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1. 미국의 대외경제정책 방향 3

2. 미국의 대중국 관세정책 평가 4

가. 미국의 대중국 관세정책과 미국 수입시장 변화 4

나. 미국의 대중국 관세정책이 한국의 대미 수출에 미친 영향 6

다. 미국의 대중국 관세정책이 중국의 대미 간접수출(부가가치수출)에 미친 영향 8

3. 글로벌 관세정책(전망 1) 10

가. 분석 시나리오 10

나. 분석방법 및 자료 11

다. 분석 결과 13

4. 공급망 재편정책: 지경학적 공급망 블록화(전망 2) 15

가. 분석 시나리오 15

나. 분석방법 및 자료 17

다. 분석 결과 18

5. 시사점 19

표목차

표 1.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부의 301조 관세 부과 현황 5

표 2. 분석대상 시나리오 10

표 3. 보편관세 및 상호관세에 따른 한국의 수출 감소효과 13

표 4. 글로벌 관세정책에 따른 주요국의 대미 수출효과 14

표 5. 보편관세 및 상호관세가 한국 실질GDP에 미치는 영향 15

표 6. 분석 대상 시나리오 17

표 7. 시나리오별 주요국의 후생 변화 18

표 8. 주요 대미 무역흑자 품목 20

그림목차

그림 1. 미국 수입시장에서 국가별 비중 추이(2012~23년) 6

그림 2. 대중국 관세 부과가 중국과 한국의 대미 수출에 미치는 영향 7

그림 3. 미국의 대중국 관세 부과 전후 제3국 대미 수출에 포함된 중국 부가가치 변화(2012~22년) 8

그림 4. 주요 지역별ㆍ국가별 대미 수출에 포함된 중국 부가가치의 변화(2012~22년) 9

글상자목차

글상자 1. 미국의 대중국 관세 부과에 따른 대한국 무역전환효과 추정 6

글상자 2. 미국의 대중국 관세 부과 이후 제3국 대미수출에 포함된 중국 부가가치의 추세변화 추정 9

글상자 3. 산업별 수출효과 분석 방법 12

글상자 4. CGE 분석 방법 12

글상자 5. 트럼프 1기의 관세정책과 보편관세 및 상호관세의 인플레이션 영향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