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3

Ⅰ. 검토배경 5

Ⅱ. 부산지역 항만물류산업의 위상 및 현황 6

1. 개요 6

2. 위상 7

3. 현황 11

Ⅲ. 부산지역 항만물류산업과 부산경제 14

1. 입지계수 등으로 살펴본 부산지역 항만물류산업 특화도 14

2. 부산지역 항만물류산업 성장요인 분석 15

3. 항만물류산업이 부산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

Ⅳ. 평가 및 향후 발전방안 23

1. 종합평가 23

2. 향후 발전방안 24

[참고 1] 부산항 북항ㆍ신항 부두 운영 현황 29

[참고 2] 주요 산업별 해외수요증가에 따른 부가가치유발효과 30

[참고 3] 부산지역 항만물류산업 관련 주요 연구 31

[참고 4] 변이할당분석(Shift-share Analysis) 방법론 개요 32

참고문헌 34

[표 Ⅱ-1] 항만물류산업 정의 6

[표 Ⅱ-2] 부산항 지역별 정기노선 현황 7

[표 Ⅱ-3] 국내 주요 항만별 기항 선사 및 항로 8

[표 Ⅱ-4] 세계 주요 환적항만 물동량(컨테이너 기준) 8

[표 Ⅱ-5] 물류서비스업 부문별 종사자 수 13

[표 Ⅲ-1] 해상화물운송업 변이할당분석 결과(1) 16

[표 Ⅲ-2] 물류시설운영업 변이할당분석 결과(1) 17

[표 Ⅲ-3] 물류서비스업 변이할당분석 결과(1) 17

[표 Ⅲ-4] 해상화물운송업 변이할당분석 결과(2) 18

[표 Ⅲ-5] 물류시설운영업 변이할당분석 결과(2) 19

[표 Ⅲ-6] 물류서비스업 변이할당분석 결과(2) 19

[표 Ⅲ-7] 부산 항만물류산업의 성장이 부산지역 경제성장 지표에 미치는 영향 회귀분석 결과(1) 21

[표 Ⅲ-8] 부산 항만물류산업의 성장이 부산지역 경제성장 지표에 미치는 영향 회귀분석 결과(2) 22

[표 Ⅳ-1]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 전망 25

[표 Ⅳ-2] 한국의 국경 간 전자상거래 3대 국가 수출입 추이 28

[그림 Ⅰ-1] 국내 항만별 전체ㆍ환적 컨테이너 물동량 5

[그림 Ⅰ-2] 부산지역 업종별 매출액 비중 5

[그림 Ⅱ-1] 북항, 신항 개장 연혁 및 컨테이너선 처리 실적 7

[그림 Ⅱ-2] 전국 산업별 해외수요 증대에 따른 부가가치 유발효과 9

[그림 Ⅱ-3] 부산지역 산업별 해외수요 증대에 따른 부가가치 유발효과 9

[그림 Ⅱ-4] 부산 전산업ㆍ운수 및 창고업 산출액 증가율 및 운수 및 창고업 기여율 10

[그림 Ⅱ-5] 부산 전산업ㆍ운수 및 창고업 부가가치 증가율 및 운수 및 창고업 기여율 10

[그림 Ⅱ-6] 부산 전산업ㆍ운수 및 창고업 매출액 증가율 10

[그림 Ⅱ-7] 전국ㆍ부산 운수 및 창고업 위상 10

[그림 Ⅱ-8] 전체운수업 대비 항만물류산업 비중 11

[그림 Ⅱ-9] 부산지역 항만물류산업의 전국대비 비중 11

[그림 Ⅱ-10] 물류시설운영업 종사자 1인당 부가가치 12

[그림 Ⅱ-11] 물류서비스업 종사자 1인당 부가가치 12

[그림 Ⅱ-12] 전국ㆍ부산 해상화물운송업 종사자 추이 12

[그림 Ⅱ-13] 부산의 외ㆍ내항화물운송업 종사자 수 12

[그림 Ⅱ-14] 물류시설운영업ㆍ서비스업 지역별 종사자 13

[그림 Ⅲ-1] 시도별 항만물류산업 특화도 14

[그림 Ⅲ-2] 해상화물운송업 변이할당분석 결과(1) 16

[그림 Ⅲ-3] 물류시설운영업 변이할당분석 결과(1) 17

[그림 Ⅲ-4] 물류서비스업 변이할당분석 결과(1) 17

[그림 Ⅲ-5] 해상화물운송업 변이할당분석 결과(2) 18

[그림 Ⅲ-6] 물류시설운영업 변이할당분석 결과(2) 19

[그림 Ⅲ-7] 물류서비스업 변이할당분석 결과(2) 19

[그림 Ⅲ-8] 부산 항만물류산업 성장률과 부산 GRDP 증가율 상관관계(좌: 종사자 수, 우: 유형고정자산) 20

[그림 Ⅳ-1] 글로벌 환적 물동량 및 비중 변화 추이 25

[그림 Ⅳ-2] 한국의 국경 간 전자상거래 규모 추이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