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Ⅰ. 서론 3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3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6

1. 연구목표 6

2. 연구내용 6

3. 연구 수행 방법 7

Ⅱ. 과거 주요 사이버위협 사례 및 최근 동향 9

제1절 해외 사이버위협 사례 9

제2절 우리나라 사이버위협 사례 12

제3절 사이버위협 동향 17

Ⅲ. 국제사회의 사이버 협력 관련 기구 20

제1절 국제기구를 통한 사이버 협력 21

1. UN GGE(정부 전문가 그룹) / OWEG(개방형 실무 그룹) 22

2. 국제전기통신연합(ITU) 25

3. 국제사이버안보다자간협력기구(IMPACT) 26

4. 세계사이버스페이스총회(GCGS) 27

제2절 지역 차원의 사이버 협력 28

1.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29

2.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31

3. 상하이협력기구(SCO) 31

4. 동남아국가연합(ASEAN) 32

제3절 양자 차원 및 기타 사이버 협력 35

Ⅳ. 주요국 사이버 국제협력을 포함한 대응전략 37

제1절 서방 주요국 대응전략 37

1. 미국 37

2. 영국 44

3. 독일 49

4. 캐나다 52

5. 이스라엘 57

제2절/제3절 한반도 주변국 대응 전략 60

1. 일본 60

2. 중국 63

3. 러시아 67

제3절/제4절 주요국들의 사이버 대응 전략이 주는 시사점 70

Ⅴ. 우리나라의 사이버안보 대응전략 및 국제협력 현황 73

제1절 사이버안보 대응전략 73

제2절 사이버 국제협력 현황 81

Ⅵ. 국방 분야 사이버 국제협력 발전방안 고찰 85

제1절 국방 사이버 국제협력 현황 85

제2절 국방 분야 국제협력 발전에 대한 정책적 제언 87

Ⅶ. 결론 98

참고문헌 100

표목차

[표 1] 사이버전 관련 주요 기관 및 인사의 예상 18

[표 2] 사이버 관련 이슈에 대한 각국의 입장차 22

[표 3] 국제사이버안보다자간협력기구 주무부처별 역할 27

[표 4] 미국 행정부별 사이버안보 전략의 특징과 한계 43

[표 5] 북한 해킹조직별 개요 76

[표 6] 우리나라의 「사이버안보 전략별 기본계획」의 주요내용 80

[표 7] 국방 사이버 국제협력 현황 85

그림목차

〈그림 1〉 UN GEE와 OEWG 조직 구성 및 중점분야 24

〈그림 2〉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조직 25

〈그림 3〉 미국 연방정부 사이버안보 관련 추진체계 38

〈그림 4〉 영국의 사이버안보 관련 추진체계 46

〈그림 5〉 독일의 사이버안보 관련 추진체계 50

〈그림 6〉 캐나다의 사이버안보 관련 추진체계 54

〈그림 7〉 이스라엘의 사이버안보 관련 추진체계 58

〈그림 8〉 일본의 사이버안보 관련 추진체계 62

〈그림 9〉 중국의 사이버안보 관련 추진체계 65

〈그림 10〉 러시아의 사이버안보 관련 추진체계 69

〈그림 11〉 북한의 사이버 관련 추진체계 75

〈그림 12〉 우리나라의 사이버안보 관련 조직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