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1

1. 재난 발생 현황 및 변화 3

2. 재난관리 패러다임의 전환과 AI의 역할 6

3. 국내외 인공지능(AI) 활용 재난관리 사례 9

4. 결론 및 시사점 18

참고자료 21

표목차 4

[표 1] 국내 재난 피해 현황 4

[표 2] 기후변화 속도 분석보고서 비교표 5

[표 3] 국내외 AI 재난 기술 특허 현황 7

[표 4] NOAA Big Data Project 수집 데이터 16

그림목차 3

[그림 1] 국가별 재해수(2000~2019년) 3

[그림 2] 재난ㆍ재해 발생 건수와 피해액 및 재해 유형별 발생 비중 4

[그림 3] 재난안전 시스템 및 플랫폼 체계도 9

[그림 4] AI솔루션 파이어워쳐 대시보드 화면 10

[그림 5] 서울 동작구 한강홍수통제소에 설치된 인공지능 홍수예보시스템 10

[그림 6] 감염병 방역 단계별 적용 가능한 인공지능 응용 11

[그림 7] 서울시 AI 기반 실시간 혼잡도 안내 전광판 12

[그림 8] AI 영상분석 시스템을 활용한 용의자 추적 개념도 13

[그림 9] AI 영상분석 시스템을 활용한 위급상황 감지 및 대응 개념도 13

[그림 10] 부산 연제구 일대의 시간당 105mm 비가 내렸을 때를 상정한 침수 시뮬레이션 14

[그림 11] WIFIRE 산불 확산 예측 지도 15

[그림 12] 일본의 쓰나미 및 재난 조기 경보 시스템 구조 17

[그림 13] 중국의 NNDIMS를 통한 정보 제공 홈페이지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