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장래인구추계(시도편): 2022~2052년 1

시도별 장래인구추계 결과(요약) 5

시도별 장래인구추계 결과 9

1. 시도별 총인구 9

2. 시도별 인구성장률 및 자연증가율 11

3. 시도별 중위연령 및 인구피라미드 14

4. 시도별 생산연령인구 19

5. 시도별 고령인구 21

6. 시도별 유소년인구 및 학령인구 23

7. 시도별 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26

시도별 장래인구추계 작성 방법 28

1. 인구 추계방법 28

2. 기준인구(2022년) 및 소급인구(2021년) 29

3. 출생 추계방법 30

4. 사망 추계방법 34

5. 이동 추계방법 37

6. 2022년 기준 시도별 장래인구추계 개선 사항 41

7. 시도별 장기추계(2052~2122년) 방법 및 결과 42

[통계표(2022~2052년)] 44

1. 시도별 총인구 및 구성비(중위추계), 2022~2052년 45

2. 시도별 남녀인구 및 성비(중위추계), 2022~2052년 47

3. 시도별 인구성장률 및 자연증가율(중위추계), 2022~2052년 50

4. 시도별 중위연령(중위추계), 2022~2052년 52

5. 시도별 생산연령인구 및 구성비(중위추계), 2022~2052년 55

6. 시도별 유소년인구 및 구성비(중위추계), 2022~2052년 57

7. 시도별 고령인구 및 구성비(중위추계), 2022~2052년 59

8. 시도별 학령인구(중위추계), 2022~2052년 61

9. 시도별 부양비 및 노령화지수(중위추계), 2022~2052년 66

10. 시도별 출생아수, 조출생률 및 합계출산율(중위추계), 2022~2052년 70

11. 시도별 사망자수, 조사망률 및 기대수명(중위추계), 2022~2052년 73

12. 시도별 순이동자수 및 순이동률(중위추계), 2022~2052년 78

13. 시나리오별 시도별 총인구 및 구성비, 2022~2052년 80

14. 시나리오별 시도별 유소년인구 및 구성비, 2022~2052년 84

15. 시나리오별 시도별 생산연령인구 및 구성비, 2022~2052년 88

16. 시나리오별 시도별 고령인구 및 구성비, 2022~2052년 92

17. 시나리오별 시도별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인구이동) 가정, 2022~2052년 96

[부록] 장래인구추계 개요 101

표목차

[표 1-1] 시도별 총인구 및 구성비, 2022~2052년 10

[표 1-2] 시도별 인구성장률과 자연증가율, 2022~2052년 13

[표 1-3] 시도별 중위연령, 2022~2052년 14

[표 1-4] 시도별 생산연령인구 및 구성비, 2022~2052년 20

[표 1-5] 시도별 고령인구 및 구성비, 2022~2052년 22

[표 1-6] 시도별 유소년인구 및 구성비, 2022~2052년 24

[표 1-7] 시도 학교급별 학령인구, 2022~2052년 25

[표 1-8] 시도별 총부양비, 유소년부양비, 노년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2022~2052년 27

[표 2-1] 시도별 인구, 2010~2022년 29

[표 2-2] 시도별 합계출산율 추이, 2000~2023년p 30

[표 2-3] 시도별 출생성비, 1990~2022년 31

[표 2-4] 시도별 합계출산율 추계 결과(중위), 2022~2052년 32

[표 2-5] 기대수명 추계 결과(중위), 2022년 및 2052년 36

[표 2-6] 시도별 순이동률 추이, 2014~2023년 37

[표 2-7] 시도별 주요 전ㆍ출입지, 2014년, 2019년, 2023년 38

[표 2-8] 국내인구이동 추계모형 개요 39

[표 2-9] 국내인구이동 연도별 가정설정 39

[표 2-10] 시도간 이동률 및 순이동자수 추계 결과(중위), 2022~2052년 40

[표 2-11] 연도별 시도 장래인구추계 방법론 비교 41

[표 2-12] 시도별 장기추계(2052~2122년) 결과 42

그림목차

[그림 1-1] 시도별 인구성장률, 2022년 및 2052년 11

[그림 1-2] 시도별 인구성장률, 2022년, 2035년, 2052년 12

[그림 1-3] 시도별 자연증가율, 2022년 및 2052년 12

[그림 1-4] 시도별 중위연령, 2022년 및 2052년 14

[그림 1-5] 시도별 인구피라미드, 2022년 및 2052년 15

[그림 1-6] 시도별 생산연령인구 증감률, 2022년 대비 2052년 19

[그림 1-7] 시도별 생산연령인구 구성비, 2022년, 2035년, 2052년 20

[그림 1-8] 시도별 고령인구 증감률, 2022년 대비 2052년 21

[그림 1-9] 시도별 고령인구 구성비, 2022년, 2035년, 2052년 22

[그림 1-10] 시도별 유소년인구 증감률, 2022년 대비 2052년 23

[그림 1-11] 유소년인구 구성비, 2022년, 2035년, 2052년 24

[그림 1-12] 시도별 총부양비, 2022년 및 2052년 26

[그림 2-1] 코호트요인법에 의한 시도별 장래인구추계 과정 28

[그림 2-2] 시도별 합계출산율 추이, 2000~2023년p 30

[그림 2-3] 시도별 연령별 출산율, 2012~2022년 31

[그림 2-4] 시도별 합계출산율 추이 및 추계 결과(중위), 2000~2052년 32

[그림 2-5] 시도별 연령별 출산율 추이 및 추계 결과(중위), 2012~2052년 33

[그림 2-6] 시도별 기대수명, 2011년(세종은 2014년), 2020년 34

[그림 2-7] 성별 시도별 기대수명 추이 및 추계 결과(중위), 1983~2052년 36

[그림 2-8] 총이동(1970~2023년) 및 시도간 이동추이(2000~2023년) 37

[그림 2-9] 시도별 순이동자수 추계결과(중위), 2000~2052년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