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3

Ⅰ. 배경 및 목적 6

Ⅱ. 분야별 기후위기 대응 전략 14

1. (환경) 기후정의와 정책적 과제 15

1) 기후위기 대응과 '기후정의' 15

2) 분야별 주요 이슈 및 쟁점 17

3) '기후정의' 실현을 위한 정책 제언 19

2. (도시) 도시의 기후위기 취약성과 도시방재전략 21

1) 기후위기와 도시환경 21

2) 기후변화 대응 주요 도시 재해저감 대책 검토 22

3) 기후위기에 대응한 도시방재 개선 방향 24

3. (건축ㆍ공간) 건축ㆍ공간의 기후위기 취약성과 기후적응형 공간전략 27

1) 기후위기 시대, 주거 공간 노후화와 증가하는 기후 취약성 27

2) 신규 개발 시 고려해야 할 기후적응형 공간 전략 30

3) 기후적응형 공간전략 관점의 3기 신도시에 대한 정책제언 34

Ⅲ. 기후위기 완화 대책이 초래한 새로운 위협 39

1. 기후위기 대응 대책에 따른 새로운 위험 양상: 전기차 사례를 중심으로 40

1) 기후위기 대응 대책과 새로운 재난 위험 40

2) 전기자동차 활성화와 위험 양상의 변화 41

3) 새로운 Natech재난 양상에 대한 정책 제언 43

2. 지하화 도로환경에서의 친환경자동차 위험성 46

1) 기후위기 대응 교통 시스템 변화와 새로운 위험 46

2) 지하도로 방재 및 안전 측면의 문제 47

3) 친환경차 보급에 따른 지하도로 안전성 개선 정책 제언 50

참고문헌 53

표목차 4

〈표 1〉 최근 10년간 원인별 인명피해 현황 9

〈표 2〉 연구의 구성 13

〈표 3〉 전기자동차와 내연기관 자동차의 공차중량 비교 42

〈표 4〉 기존 및 새로운 Natech 개념 비교 44

〈표 5〉 차량 유형별 피크 HRR(MW) (PIARC, 도로터널의 화재특성 설계, 2017) 48

그림목차 5

[그림 1] 2023년 우리나라 이상기후 8

[그림 2] 최근 10년간 피해액 및 복구비 현황 9

[그림 3] 현재(2000~2019년) 대비 후반기(2081~2100년) 기온 및 강수량 변화 10

[그림 4] 현재(2000~2019년) 대비 후반기(2081~2100년) 우리나라 극한기후현상 변화 11

[그림 5] 교통시설 및 방재시설 노후화 현황 22

[그림 6] 개정된 도시군기본계획 수립 절차 24

[그림 7] 1기 신도시 노후 아파트 규모와 비율 현황 27

[그림 8] 1기 신도시(분당)의 토지이용계획도(좌)와 2기 신도시(동탄)의 토지이용계획도(우) 28

[그림 9]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서울의 홍수취약 필지 분포(청색, 좌)와 대전ㆍ세종ㆍ청주권역 건물군의 폭염홍수 복합취약성(우) 31

[그림 10] 통상적 개발시 블록 플랜과 기후대응형 블록 플랜의 비교 31

[그림 11] 공간 취약특성을 고려한 도시의 블록설계 예시 32

[그림 12] 도시지역(아일랜드 더블린)의 미기후에 영향을 주는 공간정보(좌)를 활용한 기후 방재기술 적용 33

[그림 13] 그린인프라에 설치된 다목적 센서(좌)와 무선통신을 활용한 데이터 전송기술 예 34

[그림 14] 3기 신도시 남양주 왕숙지구의 토지이용계획도(좌) 및 광역교통계획도(우) 35

[그림 15] 고양 창릉지구(좌) 부천 대장지구(우)의 블록단위 인프라 계획 기본구상도 36

[그림 16] 빗물정원에 설치된 무선 수위감지 센서(좌), 실시간 수집된 지표수위 데이터(우) 37

[그림 17] 그린인프라의 지역적 방재효과 및 주거공간 피해 최소화를 위한 공공공간의 GI 시설 예 38

[그림 18] 태양과 발전시설과 전기자동차 화재 피해 사례 41

[그림 19] 전기자동차의 위험요인과 위험요인별 위험대상 비교 42

[그림 20] 지하 전기자동차 전용구역 설치 예시 45

[그림 21] 해발고도 기준 도로 본선 위치에 따른 도로 분류 47

[그림 22] 일반도로의 피난방향과 화재연기방향 개념도 49

[그림 23] 지하도로의 피난방향과 화재연기방향 개념도 49

[그림 24] 지하도로 배연시설의 호흡선 침범과 오르막 피난 50

[그림 25] 터널과 지하도로의 갱도 설치 여건 비교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