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2

Ⅰ. 해외 CCS 저장소 확보의 필요성 3

Ⅱ. 동남아 주요 국가의 CCS 허브(hub) 정책 및 산업 현황 6

1. 말레이시아 6

2. 인도네시아 8

3. 우리 기업이 참여하는 동남아 지역 탄소 포집 및 저장 프로젝트 10

Ⅲ. 크로스보더 CCS 프로젝트의 경제성 논의 13

Ⅳ. 시사점 19

참고문헌 20

〈표 1〉 우리 정부의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 목표 3

〈표 2〉 CO₂ 저장소 평가 단계의 기준과 체계 4

〈표 3〉 단계별 국내 CO₂ 저장 유망구조 규모 5

〈표 4〉 국가 에너지 전환 로드맵(NETR) 기본 구조 6

〈표 5〉 인도네시아 CCS/CCUS 프로젝트 현황(EOR, EGR 포함) 9

〈표 6〉 CO₂ 1톤당 포집 비용 14

〈표 7〉 시나리오별 저장 비용 비교 17

〈그림 1〉 국내 CO₂ 저장소 유망구조 분포도 5

〈그림 2〉 6대 에너지 전환 과제의 시기별 실천 계획 7

〈그림 3〉 인도네시아 CCS/CCUS 프로젝트 분포 지도 10

〈그림 4〉 셰퍼드 프로젝트 개념도 11

〈그림 5〉 CCS 사업 비용 산출의 대표 사례와 일반적 비용 산출 13

〈그림 6〉 연도가스 내 CO₂ 분압에 따른 포집 비용 비교 14

〈그림 7〉 CO₂ 포집 비용(캐나다) 15

〈그림 8〉 CO₂ 운송 비용 비교(해상 파이프라인 vs. 선박) 15

〈그림 9〉 운송 형태 및 수송량에 따른 CO₂ 운송 비용 비교(추정) 16

〈그림 10〉 허브 구축 CCS 프로젝트와 단독 CCS 프로젝트 비용 비교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