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4
1. 서론: 탈냉전 질서의 종언과 다가올 질서의 불확실성 6
2. 대전환의 시대: 세계질서 변화의 7가지 트렌드 8
1. 글로벌 힘의 이동에 대한 충격. 미래질서의 불확실성과 변동성 극대화 8
2.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쇠락과 진영화 질서의 부상. 경제와 기술에 대한 안보적 고려 확대 10
3. 다극질서의 부상과 미중 영향권 경쟁: 전략적 가치의 상승과 자율성 제약의 동시화 11
4. 민족주의와 보호무역주의, 경제적 애국주의(economic patriotism)의 심화 11
5. 국제기구 역할에 대한 회의와 비판. 유사입장국 소다자주의(Like-Minded Minilateralism) 확대 12
6. 다수와 소수의 딜레마(Majority-Minority Dilemma). 비서구(Non-Western World)의 부상과 글로벌 민주주의 13
7. 가치규범 경쟁의 심화와 균열 14
3. 세계 학자들의 2050 미래 국제질서 전망: Probable vs. Preferred 17
1. 2050년, 가장 가능성 높은 미래 국제질서는? 17
2. 2050년, 가장 선호하는 미래 국제질서는? 21
4. 미래 국제질서에의 시사점과 제언 24
1. 강대국 경쟁에 대한 양면 인식 24
2. 전략적 자율성과 지역통합적 대응 추구 25
3. 다중, 복합 연대 전략 (Multi-alignment approach) 추구 25
4. Like Minded(유사입장국)의 부상과 논쟁적 질서의 부상. 소다자체제의 확대 26
5. 경제우선, 혁신우선주의 (Economy and Innovation First) 26
6. 선호미래를 위한 중견국 역할의 중요성 증대 27
7. 기후변화, 팬데믹 등 초국적 위기 대응을 위한 글로벌 협력 재강화 27
5. 결론: "2050년, 우리는 어떤 국제질서를 원하는가?" 28
참고문헌 30
판권기 2
〈그림 1〉 글로벌 GDP 순위 변화 전망, 글로벌 경제점유율 변화 전망 (2016→2050) 8
〈그림 2〉 글로벌 GDP 점유율 변화 전망(2000-2050) 9
〈그림 3〉 미중 양국의 GDP 변화 추세와 전망(2015-2035) 10
〈그림 4〉 지역별 인구변화 추세(1950-2022)와 전망(2022-2050) 13
〈그림 5〉 세계 민주주의 인덱스 (2022, EIU), 세계 러시아 제재 국가 (2023.4.5.일 현재) 1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