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개요 3

1.1. 작성 배경 3

1.2. 기술의 정의 및 범위 6

제2장 기술 동향 8

2.1. 주요 민ㆍ군 레이다 기술 8

2.2. 글로벌 기술 개발 동향 13

2.3. 국내 기술 개발 동향 16

제3장 산업 동향 19

3.1. 글로벌 산업 및 기업동향 19

3.2. 국내 산업 및 기업동향 23

제4장 정책 동향 27

4.1. 글로벌 정책 동향 27

4.2. 국내 정책 동향 29

제5장 R&D 투자 동향 32

5.1. 글로벌 R&D 투자 동향 32

5.2. 국내 R&D 투자 동향 34

제6장 결론 41

6.1. 요약 및 정리 41

6.2. 시사점 43

참고문헌 46

표목차

〈표 1〉 주요 센서별 활용 전자파 및 특징 4

〈표 2〉 본 브리프에서의 기술 분류 7

〈표 3〉 2020-2023 레이다 시장 현황 19

〈표 4〉 2024-2029 레이다 시장 전망 20

〈표 5〉 방위사업청 주관 레이다 관련 주요 양산사업 24

〈표 6〉 레이다 분야 주요 기업별 사업영위분야 26

〈표 7〉 국방전략기술별 레이다 기술 발전방향 30

〈표 8〉 레이다 분야 무기체계 단독개발사업 34

〈표 9〉 레이다 분야 무기체계 부체계단위 개발사업 34

〈표 10〉 2019-2023년 우주분야 부처별 연구비 투자현황 36

〈표 11〉 방위사업청 주관 우주분야 레이다 개발사업 38

〈표 12〉 2019-2023년 교통분야 부처별 연구비 투자현황 38

그림목차

[그림 1] 전자파의 분류 4

[그림 2] 항공기 레이다(좌) 함정 레이다(중간), 위성 레이다(우) 형상 비교 6

[그림 3] 펄스레이다(좌) 및 FMCW 레이다(우) 거리측정 원리 비교 8

[그림 4] 물체의 크기ㆍ형상에 따른 RCS 비교 9

[그림 5] 송수신 모듈 수에 따른 안테나의 전파 이득 비교 10

[그림 6] 시간지연(좌) 및 위상조절(우) 방식을 통한 빔 조향방법 11

[그림 7] 기계식 레이다(좌)와 위상배열레이다(우) 형상 비교 11

[그림 8] 합성개구레이다 원리 12

[그림 9] LTAMDS 레이다 13

[그림 10] TRML-4D 방공레이다(좌) 및 전술다기능 레이다(우) 형상 14

[그림 11] Umbra社 SAR 위성(좌) 및 동 위성의 촬영영상(우) 14

[그림 12] 이탈리아 COSMO-SkyMed Second Generation(CSG-2) SAR 위성 15

[그림 13] Sentinel1-C SAR 위성(좌) 및 동 위성의 촬영영상(우) 15

[그림 14] 레이다 비전 주차 솔루션 16

[그림 15] L-SAM 다기능 레이다(좌) 및 장거리 레이다(우) 17

[그림 16] 디지털 레이다 글로벌 시장현황 및 추이 20

[그림 17] 디지털 레이다 글로벌 시장현황 및 추이 21

[그림 18] GM200 MM/C 대포병레이다 22

[그림 19] 기존 천궁-Ⅱ 레이다(좌) 및 수출형 레이다(우) 24

[그림 20] 2019-2023년간 연구수행주체 별 국방분야 과제 분포 35

[그림 21] 2019-2023년간 연구 단계별 국방분야 과제 분포 35

[그림 22] 2019-2023년 부처별 우주분야 레이다 연구개발 투자현황 36

[그림 23] 2019-2023년 수행주체별 우주분야 레이다 R&D 정부투자규모(좌) 및 과제수(우) 37

[그림 24] 2019-2023년 연구단계별 우주분야 레이다 R&D 투자규모(좌) 및 과제수(우) 37

[그림 25] 2019-2023년 부처별 교통분야 레이다 연구개발 투자현황 39

[그림 26] 2019-2023년 수행주체별 교통분야 레이다 R&D 정부투자규모(좌) 및 과제수(우) 39

[그림 27] 2019-2023년 연구단계별 교통분야 레이다 R&D 투자규모(좌) 및 과제수(우)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