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5
요약 14
제Ⅰ장 연구의 개요 80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80
제2절 연구의 내용 82
제Ⅱ장 선행연구 고찰 85
제1절 국내ㆍ외 선행연구 85
1. 통행배정 파라미터(차외시간 가중치) 산정에 관한 연구 85
2. 대중교통 통행자 도착분포에 관한 연구 94
제2절 국내ㆍ외 적용 사례 102
1. 국내 지침 102
2. 국외 지침 105
3. 종합 및 시사점 107
제Ⅲ장 분석방법론 정립 및 모형 추정 109
제1절 교통빅데이터 특성 분석 109
1. 교통카드 데이터 109
2. 알뜰교통카드 데이터 119
제2절 도시 및 광역철도 대기시간 파라미터 검증 125
1. 대기시간 파라미터 검증 방법론 125
2. 대기시간 파라미터 검증 결과 138
3. 소결 172
제3절 대중교통 경로선택 모형 정립 및 추정 174
1. 대중교통 경로선택 모형 구축 방법론 174
2. 차외시간 가중치 검증 결과 190
3. 메타분석을 통한 차외시간 가중치 분석 195
4. 소결 203
제Ⅳ장 도시 및 광역 철도 수요 추정 개선 방법론 204
제1절 개요 204
제2절 통행배정 파라미터의 적용 방법론 검토 204
1. EMME의 대중교통 통행배정 모형 205
2. TransCAD의 대중교통 통행배정 모형 209
3. TOVA의 대중교통 통행배정 모형 214
제3절 통행배정 파라미터 분석 218
1. 분석 개요 및 시나리오 설정 218
2. 분석 결과 221
3. 소결 234
제Ⅴ장 결론 236
제1절 종합 및 시사점 236
1. 종합 결론 236
2. 시사점 및 의의 239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241
1. 연구의 한계 241
2. 향후 연구 242
참고문헌 244
[그림 Ⅰ-1] 연구수행 흐름도 84
[그림 Ⅱ-1] 첨두시간대 대중교통 배차간격에 따른 승객 대기시간(median) 95
[그림 Ⅱ-2] MOTOS (2007)의 배차간격과 대기시간 간의 관계 96
[그림 Ⅱ-3] NYBPM (2009)의 배차간격과 대기시간 간의 관계 96
[그림 Ⅲ-1] 교통카드의 형태 109
[그림 Ⅲ-2] 통행시간 분포 예시(상: 홍대입구~서울역, 하: 당산~사당) 117
[그림 Ⅲ-3]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 개념 119
[그림 Ⅲ-4] 알뜰교통카드 이용현황(연령, 직업) 121
[그림 Ⅲ-5] 접근/이탈시간 분포(상: 접근시간, 하: 이탈시간) 124
[그림 Ⅲ-6] 철도통행 개념도(비환승 통행) 125
[그림 Ⅲ-7] 열차-승객 매칭 상황 예시 126
[그림 Ⅲ-8] 대기시간 파라미터 검증을 위한 데이터 가공 과정 129
[그림 Ⅲ-9] 교통카드 데이터 1차 전처리 데이터 130
[그림 Ⅲ-10] 역사별 시간대별 이상치 탐지 예시(오전 10시 기준) 134
[그림 Ⅲ-11] 승차 시간대에 따른 대기시간 이상치 135
[그림 Ⅲ-12] 대기시간 분포 적합 예시 136
[그림 Ⅲ-13] 시간대별 대기시간과 배차간격 예시 137
[그림 Ⅲ-14] 분석 대상 역사의 시간대별 승차량 집중률 139
[그림 Ⅲ-15] 시간대별 대기시간과 배차간격 예시 140
[그림 Ⅲ-16] 대기시간~배차간격 선형회귀분석 162
[그림 Ⅲ-17] 대기시간~배차간격 2차 다항 회귀분석 결과 163
[그림 Ⅲ-18] 대기시간~배차간격 3차 다항 회귀분석 결과 163
[그림 Ⅲ-19] 대기시간~배차간격 로그 선형 회귀분석 결과 164
[그림 Ⅲ-20] 대기시간~배차간격 선형회귀분석 164
[그림 Ⅲ-21] 대기시간~배차간격 분할 선형회귀분석(3개 구간) 165
[그림 Ⅲ-22] 역사별 시간대별 배차간격~대기시간 167
[그림 Ⅲ-23] 대중교통 경로선택 모형 정립을 위한 데이터 가공 과정 175
[그림 Ⅲ-24] 수도권 헥사곤 그리드 분할 결과(1,200m) 176
[그림 Ⅲ-25] 교통카드데이터의 통행시간 정의 179
[그림 Ⅲ-26] 차내시간 이상치 탐지 예시 180
[그림 Ⅲ-27] 환승시간 이상치 탐지 예시 183
[그림 Ⅲ-28] 접근 및 이탈시간 이상치 제거 개념 185
[그림 Ⅲ-29] 차내시간 이상치 탐지 예시 185
[그림 Ⅲ-30] 교통카드 데이터 및 알뜰교통카드 데이터 결합 개념도 188
[그림 Ⅲ-31] 도시철도 포함 트립체인의 차외시간 및 차내시간 보정 188
[그림 Ⅲ-32] 교통카드 데이터 및 알뜰교통카드 데이터 결합 개념도 189
[그림 Ⅳ-1] Input and Output of the Standard transit Assignment(EMME) 207
[그림 Ⅳ-2] Optimal Stratigies Transit Network Setting(TransCAD) 213
[그림 Ⅳ-3] 이용가능 역/정류장 생성(TOVA) 215
[그림 Ⅳ-4] 대중교통 수단별 노선별 요금 설정(TOVA) 215
[그림 Ⅳ-5] 대중교통 경로 탐색 조건(TOVA) 217
[그림 Ⅳ-6] 시나리오1(단일 값 적용)과 시나리오2(배차간격 고려 - 전체네트워크 적용)의 통행배정 결과 비교 221
[그림 Ⅳ-7] 시나리오1(단일 값 적용)과 시나리오3(배차간격 고려 - 특정노선 적용)의 통행배정 결과 비교 222
[그림 Ⅳ-8] 시나리오2(배차간격 고려 - 전체네트워크 적용)와 시나리오3(배차간격 고려 - 특정노선 적용)의 통행배정 결과 비교 222
[그림 Ⅳ-9] 시나리오4(가중치 1.0)와 시나리오5(가중치 1.5)의 통행배정 결과 비교 226
[그림 Ⅳ-10] 시나리오4(가중치 1.0)와 시나리오6(가중치 2.0)의 통행배정 결과 비교 227
[그림 Ⅳ-11] 시나리오5(가중치 1.5)와 시나리오6(가중치 2.0)의 통행배정 결과 비교 227
[그림 Ⅳ-12] 시나리오4와 시나리오6의 통행배정 패턴 상세비교(서울시 마포구 서강동 일원) 231
[그림 Ⅳ-13] 시나리오4와 시나리오6의 통행배정 패턴 상세비교(서울시 강서구 가양1동 일원) 232
[그림 Ⅳ-14] 시나리오4와 시나리오6의 통행배정 패턴 상세비교(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일원) 233
[그림 Ⅳ-15] KTDB 환승역 분할 개념도 23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 전화번호 |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