태평양 아열대해역의 1981년-2020년 기간 하계(7, 8, 9월) 평균 잠열속과 1986년, 1997년, 2008년, 2013년 그리고 2020년 하계(7, 8, 9월)의 평균 잠열속 396
그림 2-5-1c-2-12. 2008-2014년 기간(좌상단)과 2041-2050년 기간(우상단)의 평균수송량 유선함수 및 그 차이(하단, 2041-2050년 평균유선함수 마이너스 2008-2014년 평균유선함수) 398
그림 2-5-1c-2-13. 2008-2014년 기간(좌상단)과 2041-2050년 기간(우상단)의 평균해면고도 및 그 차이(하단, 2041-2050년 평균해면고도 마이너스 2008-2014년 평균해면고도) 399
그림 2-5-1c-2-14. 2008-2014년 기간(좌상단)과 2041-2050년 기간(우상단)의 평균해면수온 및 그 차이(하단, 2041-2050년 평균해면수온 마이너스 2008-2014년 평균해면수온) 400
그림 2-5-2-1-1. 표층거칠기 계수에 따른 태풍경로 및 급강화 예측 실험 (2020 태풍 하이센) 401
그림 2-5-2-1-2. HWRF에서 선택 가능한 풍속에 따른 항력계수(좌) 및 열습계수(우)] 401
그림 2-5-2-1-3. WRF 역학코어에 따른 급강화 태풍 실험 (2020 태풍 하이센) 402
그림 2-5-2-3-1. 2017년 하계 Warm Eddy의 이동에 따른 OHC 및 염분 수평분포 403
그림 2-5-2-3-2. 2017년 하계 Warm Eddy의 이동에 따른 OHC 및 염분 수평분포 403
그림 2-5-2-3-3. (좌)2019 태풍 Lekima와 (우)2019 태풍 LingLing의 JTWC Best Track 자료와 GLORYS의 자료 404
그림 2-5-2-3-4. (좌)2019 태풍 Lekima와 (우)2019 태풍 LingLing의 해면높이, 표층염분, 표층수온 및 OHC 평면분포 405
그림 2-5-2-3-5. 2015년~2019년 12개 RI태풍의 강화시점에서의 해면고도변이, 강화율, 표층수온, OHC, 염분변이 및 염분경향 산포도비교 406
그림 2-5-2-2-1. 2020년 RI 태풍의 기관별 예측치 407
그림 2-5-2-2-2. 격자해상도별 2020년 RI 태풍 급강화 재현실험 408
그림 2-5-2-5-1. 태풍 망쿳(201822)의 경로 409
그림 2-5-2-5-2. 2018년 이사부호의 라디오존데 관측 날짜 및 관측 지점 409
그림 2-5-2-5-3. 관측된 상대습도 및 표고높이에 따른 상대습도평균 409
그림 2-5-2-5-4. (상) NCEP자료만을 이용하여 계산한 북위 20도에서의 상대습도 수직분포, (하) 상대습도 평균치를 적용한 상대습도 수직분포 410
그림 2-5-2-5-5. (좌) NCEP자료만을 이용하여 계산한 북위 10, 15 및 20도에서의 상대습도 수직분포, (우) 상대습도 평균치를 적용한 상대습도 수직분포 410
그림 2-5-2-5-6. 상대습도 평균치를 적용한 실험 결과 411
그림 2-5-2-6-1. 이사부호 관측 기반 잠열교환량과 WRF모델로부터 계산된 잠열교환량의 비교 412
그림 2-5-2-6-2. 다양한 운동량, 열교환 모수화 적용 413
그림 2-5-2-6-3. Garratt 1992 모수화를 적용한 결과 비교 413
그림 2-5-2-6-4. COARE30 모수화를 적용한 결과 비교 414
그림 2-5-2-6-5. COARE35 모수화를 적용한 결과 비교 414
그림 2-5-2-6-6. 해양-태풍 접합효과 고려 태풍모델 체계 415
그림 2-5-2-6-7. 해양-태풍 접합효과 고려 태풍모델 체계의 결과 (2021년 태풍 수리개) 415
그림 2-5-2-8-1. 타겟 해역을 지나는 2010년부터 2020년까지의 카테고리3 이상의 태풍 태풍 경로 416
그림 2-5-2-8-2. 2010년부터 2020년까지의 카테고리3 이상의 태풍강화율 예측 정확도 산정 결과 416
그림 2-5-3a-1-1. 라디오존데 관측 지점 417
그림 2-5-3a-1-2.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북서태평양 지역에서 관측한 상대습도 프로파일 418
그림 2-5-3a-1-3. 라디오존데 관측과 ERA5의 상대습도 평균 프로파일 418
그림 2-5-3a-1-4. 태풍 수리개의 경로와 라디오존데 관측을 통한 태풍 잠재강도 419
그림 2-5-3a-2-1. 북서태평양 지역 계절내진동 변동성 상위 10개 해에 대한 BSISO1의 위상에 따른 상향장파복사 합성도 420
그림 2-5-3a-2-2. 북서태평양 지역 계절내진동 변동성 상위 10개 해에 대한 BSISO1의 위상에 따른 상향장파복사 합성도 421
그림 2-5-3a-2-3. 북서태평양 지역 계절내진동의 변동성의 하위 10개 해에 대한 BSISO1의 위상에 따른 상향장파복사 합성도 422
그림 2-5-3a-2-4. 북서태평양 지역 계절내진동의 변동성의 상위 10개 해에 대한 BSISO2의 위상에 따른 상향장파복사 합성도 423
그림 2-5-3a-2-5. 북서태평양 지역 계절내진동의 변동성의 하위 10개 해에 대한 BSISO2의 위상에 따른 상향장파복사 합성도 424
그림 2-5-3a-2-6. 북서태평양 지역 계절내진동의 변동성의 상위 10개 해 및 하위 10개 해에 대한 BSISO2의 위상에 따른 상향장파복사 합성도 425
그림 2-5-3a-2-7. 북서태평양 지역 계절내진동의 변동성의 상위 10개 해 및 하위 10개 해에 대한 동서바람 차이 425
그림 2-5-3a-2-8. 북서태평양 지역 계절내진동의 변동성의 하위 10개 해에 대한 해수면온도 편차 426
그림 2-5-3a-3-1. 대기 관측 부이 설치 위치(a)와 회수 전 관측 부이 사진(b). 적색점은 계류 위치를 나타내고 노란색 상자는 파손 부위를 나타냄 427
그림 2-5-3a-3-2. 대기 관측 부이에서 관측한 대기 변수. a) 풍속, b) 상대습도, c) 기온, d) 기압, e) 단파복사, f) 장파복사 427
그림 2-5-3a-3-3. 대기 관측 부이 타워 상층부 교체 작업(a)과 재계류된 대기 관측 부이(b) 428
그림 2-5-3a-3-4. 대기 관측 부이에서 관측한 대기 환경변수. a) 기온, b) 기압, c) 상대습도, d) 강수량, e) 풍속, f) 풍향, g) 단파복사, h) 장파복사 429
그림 2-5-3a-3-5. 관측 부이에서 관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산출한 현열속(a)과 잠열속(b) 430
그림 2-5-3b-1-1. 류큐해역 해류계 정점도 430
그림 2-5-3b-1-2. KCM3에서 관측한 유속(상)과 방향(하) 431
그림 2-5-3b-1-3. KCM3a에서 관측한 유속(상)과 방향(하) 431
그림 2-5-3b-1-4. KCM4에서 관측한 유속(상)과 방향(하) 432
그림 2-5-3b-1-5. KCM4a에서 관측한 유속(상)과 방향(하) 432
그림 2-5-3b-1-6. 저위도서안경계류를 관측하기 위한 계류 위치(왼쪽)과 계류 모식도(오른쪽) 433
그림 2-5-3b-1-7. (a) ADCP로 관측한 일평균 남북방향 속도의 수심에 따른 시간변화. (b) 남북방향 평균 관측 속도(빨간 실선)와 표준편차(파란 점선) (c) 관측된 남북방향 속도와... 434
그림 2-5-3b-1-8. 뉴기니 연안 잠류가 민다나오 남서쪽 수온약층 아래에 존재하는 고기압성 와류에 영향을 주고 와류는 민다나오 잠류에 영향을 주는 경로(빨간색) 모식도.... 434
그림 2-5-3c-2-1. CTD 조사정점 435
그림 2-5-3c-2-2. 이사부 21-05 항차에서 관측한 CTD 20개 정점의 수심에 따른 수온, 염분, 밀도, 용존산소 분포. 전체수심(왼쪽), 0-2000m (가운데), 4000-6100m(오른쪽) 436
그림 2-5-3c-2-3. 이사부 21-05 항차에서 관측한 CTD 20개 정점의 수온-염분(왼쪽) 용존산소-염분 관계도(오른쪽) 437
그림 2-5-3c-2-4. 이사부 21-05 항차에서 관측한 P정선의 수온, 염분, 용존산소 단면. 흰색 등치선은 포텐샬 밀도임 438
그림 2-5-3c-2-5. 이사부 21-05 항차에서 관측한 F정선의 수온, 염분, 용존산소 단면. 흰색 등치선은 포텐샬 밀도임 440
그림 2-5-3c-2-6. P정선(왼쪽)과 F정선(오른쪽)의 지형류 분포. 무류면은 2000dbar를 가정. 검은색 등치선은 포텐샬 밀도, 붉은색은 동향류, 파랑색은 서향류를 의미함 441
그림 2-5-3c-2-7. SADCP로 관측한 P 정선(131°E, 9°N-21°N) 해류 분포 441
그림 2-5-3c-2-8. SADCP로 관측한 F 정선(135°E, 12°N-17°N) 해류 분포 442
그림 2-5-3c-2-9. LADCP로 관측한 P 정선(131°E, 위도 9°N-21°N) 해류 분포 442
그림 2-5-3c-2-10. LADCP로 관측한 F 정선(135°E, 12°N-17°N) 해류 분포 443
그림 2-5-3c-3-1. P 정선(131°E 단면)의 열함량 분포(왼쪽)와 전년값과의 차이(오른쪽) 444
그림 2-5-3c-3-2. P 정선(131°E 단면)의 지형류(왼쪽)와 열수송량 분포(오른쪽) 445
그림 2-5-3c-3-3. (a) Nino 3.4 지수와 P 단면(9.5°N-14.5°N) 상층 500m의 열함량 변화. (b) Nino 3.4 지수와 열함량의 관계 446
그림 2-5-3c-3-4. (a) Nino 3.4 지수와 P 단면(9.5°N-14.5°N) 상층 500m의 열수송량 변화. (b) Nino 3.4 지수와 열수송량의 관계 446
그림 2-5-3b-4-1. 쿠로시오 경로(a; KCM1, b; KCM3a, c; KCM4)에서 직접 관측한 해류와 HYCOM 모의 결과 비교. KCM1은 2018년 6월~2019년 6월 기간을, KCM3a와... 447
그림 2-5-3b-4-2. 쿠로시오 경로에서 직접 관측한 해류(적색)와 HYCOM 모의 결과(청색)의 1년 평균 유속 비교(a; KCM1 (2018. 6~2019. 6), b; KCM3a (2020. 6~2021. 6),... 448
그림 2-5-3b-4-3. KCM1 단면(녹색선)을 통과하는 쿠로시오 수송량이 큰 경우(좌)와 작은 경우(우)의 표층해류 합성장(회색 화살표는 신뢰도 90% 미만) 449
그림 2-5-3b-4-4. KCM4 단면(녹색선)을 통과하는 쿠로시오 수송량이 큰 경우(좌)와 작은 경우(우)의 표층해류 합성장(회색 화살표는 신뢰도 90% 미만) 449
그림 2-5-3b-4-5. KCM1 단면(a, b)와 KCM4 단면(c, d)를 통과하는 쿠로시오 수송량이 큰 경우(a, c)와 작은 경우(b, d)의 100m 수심 해류 합성장(회색 화살표는 신뢰도 90% 미만) 450
그림 2-5-3b-4-6. KCM1 단면을 통과하는 쿠로시오 수송량이 큰 경우 50m(좌)와 100m(우) 수심의 수온 합성장(실선은 신뢰도 90%) 451
그림 2-5-3b-4-7. KCM4 단면을 통과하는 쿠로시오 수송량이 큰 경우 50m(좌)와 100m(우) 수심의 수온 합성장(실선은 신뢰도 90%) 451
그림 2-5-3b-4-8. KCM1 단면에서 쿠로시오 축의 위치가 외해쪽에 위치한 경우(좌)와 대륙붕쪽에 위치한 경우(우)의 표층해류 합성장(회색 화살표는 신뢰도 90% 미만).... 452
그림 2-5-3b-4-9. KCM4 단면에서 쿠로시오 축의 위치가 외해쪽에 위치한 경우(좌)와 대륙붕쪽에 위치한 경우(우)의 표층해류 합성장(회색 화살표는 신뢰도 90% 미만) 452
그림 2-5-3b-4-10. KCM1 단면(좌)과 KCM4단면(우)에서 쿠로시오 축의 위치가 대륙사면쪽에 위치한 경우 50m 수심의 수온 합성장(실선은 신뢰도 90%) 453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