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Ⅰ. 검토배경 2

Ⅱ. 주요국 디스인플레이션 현황 3

(1) 인플레이션 둔화 양상 및 속도, 목표와의 격차 3

(2) 품목별 디스인플레이션 기여도 및 물가상승 확산 정도 4

Ⅲ. 주요국 디스인플레이션의 차별화된 동인 6

Ⅳ. 향후 물가 흐름 및 리스크 요인 11

Ⅴ. 종합평가 및 시사점 15

[참고 1] 주요국 디스인플레이션 추이 17

[참고 2] 근원서비스 및 근원상품의 누적 물가상승률 18

[참고 3] 주요국 근원서비스물가 및 집세 추이 18

참고문헌 19

표목차

[표 1] 최근 정점 이후 소비자물가 및 근원물가 둔화 속도 3

그림목차

[그림 1] 소비자물가 및 근원물가 상승률 2

[그림 2] 과거 디스인플레이션 기간과의 비교 4

[그림 3] 물가상승률 품목성질별 기여도 분해 5

[그림 4] 물가상승률 세부품목 분포 5

[그림 5] 물가확산지수 5

[그림 6] 물가상승률의 수요ㆍ공급 요인분해 6

[그림 7] 글로벌 공급충격 7

[그림 8] 유가충격 이차파급영향 7

[그림 9] CPI상승률중 에너지 기여도 7

[그림 10] 주요국 팬데믹 재정투입 인플레이션 8

[그림 11] 주요국 초과저축 비율 8

[그림 12] 주요국 GDP갭률과 근원물가상승률 9

[그림 13] 주요국 경기민감근원물가 9

[그림 14] 테일러룰(Taylor rule) 이탈정도와 물가상승률 9

[그림 15] 경제활동 참가율 10

[그림 16] 빈일자리 비율(V/U) 변화 10

[그림 17] 명목임금 및 근원서비스물가 상승률 11

[그림 18] 단위노동비용 상승률 11

[그림 19] 명목 및 실질임금 상승률 11

[그림 20] 주요국 물가상승률 전망 12

[그림 21] 주요국 물가상승률 모멘텀 12

[그림 22] BB 모형을 이용한 주요국 소비자물가 상승률 예측 13

[그림 23] 국면별 인플레이션 지속성 14

[그림 24] 기대인플레이션 이탈정도 14

[그림 25] 국면별 환율의 물가 전가율 14

[그림 26] 주요국 물가상승률에 대한 시장전망 변화 15

[그림 27] 글로벌 통화정책 변화 15

참고그림목차

[그림 1-1] 주요국 소비자물가 및 근원물가 상승률 17

[그림 2-1] 누적 근원서비스물가 18

[그림 2-2] 누적 근원상품물가 18

[그림 3-1] 근원서비스물가 18

[그림 3-2] 집세 18

[그림 3-3] 집세 제외 근원서비스물가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