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판권기

[행사일정]

목차

구두 발표 제1분과 : 생물상 및 식생 12

광양 백운산 고로쇠나무 재배지의 식물상 및 식생 특성(Flora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Gwangyang Mt. Baegun 'Acer pictum Thunb. var. mono (Maxim.) Maxim, ex Franch' Plantatio) / 차두원 ; 오충현 14

새만금 지역의 식물상 특성(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 이승준 ; 오충현 15

서울 천마공원의 현존식생 및 관리방안 연구(A Study on Actual Vegetation and Management in Cheonma Park, Seoul, Korea) / 정나영 ; 오충현 16

청계산 원터골 생태·경관보전지역의 현존식생 연구(A Study on Actual Vegetaion of Ecosystem Conservation Area in Mt. Cheonggyesan) / 윤영주 ; 오충현 17

수리산 병목안 지역의 식물군락구조 특성(The Characteristics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Byeongmokan Area of Mt. Suri) / 조유나 ; 오충현 18

천연기념물 비단벌레의 서식지 내 팽나무 고사목의 서식 생물상(Biota of the Celtis sinensis dead tree in the habitat of the Natural Monument Jewel beetle) / 정은영 ; 이성경 ; 오정우 ; 최영재 ; 현보라 ; 강정훈 19

온대중부 산림복원을 위한 식생군락구조 연구(A study on vegetation community structure for forest restoration in the temperate centralregion, Seoul, Koreaa) / 조은숙 ; 김미진 ; 문다휘 ; 조종훈 ; 지용주 ; 조동길 20

구두 발표 제2분과 : 실험 및 분석 22

한국 산양의 두개골과 하악골의 해부학적 연구(Anatomical Study on the Skull and Mandible of Korean native goat) / 오정우 ; 이성경 ; 조재운 ; 최영재 ; 현보라 ; 정은영 ; 강정훈 24

수변녹지의 저관리형 생태숲 복원을 위한 실험 연구(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Low-Management Ecological Forests in Purchased Land Waterside Green Areas) / 한용희 ; 박석곤 25

국내 매미과 번식울음 정밀 생물계절 분석 연구(A Study on Phenological Analysis of Breeding Calls of Korean Cicadas) / 김윤재 ; 정태준 ; 기경석 27

한중 생태계서비스지불제도 비교 연구(A Comparative Study on the Ecosystem Service Payment System between Korea and China) : 참여주체와 지불조건 및 지불기준 중심으로(Focus on Participating entities, Payment Conditions and Criteria) / Si-Yang Wei ; 오충현 28

가평 화악산, 김천 수도산 거제수나무군락의 생태적 특성(A Study on the Plant Community Characteristic of Betula costata Trautv. in Gapyeong-gun Mt. Hwaak, Gimcheon-si Mt. Sudosan) / 윤다움 ; 차두원 ; 오충현 29

구두 발표 제3분과 : 보전 및 평가 30

자연환경복원사업지의 생태계서비스 평가기법 개발(Development of Ecosystem Services Assessment Methods for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Projects) - 환경부 자연환경복원사업 "자연마당''을 중심으로(For "Nature Madang", a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project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 김미후 ; 오충현 32

우리나라 산악형 국립공원의 공원자연보존지구 관리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Management of Park Nature Conservation Area in Mountainous National Park in Korea) / 배제선 ; 오충현 33

산지수목원 기반환경과 수목생육평가 관련성 규명(Investigation about the Relevance of Arbor growth assessment for the Base Environment of the Mountain Arboretum) / 이명훈 ; 김정호 ; 윤용한 34

진관동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식물의 생활형 특성(A Study on the Life style characteristics of plants in Jingwan-don Ecological Scenery Conservation Area in Seoul, Korea) / 서이림 ; 오충현 35

Sentinel-2 위성영상과 deep learning 알고리즘을 활용한 전남 도서 지역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복원 적합지 선정(Selection of Suitable areas for Restoration of Evergreen Broadleaf Forests in Jeonnam Islands using Sentinel-2 Satellite Images and Deep Leaning Algorithm) / 성찬용 ; 강현미 ; 박석곤 36

도시공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평가기준 마련 연구(A Study on the Evaluation Standards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Urban Parks) / 이병희 ; 기경석 37

포스터 전시 제1분과 : 식물생태 및 기타 39

희귀식물 정향풀(Amsoniafl elliptica (Thunb.) Roem. & Schult.)의 국내 분포 및 개체군 크기(Population Distribution and Size of Amsonia elliptica (Thunb.) Roem. & Schult., Rare Plants of the Korea) / 김소담 ; 윤석민 ; 이동형 ; 문애라 ; 김휘민 ; 김상용 ; 손성원 41

한반도 특산식물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개체군 개화특성 비교(Comparison of Population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Endemic Plants of the Korean Peninsula) / 김소담 ; 김휘민 ; 문애라 ; 윤석민 ; 이동형 ; 김상용 ; 손성원 42

울릉도 특산식물 선모시대(Adenophora erecta S.T.Lee, J.K.Lee&S.T.Kim) 개체군 특성(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Adenophora erecta S.T.Lee, J.K.Lee & S.T.Kim, a Endemic Plants in Ulleung Island, Korea) / 김소담 ; 이동형 ; 윤석민 ; 김휘민 ; 문애라 ; 김상용 ; 손성원 44

식생 발달에 따른 무등산국립공원의 너덜지대 변화 특성(Changes in the Debris Landform of Mudeungsan National Park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Vegetation) / 박석곤 ; 김동효 46

국립공원 핵심지역보전사업 참여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A Study on Participants' Perceptions about the National Park Core Area Conservation Project) / 장진 ; 장수림 ; 최유화 ; 김태근 48

포스터 전시 제2분과 : 조류 및 양서류와 파충류 50

Status of Artificial Breeding on the Non-Native Amphibians and Reptiles in South Korea(국내 외래 양서·파충류 인공 번식 현황) / 구교성 ; 김유진 ; 백희진 ; 서희정 ; 황영혜 ; 장이권 52

한국 토종 남생이에게서 발견된 깃거머리속(Genus Ozobranchus) 거머리 보고(A Report on the Leech (Genus Ozobranchus) from Mauremys reevesii in South Korea) / 김윤주 ; 윤가영 ; 구교성 ; 장이권 54

외래양서파충류 관리 유형 및 소요되는 경제적 비용 분석(Analysis of management types and economic cost on the non-native amphibians and reptiles in South Korea) / 문인영 ; 구교성 ; 윤가영 ; 장이권 55

생물다양성 및 외래 양서·파충류에 대한 대중 인식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Public Perception of Biodiversity and Invasive Amphibian, Reptile) / 이정은 ; 주귀암 ; 이세형 ; 박승민 ; 함충호 ; 김지원 ; 최재혁 ; 성하철 56

맹꽁이(Kaloula borealis) 음성활동성과 환경요인과의 관계 분석 연구(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 activity and Environmental Factor of Kaloula borealis) / 이지아 ; 김지원 ; 이세형 ; 이가현 ; 윤지영 ; 성하철 57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breeding success of the Kentish plover(Charadrius alexandrinus)(횐물떼새(Charadrius alexandrinus)의 번식 성공에 대한 환경 요인의 영향) / 이동윤 ; 이주현 ; 성하철 58

포스터 전시 제3분과 : 어류 60

수생태 최상위 포식자인 강준치(Etythroculter erythropterus)의 생태 특성 및 위해성 평가(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isk assessment of Erythroculter erythropterus, an aquatic top predator) / 김동현 ; 안광국 62

제품함유유해화학물질 생체축적 계수 확보를 위한 수생태계 점오염원 영향 지점 내에서의 어류 및 서식지 건강성 연구(A study on the health of fish and habitats within the point of impact of point sources in aquatic ecosystems to secure bioaccumulation coefficients of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in products) / 김혜진 ; 안광국 63

외래어류 분포 및 확산 영향력 추정을 위한 개체 추적 및 문헌 검토(Individual tracking and literature review for estimating the distribution and dispersal impact of exotic fish) / 김혜진 ; 안광국 64

금강 본류의 인공보 건설 전후 종적 연결성 단절에 따른 어류 군집 구조 변화 장기 분석(CLong-term analysis of changes in the structure of fish communities due to the disconnection of longitudinal connectivity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weirs in the main Geum River) / 이호성 ; 안광국 65

금강 상류 적벽강 수계 연결성에 따른 어류 종조성 및 건강도 평가(Evaluation of fish species composition and health according to the water system connectivity of the Jeokbyeok River upstream of the Geum River) / 이호성 ; 안광국 66

영산강 본류구간에서의 인공보 설치 및 개방이 수계 연속성 및 어류군집에 주는 영향 비교분석(Comparative analysis of the effects of artificial weir installation and opening in the main stream section of Yeongsan River on water system continuity and fish community) / 임준영 ; 안광국 67

금강수계 3개 호소의 외래어류 분포-수질변수 상관관계 및 분포도 비교(Distribution of alien fish in three lakes in the Geumgang water system-correlation and distribution of water quality variables) / 임준영 ; 안광국 68

금강보 설치 구간의 개방 전후 연결성의 변화에 따른 어류상 및 수질 비교(Comparison of fish stocks and water quality according to changes in connectivity before and after the opening of the Geumgang-Weir installation section) / 최창윤 ; 안광국 69

Role of massive weir construction in the disturbance of nutrients and algal dynamics, declining ecological health condition based on riverine fish assemblages(하천 어류군집에 기반한 생태학적 건강도 악화를 초래하는 대규모 보 건설의 영향) / Usman Atique ; Md Mamun ; Namsrai Jargal ; 안광국 70

포스터 전시 제4분과 : 수질 71

FAI평가모델에 의한 토지 유입 화학물질 영향을 받은 고막원천의 이화학적 수질 평가(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evaluation of Gomag-woncheon affected by land inflow chemicals by FAI evaluation model) / 김민우 ; 안광국 73

정읍천의 이화학적 수질 특성과 인근 토지이용도 및 정화시설 현황에 따른 수질 개선방안(Water quality improvement plan according to the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ongeupcheon, land use and purification facilities in the vicinity) / 김혜린 ; 안광국 74

하수종말처리장 배출수의 이화학적 영향을 받은 보청천의 종적 구배에 따른 수계 건강도 및 수질의 장기 분석(Long-term analysis of water health and water quality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gradient of Bocheong Stream affected by physicochemical effects of Wastwater treatment plant discharge) / 박지연 ; 안광국 75

황구지천 이화학적 수질 및 수생태계 건강도에 미치는 수원하수처리장의 영향(The Effects of Suwon Waste Water Treatment Plant on chemical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logical Health of Hwanggujicheon) / 심우현 ; 안광국 76

대곡댐 및 대곡천의 연속성 및 수리수문적 특성에 따른 이화학적 수질비교(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according to continuity and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Daegok Dam and Daegok Stream) / 최창윤 ; 이상재 ; 안광국 77

Long-term Changes in Water Quality within a South Korean Reservoir Based on Seasonal Runoff and Nutrient Factor in Relation to Primary Productivity indicator Chlorophyll-a(계절적 유량과 1차 생산성 영양염류 인자에 따른 우리나라 저수지 수질의 장기적 변동) / Blandina Genes Kakore ; 이상재 ; 안광국 78

Proving the Serial discontinuity theory in an artificially Regulated Natural River in South Korea, Nakdong River(낙동강 인공구조물에 의한 자연하천 연속성의 단절 이론 증명) / Blandina Genes Kakore ; Usman Atique ; 안광국 79

Longitudinal gradients analysis of water qualities based on nutrients, organic matter contents, and total coliform bacteria and linking the interrelationship of water quality parameters(영양염류, 유기물 함량 및 총대장균군에 따른 수질경도 기울기 분석 및 수질매개변수의 상관관계) / Md Mamun ; 김지윤 ; 안광국 80

Spatio-Temporal Variations, Co-occurrence and Source Apportionment of Water Pollution in Yeongsan River, South Korea(영산강 수질오염의 시공간적 변화 및 동시다발적 발생 원인분포 분석) / Md Mamun ; 안광국 81

Seasonal Variabilities of Nutrient Regime, N:P ratio, and Trophic State in Artificial Reservoirs and the Modified Empirical Relations of Nutrients(인공저수지의 영양염류-N:P비율 상태의 계절적 변동과 토지이용도에 따른 영양염류) - Chlorophyll by Landuse Pattern(Chl-a 상관관계) / Namsrai Jargal ; 이상재 ; 안광국 82

Long-term and seasonal impact assessment of monsoon on the ambient nutrients, algal chlorophyll, and trophic condition of a multipurpose reservoir(다목적 저수지 유입 영양염류, Chl-a 상태에 대한 장마기간의 장기적 및 계절 영향 평가) / Namsrai Jargal ; Usman Atique ; Md Mamun ; Blandina Genes Kakore ; 안광국 83

Agricultural reservoirs classification based on land-use patterns, organic matter, chlorophyll-nutrients interactions, and trophic condition under monsoon rainfall(토지이용도, 유기물, Chl-a의 영양염류간의 상호작용 및 장마철 강우 시 영양염류 상태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의 분류) / Usman Atique ; Blandina Genes Kakore ; 안광국 84

Spatio-seasonal water quality assessment using multivariate techniques, flow regime, drought and flood influence, and monsoon-mediated nutrient enrichment in a multipurpose drinking water facility(다목적 음용수 시설에서의 다변량 기법에 의한 시공간적 계절 수질 평가) / Usman Atique ; Md Mamun ; 안광국 85

[뒷표지] 86