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정보없음

vol.2

목차정보없음

vol.3

목차정보없음

해제보기

1. 개요

『화엄일승교분기(華嚴一乘敎分記)』는 당나라 법장(法藏, 643〜712)이 오교십종(五敎十宗, 화엄종(華嚴宗)에서, 부처가 말한 시기와 교리(敎理)의 깊고 얕음을 따라 나누어 해석한 설법(說法))의 교판(敎判, 불교의 다양한 교설(敎說)들을 여러 범주로 분류·종합하여 하나의 유기적인 사상체계로 이해하는 것)에 기초하여 화엄경(華嚴經)의 우월성과 화엄학(華嚴學)의 체계를 정리한 교판서(敎判書)이자 화엄학 개론서이다. 간행된 국가 또는 판본에 따라서 『화엄경중일승오교분제의(華嚴經中一乘五敎分齊義)』, 『화엄일승교의분제장(華嚴一乘敎義分齊章)』, 『화엄경중일승입교분제의기(華嚴經中一乘立敎分齊義記)』, 『화엄일승분교기(華嚴一乘分敎記)』, 『화엄오교장(華嚴五敎章)』, 『일승교분기(一乘敎分記)』, 『화엄교분기(華嚴敎分記)』등의 다양한 서명으로 지칭된다. 국회도서관 소장본은 1884년 일본 교토(京都) 후지분세이도(藤井文政堂)에서 간행한 판본이다.

2. 형태적 특징

총 3책으로 구성되어 있고, 오침안(五針眼)의 선장본(線裝本)이다. 표지 제첨(題簽)에 ‘신계고이방주 화엄오교장(新鍥考異傍注 華嚴五敎章)’이라는 표지 서명, 권차(冊次)와 ‘재판(再版)’이 기록되어 있다. 표지 문양 가운데 전서체(篆書體) ‘문정당(文政堂)’이 들어 있다. 목판으로 간행된 목판본(木板本)으로 광곽(匡郭)의 형태는 사주단변(四周單邊)이다. 계선(界線)이 없는 무계본(無界本)으로 반엽(半葉) 기준 10행 20자이다. 어미(魚尾)는 상하향흑어미(上下向黑魚尾)이다. 판심(版心)의 상단에 ‘신계(新鍥)’라고 기록되어 있다. 서미(書眉)에 주석(註釋)이 있다. 권 상, 중의 권수제(卷首題)는 ‘화엄일승교분기(華嚴一乘敎分記)’ 이나, 권 하의 권수제는 ‘화엄경중일승오교분제의(華嚴經中一乘五敎分齊義)’이다. 권말에 ‘명치십칠년사월보각(明治十七年四月補刻)’라는 간기와 판권지 ‘야마시로야 후지이사헤에(山城屋 藤井佐兵衛)’라는 기록을 통해서 1884년 교토 후지분세이도에서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각 책의 권수에 ‘고유섭인(高裕燮印)’이 날인되어 있다.

3. 체제 및 내용

『화엄일승교분기』의 체제는 총 10문(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문을 다시 상, 중, 하의 3권으로 구분하였다. 국회도서관 소장본은 권 상에 1문 ‘건립승(建立乘)’, 2문 ‘교의섭익(敎義攝益)’, 3문 ‘서고금입교(敘古今立敎)’, 4문 ‘분교개종(分敎開宗)’, 5문 ‘승교개합(乘敎開合)’, 6문 ‘교기전후(敎起前後)’, 7문 ‘결택기의(決擇其意)’, 8문 ‘시설이상(施設異相)’이 수록되어 있고, 권 중에 9문 ‘의리분제(義理分齊)’, 권 하에 10문 ‘소전차별(所詮差別)’이 수록되어 있다.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脩大藏經)』에 동일한 책이 수록되어 있는데, 9문이 ‘소전차별’, 10문이 ‘의리분제’로 구성되어 있어 국회도서관 소장본과 차이를 보이며, 이와 같은 내용을 국회도서관 소장본 권 상의 권수에서 주석으로 설명하고 있다.

1문 ‘건립승’에는 일승(一乘)과 삼승(三乘)의 관계를 설명하면서, 일승이 존재하는 이유가 수록되어 있으며, 2문 ‘교의섭익’에는 일승과 삼승의 교의를 설명하고 그에 따른 섭익(攝益)의 상위가 수록되어 있다. 3문 ‘서고금립교’에는 고금의 승려 10인의 교판을 설명하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으며, 4문 ‘분교개종’에는 불법을 오교십종으로 구분하고 각각을 설명하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5문 ‘승교개합’에는 일승과 삼승, 오교의 관계를 설명하고, 각각 합치되는 승과 교를 밝히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으며, 6문 ‘교기전후’에는 각각의 교가 일어난 선후를 밝혀서 본교(本敎)와 말교(末敎)를 설명하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7문 ‘결택기의’에는 중생의 근기(根機)가 달라서 교의 선후관계가 발생한다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고, 8문 ‘시설이상’에는 각각의 교가 가진 차이에 대해 설명하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9문 ‘의리분제’에는 별교일승(別敎一乘)의 교리를 다시 4문으로 나눠서 설명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고, 10문 ‘소전차별’에는 앞에서 설명한 일승, 삼승, 오교의 차별을 설명하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데, 특히 오교는 10가지 잣대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4. 특성 및 가치

『화엄일승교분기』는 화엄종의 교판인 오교십종을 설명한 중요한 불서이다. 또한 국회도서관 소장본은 주석으로 각 판본 간의 체제 차이를 설명하고 있어서, 『화엄일승교분기』의 증보 상황을 살펴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권수에 날인된 ‘고유섭인(高裕燮印)’을 통해서 일제강점기 미술사학자였던 고유섭(高裕燮, 1905〜1944)의 소장본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해제: 김단일, 감수: 옥영정)

참고문헌

鎌田茂雄, 佛典講座 28(華嚴五敎章), 東京: 大藏出版株式會社, 1979.

박동원, 『華嚴五敎章』의 硏究, 익산: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김천학, 일본의 근대화엄학 연구와 현대의 접점, 일본불교문화연구, 12, 2015. pp. 147〜181.

박용진, 고려 敎藏의 고려 및 조선시대 유통과 전승, 서지학연구, 83, 2020, pp. 151〜171.

이용현황보기

華嚴一乘敎分記. 冊1-3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0024536 古 294.34 ㅂ413ㅎ v.1 서울관 귀중서고(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0024537 古 294.34 ㅂ413ㅎ v.2 서울관 귀중서고(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0024538 古 294.34 ㅂ413ㅎ v.3 서울관 귀중서고(1층 대출대) 이용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