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3

SUMMARY 2

01. 생성형 AI와 음악산업의 구조 변화 4

1. 음악 콘텐츠 기술 진화와 음악 창작 방식의 변화 4

2. 글로벌 음악산업 동향과 AI 기반 음악의 산업화 6

3. 음악 창작 환경 변화에 따른 제도 공백과 정비 필요성 8

02. 음악 창작ㆍ제작 분야별 AI 활용 현황과 시사점 11

1. 작사 분야 AI 기술 현황 및 활용 사례 11

2. 작곡 분야 AI 기술 현황 및 활용 사례 13

3. 보컬 분야 AI 기술 현황 및 활용 사례 16

4. 공연 분야 AI 기술 현황 및 활용 사례 19

03. 음악산업 AI 기술 활용에 따른 제도 도입과 쟁점 22

1. 인간과 AI 생성 음악에 대한 주요국 법ㆍ제도 동향 22

2. AI 음악 학습 데이터의 공정이용 쟁점과 시사점 24

04. 'Made by AI 음악'과 인간의 조화와 공존을 위한 정책 방향 27

1. 생성형 AI에 대한 글로벌 정책 흐름과 제도 정비의 필요성 27

2. 인간과 기술의 공존을 위한 음악산업 정책 제언 30

참고자료 32

표목차 11

[표 1] 주요 가사 생성 AI 기술 현황 11

[표 2] 주요 음원(작곡ㆍ편곡) 생성 AI 기술 현황 13

[표 3] 주요 보컬 생성 AI 기술 현황 16

[표 4] 주요 공연ㆍ퍼포먼스 생성 AI 기술 현황 19

[표 5] K-POP 버추얼 아이돌 유형과 특성 21

[표 6] Suno & Udio 음악 학습 데이터 공정이용 이슈 요약 25

[표 7] Thomson Reuters v. Ross Intelligence Inc. 사건 요약 26

그림목차 4

[그림 1] 단계별 음악 저장(소비) 매체 4

[그림 2] 단계별 음악 창작 기술의 발전 5

[그림 3] 세계 음악산업 규모와 포맷별 비중 6

[그림 4] 생성형 AI 음악 생성물 시장 규모 전망(2023~2028년) 7

[그림 5] 영국 밴드 'Everything Everything' 12

[그림 6] 영국 뮤지션 'Hannah Diamond' 12

[그림 7] 코미디언 'Willonius Hatcher'와 프로듀서 'Metro Boomin' 14

[그림 8] 음악 프로듀서 및 뮤지션 'Timbaland' 15

[그림 9] 한국의 AI 작곡 시스템 '이봄' 15

[그림 10] Paul McCartney, George Harrison, John Lennon, Ringo Starr 'The Beatles' 17

[그림 11] 미국의 뮤지션이자 영화배우 'Randy Travis' 17

[그림 12] 수퍼톤의 음성합성 사례 18

[그림 13] AI 활용 버츄얼 공연ㆍ인간 x AI 협업 공연 사례 20

[그림 14] 가상 아이돌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