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1

Ⅰ. 검토배경 2

Ⅱ. 선행연구 2

Ⅲ. 기후위험지수(CRI) 추정 및 특징 4

1. CRI 추정 4

2. CRI 구성요인 및 특징 5

Ⅳ. 이상기후(CRI)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8

1. 비대칭성 분석 8

2. 품목별 물가 영향 분석 10

3. 산업별 성장 영향 및 충격분해 11

Ⅴ. 결론 및 시사점 12

[참고] CRI 추정시 사용된 지역별 기상ㆍ해수면높이 변수 관측지점 14

참고문헌 15

표목차 4

〈표 1〉 CRI(전국) 및 구성요소 요약통계량 4

〈표 2〉 필립스 곡선 추정 모형 11

〈표 3〉 필립스 곡선 추정 모형 11

그림목차 2

〈그림 1〉 글로벌 평균 기온변화 추이 2

〈그림 2〉 글로벌 기온이 국내 이상기후에 미치는 영향 2

〈그림 3〉 이상고온(T90std) 추세 5

〈그림 4〉 해수면높이(Sstd) 추세 5

〈그림 5〉 이상저온(T10std) 추세 5

〈그림 6〉 강수량(Pstd) 추세 5

〈그림 7〉 가뭄(Dstd) 추세 5

〈그림 8〉 시(市)별 CRI 추이 6

〈그림 9〉 도(道)별 CRI 추이 6

〈그림 10〉 전국ㆍ강원ㆍ제주 CRI 요인분해 6

〈그림 11〉 시도별 CRI 및 구성요소별 평균(2001년~2023년) 7

〈그림 12〉 이상기후 충격이 산업생산에 미친 영향 8

〈그림 13〉 이상기후 충격이 인플레이션에 미친 영향 8

〈그림 14〉 FTA체결국과의 교역 비중 9

〈그림 15〉 FTA 체결변수 반영시 충격반응 비교 9

〈그림 16〉 이상기후 충격에 대한 각 변수의 반응 10

〈그림 17〉 이상기후 충격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10

〈그림 18〉 이상기후가 인플레이션에 미친 영향력 11

〈그림 19〉 시기별 이상기후가 물가에 미친 영향 11

〈그림 20〉 이상기후 충격이 산업별 성장에 미친 영향 12

〈그림 21〉 산업생산에 대한 이상기후 충격의 기여율 12

〈그림 22〉 인플레이션에 대한 이상기후 충격의 기여율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