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12
요약문 4
Executive Summary 6
제1장 성과분석 개요 27
제1절 성과분석의 배경 및 필요성 28
1. 성과분석 배경 28
2. 성과분석 필요성 28
제2절 성과분석의 내용 및 방법 30
1. 성과분석 내용 30
2. 성과분석 방법 30
가. 성과분석 프레임 30
나. 성과분석 추진전략 31
제2장 고리1호기 기기/설비활용 원전 안전기술 실증사업 33
제1절 사업개요 34
1. 사업의 추진목적 및 정부 지원의 적절성 34
가. 사업추진의 배경 및 필요성 34
나. 상위계획과의 부합성 36
다. 성과계획의 적절성 39
라. 사업목적과 사업내용의 연계성 41
2. 사업 추진체계의 적절성 44
가. 외부 환경변화 대응의 타당성 44
나. 사업 추진체계 및 프로세스의 적절성 47
3. 사업 투자전략의 적절성 49
가. 사업투입현황 분석 49
나. 투자포트폴리오의 적절성 49
제2절 사업 효율성 분석 51
1. 성과조사 결과 51
가. 성과조사 개요 51
나. 과학적 성과 52
2. 사업의 목표 대비 달성도 53
가. 사업의 성과목표ㆍ지표별 목표 달성 현황 53
나. 단계별 성과목표 달성내용 요약 53
3. 단계별 세부 달성 내용 54
가. (성과목표1-1단계) 「인출부품 시험편 원격 제작 기술/장비 구축 및 미세분석 기술 확보」 54
나. (성과목표1-2단계) 「인출부품 실증 시험평가 체계 구축 및 검증」 60
4. 부처 내 또는 타부처 사업과의 유사ㆍ중복성 66
가. 고리1호기 기기/설비활용 원전안전기술 실증사업과 선행사업과의 차별성 66
나. 타사업과 고리1호기 기기/설비활용 원전안전기술 실증사업의 상호연계성 67
5. 사업 대표성과 68
가. 선정 개요 68
나. 대표성과 사례별 분석 69
6. 사업성과의 활용ㆍ확산을 통한 파급효과 87
가. 경제적 파급효과 87
나. 사회적 파급효과 87
제3절 종합분석 89
1. 종합분석 결과 89
가. 사업추진의 적절성 89
나. 사업 추진체계의 체계성 91
다. 사업수행의 효율성 및 효과성 92
2. 사업 개선방안 93
가. 사업의 성공요인 93
나. 사업개선 필요사항 93
제3장 고준위폐기물관리 차세대혁신기술개발사업 95
제1절 사업개요 96
1. 사업의 추진목적 및 정부 지원의 적절성 96
가. 사업추진의 배경 및 필요성 96
나. 상위계획과의 부합성 98
다. 성과계획의 적절성 99
라. 사업목적과 사업내용의 연계성 101
2. 사업 추진체계의 적절성 103
가. 외부 환경변화 대응의 타당성 103
나. 사업 추진체계 및 프로세스의 적절성 106
3. 사업 투자전략의 적절성 108
가. 사업투입현황 분석 108
나. 투자포트폴리오의 적절성 108
제2절 사업 효율성 및 효과성 분석 111
1. 성과조사 결과 111
가. 과학적 성과 111
나. 기술적 성과 112
다. 사회경제적 성과 114
2. 사업의 목표 대비 달성도 116
3. 성과목표별 세부 달성 내용 118
가. (성과목표1) 「국내 환경에 최적화된 처분개념과 핵종 관리공정 및 범용(generic) 안정화 고화체 제조기술의 연계ㆍ최적화를 통한 처분면적 저감 고준위폐기물 안전관리 솔루션 도출」 세부 달성내용 118
나. (성과목표2) 「향후 기술진보를 고려하여 국내 환경에 적합하고, 처분안전성 강화가 가능한 혁신적이고 친환경적인 차세대 고준위폐기물 관리 기술개발」 세부 달성내용 118
다. (성과목표3) 「특성분석, 고방사선환경 공정모니터링, 구조물 감시/진단 관련 기반 기술 확보를 통한 처분 수용성 증진」 세부 달성내용 119
4. 부처 내 또는 타부처 사업과의 유사ㆍ중복성 120
5. 사업 대표성과 123
가. 선정 개요 123
나. 대표성과 사례별 분석 124
6. 사업성과의 활용ㆍ확산을 통한 파급효과 133
가. 경제적 파급효과 133
나. 사회적 파급효과 134
제3절 종합분석 135
1. 종합분석 결과 135
가. 사업추진의 적절성 135
나. 사업 추진체계의 체계성 136
다. 사업수행의 효율성 및 효과성 136
2. 사업 개선방안 137
가. 사업의 성공요인 137
나. 사업운영 개선 필요사항 137
제4장 데이터과학기반 차세대 비파괴검사기술개발 139
제1절 사업개요 140
1. 사업의 추진목적 및 정부 지원의 적절성 140
가. 사업추진의 배경 및 필요성 140
나. 상위계획과의 부합성 143
다. 성과계획의 적절성 144
라. 사업목적과 사업내용의 연계성 146
2. 사업 추진체계의 적절성 148
가. 외부 환경변화 대응의 타당성 148
나. 사업 추진체계 및 프로세스의 적절성 150
3. 사업 투자전략의 적절성 152
가. 사업투입현황 분석 152
나. 투자포트폴리오의 적절성 152
제2절 사업 효율성 분석 154
1. 사업의 목표 대비 달성도 154
가. 사업의 성과목표ㆍ지표별 목표 달성 현황 154
나. 1단계('21~'22년) 성과목표별 달성내용 요약 154
2. 성과목표별 세부 달성 내용 155
가. (성과목표1) 「연구 및 산업현장 비파괴 검사 표준데이터 확보」 세부 달성내용 155
나. (성과목표2) 「비파괴검사 솔루션 기술개발」 세부 달성내용 156
3. 부처 내 또는 타부처 사업과의 유사ㆍ중복성 157
4. 사업 대표성과 158
가. 선정 개요 158
나. 대표성과 사례별 분석 159
5. 사업성과의 활용ㆍ확산을 통한 파급효과 171
가. 경제적 파급효과 171
나. 사회적 파급효과 171
제3절 종합분석 172
1. 종합분석 결과 172
가. 사업추진의 적절성 172
나. 사업 추진체계의 체계성 173
다. 사업수행의 효율성 및 효과성 173
2. 사업 개선방안 174
가. 사업의 성공요인 174
나. 사업개선 필요사항 및 개선방안 174
제5장 방사선이용미래혁신기반 기술연구 175
제1절 사업개요 176
1. 사업의 추진목적 및 정부 지원의 적절성 176
가. 사업추진의 배경 및 필요성 176
나. 상위계획과의 부합성 178
다. 성과계획의 적절성 180
라. 사업목적과 사업내용의 연계성 182
2. 사업 추진체계의 적절성 186
가. 외부 환경변화 대응의 타당성 186
나. 사업 추진체계 및 프로세스의 적절성 188
3. 사업 투자전략의 적절성 190
가. 사업투입현황 분석 190
나. 투자포트폴리오의 적절성 191
제2절 사업 효율성 분석 192
1. 성과조사 결과 192
가. 과학적 성과 192
나. 기술적 성과 196
2. 사업의 목표 대비 달성도 197
가. 사업의 성과목표ㆍ지표별 목표 달성 현황 197
나. 1단계('21~'23년) 성과목표별 달성내용 요약 197
3. 성과목표별 세부 달성 내용 197
가. (성과목표1) 「미래혁신기술 분야 난제 해결을 위한 우수논문 확보」 세부 달성내용 197
나. (성과목표2) 「미래혁신기술 분야 난제 해결을 위한 지적재산권 확보」 세부 달성내용 198
4. 부처 내 또는 타부처 사업과의 유사ㆍ중복성 198
5. 사업 대표성과 199
가. 선정 개요 199
나. 대표성과 사례별 분석 200
6. 사업성과의 활용ㆍ확산을 통한 파급효과 209
가. 과학기술적 파급효과 209
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209
제3절 종합분석 210
1. 종합분석 결과 210
가. 사업추진의 적절성 210
나. 사업 추진체계의 체계성 211
다. 사업수행의 효율성 및 효과성 211
2. 사업 개선방안 212
가. 사업의 성공요인 212
나. 사업개선 필요사항 및 개선방안 212
제6장 방사성동위원소 산업육성 및 고도화 기술지원사업 213
제1절 사업개요 214
1. 사업의 추진목적 및 정부 지원의 적절성 214
가. 사업추진의 배경 및 필요성 214
나. 상위계획과의 부합성 217
다. 성과계획의 적절성 219
라. 사업목적과 사업내용의 연계성 221
2. 사업 추진체계의 적절성 224
가. 외부 환경변화 대응의 타당성 224
나. 사업 추진체계 및 프로세스의 적절성 232
3. 사업 투자전략의 적절성 234
가. 사업투입현황 분석 234
나. 투자포트폴리오의 적절성 234
제2절 사업 효율성 분석 237
1. 사업의 목표 대비 달성도 237
가. 사업의 성과목표ㆍ지표별 목표 달성 현황 237
나. 1단계('21~'23년) 성과목표별 달성내용 요약 237
2/3. 성과목표별 세부 달성 내용 238
가. (성과목표1) 「자급능력 확대를 위한 양산기반 기술 및 표준화 기술개발」 세부 달성내용 238
3. 부처 내 또는 타부처 사업과의 유사ㆍ중복성 244
4. 사업 대표성과 245
가. 선정 개요 245
나. 대표성과 사례별 분석 246
5. 사업성과의 활용ㆍ확산을 통한 파급효과 258
가.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258
나. 과학기술적 파급효과 258
제3절 종합분석 260
1. 종합분석 결과 260
가. 사업추진의 적절성 260
나. 사업 추진체계의 체계성 261
2. 사업 개선방안 262
가. 사업의 성공요인 262
나. 사업개선 필요사항 263
제7장 연구로판형핵연료 수출핵심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 264
제1절 사업개요 265
1. 사업의 추진목적 및 정부 지원의 적절성 265
가. 사업추진의 배경 및 필요성 265
나. 상위계획과의 부합성 266
다. 성과계획의 적절성 267
라. 사업목적과 사업내용의 연계성 269
2. 사업 추진체계의 적절성 271
가. 외부 환경변화 대응의 타당성 271
나. 사업 추진체계 및 프로세스의 적절성 272
3. 사업 투자전략의 적절성 274
가. 사업투입현황 분석 274
나. 투자포트폴리오의 적절성 274
제2절 사업 효율성 및 효과성 분석 277
1. 성과조사 결과 277
가. 과학적 성과 277
나. 기술적 성과 277
다. 사회경제적 기대성과 282
2. 사업의 목표 대비 달성도 283
3. 성과목표별 세부 달성 내용 285
가. (성과목표1) 「고밀도(5.3gU/cc) 평판형 및 곡면형 U3Si2 판형핵연료 제조기술 개발」 세부 달성내용 285
나. (성과목표2) 「고밀도(5.3gU/cc) 평판형 U3Si2 판형핵연료 조사시험 및 조사후시험」 세부 달성내용 286
다. (성과목표3) 「핵연료 고정장치 설계 및 제작(고정기능 성능시험, 내구성 시험 포함)」 세부 달성내용 287
4. 부처 내 또는 타부처 사업과의 유사ㆍ중복성 288
5. 사업 대표성과 289
가. 선정 개요 289
나. 대표성과 사례별 분석 290
6. 사업성과의 활용ㆍ확산을 통한 파급효과 297
가. 경제적 파급효과 297
나. 사회적 파급효과 297
제3절 종합분석 298
1. 종합분석 결과 298
가. 사업추진의 적절성 298
나. 사업 추진체계의 체계성 299
다. 사업수행의 효율성 및 효과성 300
2. 사업 개선방안 301
가. 사업의 성공요인 301
나. 사업운영 개선 필요사항 301
[별첨] 2024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전략계획서 302
민관합작 차세대원자로프로젝트 개발사업 303
방사선융복합산업지원사업 317
소형모듈원자로 사용후핵연료 발생량저감 핵연료 기반기술 개발사업 334
[첨부] 수정ㆍ보완의견 반영내역 대비표 362
그림 1. 세계원전가동연수 분포도('24. 1., IAEA PRIS 시스템) 34
그림 2. 고리 1호기 활용 R&D 기획 추진 배경 및 계획 35
그림 3. 제5차 원자력진흥종합계획 정책방향 및 중점 추진과제 37
그림 4. 연구개발 단계별 로드맵 41
그림 5. 미국 Zion 원전 열화재료를 활용한 실증연구 사례 44
그림 6. 스웨덴 Studsvik의 해체원전 실증연구 대상 재료 목록 45
그림 7. 미국 및 유럽 해체원전 R&D와의 차별성 46
그림 8. 인출부품 시험편 원격 제작기술 개발 관련 성과물(1) 54
그림 9. 인출부품 시험편 원격 제작기술 개발 관련 성과물(2) 55
그림 10. 인출부품 시험편 원격 제작기술 개발 관련 성과물(3) 55
그림 11. 인출부품 시험편 원격 제작기술 개발 관련 성과물(4) 56
그림 12. 방사화 소재 미세분석 기술 관련 성과물(1) 56
그림 13. 방사화 소재 미세분석 기술 관련 성과물(2) 57
그림 14. 방사화 소재 미세분석 기술 관련 성과물(3) 57
그림 15. 방사화 소재 미세분석 기술 관련 성과물(4) 57
그림 16. 성과지표1-1단계 관련 성과물(1) 58
그림 17. 성과지표1-1단계 관련 성과물(2) 58
그림 18. 성과지표1-1단계 관련 성과물(3) 59
그림 19. 성과지표1-1단계 관련 성과물(4) 59
그림 20. 인출부품 파괴역학 실증 시험평가 기술개발 및 체계구축 관련 성과물(1) 60
그림 21. 인출부품 파괴역학 실증 시험평가 기술개발 및 체계구축 관련 성과물(2) 61
그림 22. 인출부품 파괴역학 실증 시험평가 기술개발 및 체계구축 관련 성과물(3) 61
그림 23. 방사화 소재 미세조직 정밀분석 및 부식특성 실증기술 개발 관련 성과물(1) 62
그림 24. 방사화 소재 미세조직 정밀분석 및 부식특성 실증기술 개발 관련 성과물(2) 62
그림 25. 방사화 소재 미세조직 정밀분석 및 부식특성 실증기술 개발 관련 성과물(3) 63
그림 26. 성과지표1-2단계 관련 성과물(1) 63
그림 27. 성과지표1-2단계 관련 성과물(2) 64
그림 28. 성과지표1-2단계 관련 성과물(3) 64
그림 29. KBS-3 97
그림 30. KRS 개념도 97
그림 31. 제5차 원자력진흥종합계획 상세 98
그림 32. 연차별 추진로드맵 102
그림 33. 비파괴검사기술 관련 산업('19 비파괴검사 기술 실용화 및 기반구축 사업 기획 보고서) 140
그림 34. 제3차 비파괴검사기술진흥계획 비전 및 정책과제 143
그림 35. 검사 분야별 수익 현황 및 미래('15~'22) ('15 Frost & Sullivan) 148
그림 36. 고품질 비파괴검사 데이터 생산/수집/공유/관리 기술 개발 성과 155
그림 37. 인공지능 비파괴검사 솔루션 알고리즘 개발 성과 156
그림 38. 미래방사선 산업창출전략 비전 및 추진전략 179
그림 39. 연구내용별 역할 222
그림 40. 제5차 원자력진흥종합계획 상세 266
그림 41. 연차별 추진로드맵 269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