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1

Ⅰ. 검토배경 2

Ⅱ. 경력직 채용 증가 및 그 원인 2

Ⅲ. 경력직 채용 증가가 청년 고용에 미치는 영향 5

1. 분석 모형의 개요 6

2. 분석 결과 9

Ⅳ. 종합평가 및 시사점 11

[참고 1] 모형 추정에 사용된 자료 13

[참고 2] 모형 추정 방법 14

참고문헌 16

표목차 7

〈표 1〉 모형의 주요 가정 1 : 2종류의 노동자와 2종류의 일자리 7

〈표 2〉 모형의 주요 가정 2 : 새로 제안 받은 일자리의 생산성에 따른 이직 및 임금 결정 8

〈표 3〉 1, 2차 노동시장 현황 11

〈표 4〉 고용상태 전환율 12

그림목차 2

〈그림 1〉 연령별 상용직 고용률 2

〈그림 2〉 대학생이 느끼는 취업 준비 과정의 어려움 2

〈그림 3〉 경력직 vs 신입직 채용 계획 3

〈그림 4〉 채용시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 3

〈그림 5〉 경력 유무에 따른 채용 방식 3

〈그림 6〉 수시 vs 공채 채용 계획 3

〈그림 7〉 2023년 및 2024년 채용시장 변화 4

〈그림 8〉 향후 채용 방향 및 방식 전망 4

〈그림 9〉 평생직장에 대한 인식 4

〈그림 10〉 기업들이 경력직을 우선 채용하는 이유 5

〈그림 11〉 OECD 국가별 고용보호지수 5

〈그림 12〉 상용직 취업 확률 추이 6

〈그림 13〉 졸업후 미취업 청년 주된 활동 6

〈그림 14〉 20대 인구 중 '쉬었음' 비중 6

〈그림 15〉 경력직 채용 증가와 고용률 9

〈그림 16〉 경력직 채용 증가와 고용률 격차 9

〈그림 17〉 경력직 채용 증가와 사회초년생의 생애 총 취업기간 10

〈그림 18〉 경력직 채용 증가와 사회초년생 생애 소득의 현재가치 10

〈그림 19〉 비경력자의 구직 노력 하락과 고용률 10

〈그림 20〉 비경력자의 구직 노력 하락과 사회초년생의 생애 총 취업기간 10

〈그림 21〉 비경력자의 구직 노력 하락과 사회초년생 생애 소득의 현재가치 10

〈그림 22〉 청년들이 선호하는 직업 11

〈그림 23〉 국가별 임시직 비중 및 정규직 전환율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